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bfb075 {{{#!html 비트킹 }}}}}}{{{#ffffff {{{#!html THE Dancing HERO}}}}}}}}}''' {{{#ffffff (2021)[br]MUTEKING THE Dancing HE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무테킹리부트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음악]], [[개그물|코미디]] || || '''{{{#ffffff,#ffffff 원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Utomaru || || '''{{{#ffffff,#ffffff 이그제큐티브 디렉터}}}''' ||[[사사가와 히로시]] || || '''{{{#ffffff,#ffffff 총감독}}}''' ||[[타카하시 료스케]] || || '''{{{#ffffff,#ffffff 감독}}}''' ||사토 유조(サトウユーゾー) || || '''{{{#ffffff,#ffffff 부감독}}}''' ||<|2>사토 마사후미(佐藤まさふみ) || || '''{{{#ffffff,#ffffff 배틀 댄스 디렉터}}}'''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콘도 유지(近藤祐次) || || '''{{{#ffffff,#ffffff 메인 캐릭터 디자인}}}''' ||[[타카하시 유이치]] || || '''{{{#ffffff,#ffffff 캐릭터 설정}}}''' ||<|2>세야 신지(瀬谷新二)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카와이시 테츠야(川石テツヤ) || || '''{{{#ffffff,#ffffff 히어로 수츠 디자인}}}''' ||나카하라 레이(中原れい)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2>코노 지로(河野次郎)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후루야 메구미(古谷 恵)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에가미 레이(江上 怜) || || '''{{{#ffffff,#ffffff 3D CG 디렉터}}}''' ||오토베 요시히로(乙部善弘) || || '''{{{#ffffff,#ffffff 편집}}}''' ||야마기시 호나미(山岸歩奈実)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이토 타쿠미(伊藤 巧) || || '''{{{#ffffff,#ffffff 음악}}}''' ||시마자키 타카미츠(島崎貴光)[br]마스다 타케시(増田武史)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JVC 켄우드 빅터 엔터테인먼트|빅터 엔터테인먼트]][br]스마일 컴퍼니 || || '''{{{#ffffff,#ffffff 치프 프로듀서}}}''' ||사이토 토모유키(斎藤朋之)[br]카네오카 에이지(金岡英司)[br]와타나베 토시유키(渡邉季之)[br]우다가와 스미오(宇田川純男)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후쿠이 코스케(福井康介)[br]스토 켄토(須藤研人)[br]마츠나가 마리에(松永まり恵)[br]카나리 타케후미(金成雄文)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무토 타카히코(武藤貴彦)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br][[데즈카 프로덕션]] || || '''{{{#ffffff,#ffffff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br]MUTEKING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1년 10월|2021. 10. 03.]] ~ 2021. 12. 19.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오사카]] / (일) 01:26[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박스]] / (화) 01:00 || || '''{{{#ffffff,#ffffff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40610|▶]][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68492|▶]]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2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모방위험)}}}}}}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muteking.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UTEKING202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의 리부트 작품이다. 이그제큐티브 디렉터는 [[사사가와 히로시]], 총감독은 [[타카하시 료스케]], 감독은 사토 유조(サトウユーゾー).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1년 10월|2021년 가을]]. == 공개 정보 == 간만에 [[사사가와 히로시]]와 [[타카하시 료스케]] 등 업계의 거물들이 직접 참여하는 작품이다. 한편 사사가와의 경우 타츠노코 프로덕션 재직 시절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에 전혀 참가한 적이 없음에도 본작에서는 애니의 총지휘권을 쥐게 되었다. 