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hardcoregaming101.net/beatplayer2000.png|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6011d32e6dfac492f958b5f620f73006cecd98f227eaeaf17ed258610ac557e8|심의 결과]] [[1999년]] 10월 말, [[코메드실업]]이 dgPIX라는 이름을 달고 출시한 [[리듬 게임]]. 겉보기에는 [[비트매니아 시리즈]]의 인기에 편승해서 만든 아류작으로 보이지만, 이 게임의 심각한 문제점은 '''[[Be-Music Script]]를 상업 목적으로 무단 사용했다는 점'''에 있다. 이 사실이 당시 한일 양국의 BMS 팬층과 포럼에 알려지자, BMS 동호인들 사이에서 어그로를 끌었고 결국 제대로 손가락질 받자 개발사는 사과문을 올리고 아케이드 게임 사업에서 사실상 철수했다. 물론 [[나라 망신]]인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다. == 특징 == 이 게임은 다른 리듬게임보다 독특한 방식으로 설치되었는데, 전용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일반 아케이드 캐비닛'''에 컨트롤러를 덮어씌우고, 기계 안쪽에는 게임이 돌아가는 기판을 넣었다. [[https://twitter.com/cursedcons/status/1346083213018468353?s=09|실제 모습은 대략 이런 느낌.]] PC 기반 기판이 아닌 의외로 [[https://twitter.com/dan_evileye/status/723152981009399808|자체 개발 기판]][* VRender0 Minus Rev5 기판이다.]이며, 낚시마니아와 렛츠 댄스 등의 자사 게임에도 사용되었다.[* 낚시마니아 3탄은 [[MAME]]에서도 구동 가능한 상태이다. 0.229 버전 기준으로 사운드가 나오지 않는다.] CPU는 하이퍼스톤 사의 E1 시리즈를 사용한다. 키간 간격은 EZ2DJ보다도 더 넓다. 대신 스크래치가 작다. [[http://www.hardcoregaming101.net/korea/gameindex-arcade-etitle.htm|기체 사진 출처.]] 게임의 그래픽은 당시 BMS 구동기를 짜깁기한 것 같다. 프레임은 30도 안 된다. 그나마 30프레임은 잘 나오는 축이지 노트가 많이 나오면 15프레임 가까이까지 떨어진다. 판정은 전부 다 좋은 편이다. 그리고 더 괴상한 것은 게이지가 엄청 잘 찬다. 대신에 초기버전의 경우 HARD모드에 있는 곡은 당시 상업용 건반리듬게임에 있는 어지간한 고난이도곡을 살짝 넘는 수준을 보여주었다. ~~그래봤자 [[DRUNK MONKY]] 앞에선 전부 버로우.~~ 후기버전은 곡들이 여럿 바뀌면서 초기버전의 난이도 인플레는 없어진 것 같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 HARD모드 전용채보 중 상당수는 임의로 제작사가 직접 끼워넣은 차분이라는 점이다. 일례로 FROZEN BUG의 경우 비트플레이어 2000의 하드모드에 있는 패턴은 원 BMS버전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수록곡의 라인업들은 미묘하다. 후기버전 기준으로 유로댄스 넘버의 카피곡도 있었는가하면, [[aym]]의 apple juice같은 나름 네임드 BMS도 있으며, 심지어 [[사자에상]]의 어레인지로 보이는 BMS[* dj F/A라는 BMS 제작자가 1999년도 당시에 club stubborn이라는 BMS 투고 사이트에 올렸던 사자에상 리믹스 [[http://www.youtube.com/watch?v=XKX6P79flbc|Saz@e657 -Peaceful Mix-]]]까지 수록되어 있었다. 