||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85_Byzantium_thumbnail.jpg]] ||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91_Byzantium%202_thumbnail.jpg]] ||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97_Byzantium%203_thumbnail.jpg]] || || '''Byzantium(1.0버전)''' || '''Byzantium II(2.0버전)''' || '''Byzantium III(3.0버전)''' || ||<:> 타입 ||<:> 타일셋 ||<:> 크기 ||<:> 인원 수 || ||<:> 역언덕 힘싸움형 ||<:> Twilight ||<:> 128×128 ||<:> 4 || [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의 맵. [[클럽데이 온라인 MSL]], [[로스트사가 MSL 2009]], [[아발론 MSL 2009]]에서 사용된 역언덕형 맵으로, 넓은 센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센터보다는 [[광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미네랄]] [[멀티#s-4]] 언덕 쪽에서 힘싸움이 일어나는 맵이다. 덕분에 언덕이 뚫리면 바로 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맵 이름은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의 옛 이름 [[비잔티움]](現 [[이스탄불]])에서 따 왔다. == 특징 == 1.0버전은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한정 극악의 [[토스맵]]이었지만(P 10:0 Z) 2.0버전으로 수정된 후 [[상성맵]]으로 바뀌었다. 여담으로 [[MBC GAME]] 맵제작자였던 [[송기범]]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2.0버전의 수정 과정 및 비화를 공개했다. [[http://blog.naver.com/skb9728/110035250840|#]] 이 맵에서 벌어진 명경기로는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벌어진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 vs.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의 '''33킬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 [[http://www.youtube.com/watch?v=k8TzboWc-X0|경기]]가 유명하다. [[피닉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대사|훗날 다른 게임에서 회자되기도 할 정도]]. 또한 잘 알려지지 않은 경기지만 '''[[https://youtu.be/8jaDgObHktQ|스타 1 사상 유일무이한 노킬 노데스 경기]]'''가 벌어진 곳이기도 한데, [[클럽데이 온라인 MSL]] 본선 32강 E조 2경기에서 [[염보성]]이 [[생더블]]을 한 [[한동훈(프로게이머)|한동훈]]을 상대로 전진 2배럭을 성공시키자 한동훈이 마린 부대를 보고 쿨하게 [[GG]]를 선언하면서 경기 종료. 이 패배로 패자전으로 떨어진 한동훈은 [[송병구]]와의 [[메두사(스타크래프트)|메두사]] 경기에서도 패하면서 2연패로 탈락했고, 그것이 본인의 마지막 개인리그가 되었다. 정작 승자전에 진출한 염보성도 [[김구현]]과 송병구에게 연속으로 패하면서 탈락했다. 그리고 아발론 MSL 8강 C조 [[김택용]] vs. [[변형태]]의 [[https://youtu.be/yAr5dS8XKEE|5경기]]도 명경기에 속한다. 평소에 보여준 거센 공격이 아닌 탄탄한 방어로 김택용의 [[파상공세]]를 막은 변형태가 끝끝내 역전승을 거둔 경기다.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세트 스코어 2:3으로 패배해 떨어진 김택용은 이후 [[스타크래프트 2]]를 포함해 2013년 9월 9일 공식 은퇴를 선언하기까지 공식전 5전 3선승제(다전제)를 단 한 번도 치르지 못했다.[* 사실 [[KeSPA]] 비공식전을 포함하면 다전제를 딱 한 번 치르기는 했는데, [[2011년]] [[10월 9일]] [[IEF]] 2011 [[스타크래프트]] 부문 결승전에서 [[송병구]]를 3:2로 꺾고 [[https://youtu.be/oUgAi-Fi0Fw|우승했다]].] 이와 별개로 32강에서 김택용은 이 맵에서 [[허영무]]에게 패배한 적이 있는데, 1게이트 앞마당을 저격하는 [[4게이트]] 올인을 시도했지만 허영무의 신들린 유닛 컨트롤 + 앞마당에 건설한 파일런 하나의 어그로 + 김택용의 무리수 + 대각선 방향이라는 조화가 겹쳐 첫 싸움에서 패배한 이후 몰래 다크템플러까지 막히면서 무난하게 패배했다. 다만, 최종전에서 허영무를 잡고 16강엔 진출했다. 이 경기는 후에도 [[기적의 수학가]]로 널리 알려지게 됐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잔티움, version=30)]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