다만 타카하시 료스케 인터뷰에 따르면 자신은 기획과 인맥 모으기를 도운 것이지 감독 및 연출은 사토 유조(サトウユーゾー) 전담이라고 한다. [[https://akiba-souken.com/article/51961/|#]] 유쾌한 코미디인 원작과는 달리, 주인공이 춤추는 걸 꺼리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도시의 어두운 면을 비추는 등 진지한 내용이 가미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작은 무테킹(비트킹)이 주로 거대로봇과 싸웠는데 이 작품은 몬스터와 싸우는 것으로 바뀌었다. 제목은 원작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의 영제인 '''Muteking, The Dashing Warrior'''를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고친 것. 국내에서는 [[대원방송]] 계열의 [[애니박스]]에서 '비트킹 THE Dancing HERO'라는 제목으로 들여와 방영했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hnaNnoA9KQ,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26hIPM7310, width=100%)]}}} || || '''예고'''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무테킹리부트_애니티저비주얼.webp|width=100%]]}}} || || '''{{{#ffffff,#ffffff 티저 비주얼}}}''' || == 등장인물 == * '''무테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teki2.png|height=300]]}}} || ||<-2> ムテキ[br]{{{-1 Muteki}}} || || CV || 마시로 켄타로[br](真白健太朗) || >마음씨 좋은 청년. >네오 샌프란시스코에서 DJ와 만나, 무테킹(비트킹)으로 변신하게 된다. >아이다 씨를 좋아한다. >화려한 복장으로 노래하고 춤추는 것에 저항감이 있다. * '''DJ'''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J_2.png|height=300]]}}} || || CV || [[에구치 타쿠야]] || >하이텐션적으로 살고 있다. >항상 가지고 다니는 '커다란 카세트 라디오'로, 무테키를 무테킹(비트킹)으로 변신시킬 수 있다. * '''세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o.png|height=300]]}}} || ||<-2> セオ[br]{{{-1 Ceo}}} || || CV || [[히노 사토시]] || 거대IT기업 '옥팅크'의 수장. 바가지 헤어 속성. 네오 샌프란시스코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도예가 취미. * '''아이다 씨'''(アイダさん) {{{-1 - 성우: [[타카하시 리에]]}}} '다이너'의 점원. 주문을 틀리는 경우가 잦아 뭘 주문해도 크림 소다만 내온다. 아이돌 지망. 무테키는 아이다 씨를 보고 첫눈에 반하게 된 이후, 아이다 씨가 있는 '다이너'에 가서 자주 주문을 한다. 하지만 그녀는 언제나 크림 소다만을 내오기에 무테키는 원하는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고 항상 크림 소다만 먹는다. 한편, DJ는 아이다 씨의 정체에 대해 의심을 하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 '''앤'''(アン) {{{-1 - 성우: [[요네자와 마도카]]}}} 세오의 비서. 사실은 무테키와 나오미의 엄마며, 사라의 딸이다. * '''나오미'''(ナオミ) {{{-1 - 성우: [[타도코로 아즈사]]}}} 오컬트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스트리머. 참고로 무테키의 친누나며, 현재 양친의 이혼으로 인해 자주 만나지는 못했다고 한다. * '''사라'''(サラ) {{{-1 - 성우: [[아이카와 리카코]]}}} 무테키, 나오미의 외할머니. DJ와도 아는 사이. * '''비비'''(ヴィヴィ) {{{-1 - 성우: [[오키츠 카즈유키]]}}} 게임센터의 점장. 오카마 속성. 과거 잘 나갔던 좌완투수 출신으로 부상으로 인해 은퇴. * '''하루'''(ハル) {{{-1 - 성우: 쿄가(京雅)}}} 장남. 슈팅 게임 전문. 연사형. * '''서머'''(サマー) {{{-1 - 성우: 키무라 하야토(木村隼人)}}} 차남. 라이딩 게임이 특기. * '''아키'''(アキ) {{{-1 - 성우: [[타나카 미나미]]}}} 셋째이자 장녀. 무테키를 신경쓰고 있다. * '''윈터'''(ウィンター) {{{-1 - 성우: [[니시야마 코타로]]}}} 막내. * '''스테킹'''(ステキング) {{{-1 - 성우: [[KENN]]}}} 훈남 속성의 청년. * '''매트'''(マット) {{{-1 - 성우: [[아오야마 유타카]]}}} 다이너의 단골. * '''토미'''(トミー) {{{-1 - 성우: [[마츠야마 타카시]]}}} 다이너의 단골. 커피를 좋아함. * '''조지'''(ジョージ) {{{-1 - 성우: [[하타노 와타루]]}}} '랭킹티비'의 진행자. * '''오웬 암스트롱'''(オーウェン) {{{-1 - 성우: [[스즈무라 켄이치]]}}} 무테키, 나오미의 아버지. 네오 샌프란시스코의 시장을 역임했지만 작품 도입부에선 행방불명상태. * '''오로라'''(オーロラ) [[https://www.youtube.com/watch?v=qyuF-20PODg|「JASMINE」 Video CLIP]] 네오 샌프란시스코의 슈퍼 아티스트.