그중에서 가장 압권은 [[팝픈뮤직]] 수록곡인 [[Quick Master]]의 미디음 버전 무단수록(…)[* 당시 활동하던 BMS 제작자 SUZUKI가 어레인지한 버전이다. Meiji Denki 명의로, [[메이와 덴키]] 스타일을 표방한 리믹스. [[https://www.youtube.com/watch?v=OgIe6KKGd7U|들어보기]]] 초기버전에 수록된 [[https://www.youtube.com/watch?v=svGt4TFLiMU|Hard Rave Medley]][* [[Dancemania]] 곡들의 메들리 BMS. 비트플레이어 2000 인게임에서는 Dance Mania Selectio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두번째 곡인 VOL.4는 [[DanceDanceRevolution 3rdMIX]]에 수록되었다.]는 3분 30초나 되는, 일반적인 리듬게임 곡으로서는 괴랄하게 긴 길이를 자랑한다. 롱버전 시스템이 있는 리듬게임의 경우 이런 길이는 롱버전으로 등장한다. 이 곡을 제외하고 다른 수록곡들은 모두 리듬게임에 수록되기 적합한 길이인 것이 유머. == 기타 == 결국 지금은 찾아보기가 힘든 리듬게임이 되어버렸다. 하긴 [[BMS]] 동호인들의 분노로 회사 자체가 거의 퇴갤했으니 이 오락기가 남아있는 오락실도 거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골 오락실 같은 데에서는 5년 넘게 돌아가는 경우도 있었다. 서울에서도 아현동의 한 오락실에서 2008년까지도 구동되었지만, 아현동 재개발로 인해 오락실 자체가 사라졌다. [youtube(U5ObBGrc0TA)] [[https://twitter.com/iMp95/status/606476304976769025|스크린샷]], [[https://twitter.com/iMp95/status/606475012011229184|타이틀 화면]] [[iMp]]가 기판을 입수하고 플레이한 영상. 진정한 [[쓰레기 게임]]이 뭔지 볼 수 있다. 첫 곡은 울트라 네이트의 'Free'라는 곡인데 역시 무단 수록이라 그런지 원곡을 키음화하지는 못한 것 같고 별도의 키음을 제작해서 덧붙인 것 같다.[* [[aym]]이 만들었던 카피 BMS였다. 문제는 [[https://www.youtube.com/watch?v=StuZYhZZZOk|해당 BMS는 싱크가 잘 맞는데]] 비트플레이어 2000에서 싱크가 안 맞는다.] 세 번째 [[고스트버스터즈]][* 원곡 음원을 그대로 가져와서 유튜브 저작권 시스템이 위 영상 설명 밑에 음원 링크를 걸어놨다(...).]는 노트가 남아있는데도 갑자기 리절트로 넘어가는 것이 특징. 그리고 국내 어떤 블로거가 기판을 입수했다. [[http://blog.naver.com/daehees1/220653885593|주소]] [[MAME]] 0.259에서 구동 목록에 추가되었다. [[https://twitter.com/PhilBennett3D/status/1703778482944188736|#]] 덤프된 버전은 업그레이드 버전이 아닌 첫번째 버전. 다만 사운드를 제대로 지원하지는 못하는 상태이다. 롬이 덤프되고 MAME에서 구동되자 [[더 커팅 룸 플로어]]에서 게임을 분석했는데[[https://tcrf.net/Beat_Player_2000|#]], 롬에는 들어 있지만 게임에 사용되지 못한 [[더미 데이터]] 중에 [[beatmania 2ndMIX]] 수록곡인 [[u gotta groove]](Triple Mazin Dub)도 있었다고... 이후 MAME 개발자 windyfairy가 사운드를 수정해서 다음 버전인 0.260에 적용되었다. 다만 에뮬레이션이 완벽히 구현되지 못해서 곡 선택시 게임이 멈추는 문제나 곡 플레이 중에 멈추는 문제가 간헐적으로 있어서 아직 Not Working 상태. [[분류:Be-Music Script]][[분류:이미테이션 게임]][[분류:1999년 게임]][[분류:리듬 게임/대한민국]][[분류:아케이드 전용 게임]][[분류:대한민국 전용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