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br]ラビリンス[br]라비린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r0-kR1xXSs,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puZxKjiWIc,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4> [[ORANGE RANGE]]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프닝 디렉션''' || THINKR || || '''작화감독''' || [[타카하시 유이치]][br]시바타 시로(柴田志朗)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ffffff,#ffffff ED[br]希望の唄[br]희망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zF4X6t1TK8,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vSswpIvLEg,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KALMA || || '''작사''' || 하타야마 유즈키(畑山悠月)[br]YMOK || || '''작곡''' || 하타야마 유즈키(畑山悠月) || || '''편곡''' || KALMA[br]이시자키 히카리(石崎 光)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디렉션''' || THINKR || || '''일러스트레이션''' || Utomaru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전화 댄스 콘티 / 연출: 사토 마사후미(佐藤まさふみ)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대원방송]]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Muteking Begins[br]Breaking Begins}}} ||<|2> {{{-2 콘도 유지[br](近藤祐次)}}} ||<-2> {{{-2 와타나베 요우[br](渡辺 葉)[br]사토 유조[br](サトウユーゾー)}}} || {{{-2 [[시미즈 켄이치]][br]마츠시타 준코[br](松下純子)[br]아라타 하야토[br](アラタハヤト)[br]타니구치 시게노리[br](谷口繁則)}}} || {{{-2 日: 2021.10.03.[br]韓: 2021.10.19.}}} || || {{{-2 제2화}}} || {{{-2 Brand-new Gadget}}} || {{{-2 [[오구로 아키라]]}}} || {{{-2 마에조노 후미오[br](前園文夫)}}} ||<|2> {{{-2 황일진}}} || {{{-2 日: 2021.10.10.[br]韓: 2021.10.26. }}} || || {{{-2 제3화}}} || {{{-2 Rock and Rolling}}} || {{{-2 카나스기 히로코[br](金杉弘子)}}} ||<|2> {{{-2 [[니시타 마사요시]]}}} || {{{-2 야마구치 요리후사[br](山口頼房)[br]사토 마사후미[br](佐藤まさふみ)}}} || {{{-2 日: 2021.10.17.[br]韓: 2021.11.02.}}} || || {{{-2 제4화}}} || {{{-2 Chill Out Sunset}}} || {{{-2 신카이 타케토[br](新海岳人)}}} || {{{-2 마타노 히로미치[br](又野弘道)}}} || {{{-2 카네코 마사쿠니[br](金子匡邦)[br]오키무라 타다요시[br](興村忠義)[br]우에스기 준지[br](上杉遵史)[br]시미즈 켄이치[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0.24.[br]韓: 2021.11.09.}}} || || {{{-2 제5화}}} || {{{-2 Goodbye Park}}} ||<|2> {{{-2 카나스기 히로코}}} || {{{-2 오구로 아키라}}} || {{{-2 사사키 스미토[br](佐々木純人)}}} || {{{-2 하노 히로노리[br](羽野広範)[br]시미즈 켄이치[br]아라타 하야토[br]마츠시타 준코[br]우에스기 준지}}} || {{{-2 日: 2021.10.31.[br]韓: }}} || || {{{-2 제6화}}} || {{{-2 Stand Alone}}} || {{{-2 니시타 마사요시}}} || {{{-2 마에조노 후미오}}} || {{{-2 황일진[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1.07.[br]韓: }}} || || {{{-2 제7화}}} || {{{-2 Stage of Dreams}}} || {{{-2 콘도 유지}}} || {{{-2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 {{{-2 마타노 히로미치}}} || {{{-2 龍光[br]明光[br]毛応星[br]니시지마 케이스케[br](西島圭祐)[br]우에스기 준지[br]카네코 마사쿠니[br]시미즈 켄이치[br]마츠시타 준코}}} || {{{-2 日: 2021.11.14.[br]韓: }}} || || {{{-2 제8화}}} || {{{-2 Muteki Mode}}} ||<|2> {{{-2 카나스기 히로코}}} || {{{-2 오구로 아키라}}} || {{{-2 야마구치 요리후사[br]사사키 스미토}}} || {{{-2 나카무라 미치노스케[*총 총작화감독][br](中村路之将)[br]황일진[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1.21.[br]韓: }}} || || {{{-2 제9화}}} || {{{-2 In the Dark}}} ||<-2> {{{-2 요코우치 카즈키[br](横内一樹)}}} || {{{-2 나카무라 미치노스케[*총][br]후타후사[br](ふたふさ)[br]아라타 하야토[br]니시지마 케이스케[br][[신영순(애니메이터)|신영순]][br]후쿠에 미츠에[br](福江光恵)[br]오키무라 타다요시[br]시미즈 켄이치[br]우에스기 준지[br]마츠시타 준코}}} || {{{-2 日: 2021.11.28.[br]韓: }}} || || {{{-2 제10화}}} || {{{-2 Sweet Memories}}} ||<|3> {{{-2 콘도 유지}}} ||<-2> {{{-2 토쿠노 유지[br](徳野雄士)}}} || {{{-2 나카무라 미치노스케[*총][br]황일진[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2.05.[br]韓: }}} || || {{{-2 제11화}}} || {{{-2 Heartbreak}}} ||<-2> {{{-2 마타노 히로미치}}} || {{{-2 나카무라 미치노스케[*총][br]황일진[br]류취안[br](劉 泉)[br]타카세 유리코[br](高瀬ゆり子)[br]우에스기 준지[br]후쿠에 미츠에[br]마츠시타 준코[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2.12.[br]韓: }}} || || {{{-2 제12화}}} || {{{-2 The Dancing Hero}}} || {{{-2 요코우치 카즈키[br]사토 마사후미[br]사토 유조}}} || {{{-2 마에조노 후미오[br]사토 마사후미}}} || {{{-2 나카무라 미치노스케[*총][br]황일진[br]아라타 하야토}}} || {{{-2 日: 2021.12.19.[br]韓: }}} || == 평가 == 무테킹의 인지도도 다른 옛 IP의 리메이크에 비해서는 낮은 편으로 시작해서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플라스틱 러브]] 같은 80년대의 [[서브컬쳐]]와 [[애플]]을 패러디 한 듯한 현대 문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다양한 오마주를 넣기는 했지만 완성도 높게 소재를 다루지는 못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초반에 이해하기 힘든 병맛식 개그와 변신부터 이어지는 뱅크씬으로 물리친다는 원패턴 전개를 보여 줘서 시청자들을 벙찌게 만들었다. 원작 무테킹이 롤러스케이트 격투 액션으로 인기를 얻은 작품이었는데 격투는 없고 춤을 추면서 적을 해치운다. 원작 팬들은 실망할 수 밖에 없는 변화이다. 황당한 연출이나 장면들은 제작진은 병맛개그를 노리고 웃기라고 만든 장면들이였으나 개그가 개그로 보이지 않는 애매한 진지함과 낮은 텐션 덕분에 개그 포인트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하지 못해서 그냥 단순히 의미 불명이였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래도 나름 80년대의 서브컬쳐를 팝아트처럼 승화시켜서 보여주어 매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온고지신 정신을 잃은 현대 문명을 비판하는 에피소드들은 주제의식은 볼 수 있었고 과거의 서브컬쳐에 향수를 느끼는 층은 이런 부분은 괜찮았다고 평가하였다. 또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로가서는 원 패턴 전개에서 벗어나 스토리가 진행되며 긴장감을 높이면서 재밌어졌다는 평가를 받았고 초반의 복선들을 잘 쌓아올려서 잘 마무리를 지었다. 80년도의 다양한 문화를 오마주하고 리스펙트하고 하이라이트를 장식하기도 한 연출은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온고지신이라는 주제와 달리 현대 문화에 대해서는 삽입곡은 좋았지만 메시지적으로는 부정적인 측면만 강조했다. 현대 문화뿐만 아니라 주 시청자 층이기도한 현 세대 오타쿠들에게 어필하는 요소가 하나도 없었다. [[사사가와 히로시]] 작품이 늘 그랬던 것처럼 이 작품도 [[자본주의]] 비판이 담겼다. 특히 [[애플]]을 중심으로 세게에 퍼진 스마트 문화에 대한 비판이 담겼다. 하지만 현대인은 이제 스마트폰이나 [[유튜브]] 같은 게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는 지경인데 그런 것을 멀리하라는 메세지를 담아 큰 공감을 얻지 못했다. 이전 세대 오타쿠들도 크게 잘 만든 애니라고 평가하지는 않고 후반부에 그나마 만회했다는 평이 많으며, 현 세대 오타쿠들에게는 완전히 외면 당한 작품이 되었다. == 기타 == * 1화의 BGM으로 [[시티 팝]] 뮤지션 [[타케우치 마리야]]의 [[플라스틱 러브]]가 나온다. * 원작에 대한 오마주가 상당히 많은 편으로, 메인 악당이 검은 문어라는 점, 게임 센터에서 등장하는 4남매는 원작의 검은 문어 형제의 오마주라는 점 등 원작을 본적이 있다면 소소한 리스펙트를 여기저기서 찾아볼 수 있다. * 원작 무테킹의 디자인과 병맛 컨셉을 현 시대에 맞춰 뉴 레트로적인 [[복고]]풍으로 만들었고, 병맛 컨셉도 [[프리파라]] 같은 느낌으로 바뀌어서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을 준다. * 같은 병맛 컨셉과 마지막에 노래로 악을 물리치는 이유로 [[사라잔마이]]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 [각주]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타츠노코 프로덕션]][[분류:데즈카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