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장착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igBangShot-SD17-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빅뱅 슛, 일어판명칭=ビッグバン・シュート, 영어판명칭=Big Bang Shot, 효과1=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포인트 올린다. 장착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 장착 몬스터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400 강화하고 [[관통(유희왕)|관통]]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나면 장착 몬스터를 제외하는 효과를 가진 장착 마법. [[관통(유희왕)|관통]] 부여와 타점 강화 좀 하겠다고 마법 / 함정 제거 효과 1방에 장착 몬스터까지 날려버릴 수 있는 리스크를 지기엔 리턴이 영 마땅치 않다. 수비 몬스터 대책이라면 제거 효과를 써주면 되고, [[히어로 플래시!!#H-히트 하트|H-히트 하트]]나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락다운|EM 락다운]]처럼 디메리트 없이 관통 부여가 가능한 카드도 존재한다. [[중무장무사-벤 케이]]처럼 장착 마법이라는 점을 활용하는 카드와 콤보를 이루는 것이 전제가 되겠지만, 디메리트 문제로 인해 [[파워 툴 드래곤]] 같은 카드와도 궁합이 좋지 않다. 다만 장착 몬스터에 제약이 없으므로, 이 디메리트를 역이용하여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시키고나서 자발적으로 필드에서 치우면 바로 제외가 가능해진다. 특히 [[안개 골짜기의 팔콘]] 등의 바운스 효과와 활용해주면 매 턴 쓸 수 있는 제거 수단이 되어준다. [[더블 싸이크론]]으로 파괴하거나, [[기고당당]]으로 재활용해서 자괴시키는 콤보 역시 가능. 장착 마법이다 보니 앞면 표시 몬스터한테만 써먹을 수 있긴 해도, 이 카드를 피하겠다고 상대가 뒷면 수비 표시로 몬스터를 꺼내면 그냥 자신의 몬스터한테 장착시켜서 관통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틀어 단순히 몬스터 강화용으로 써먹을 수도 있으면서 트리키한 전술도 가능한 카드라 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를 제외하는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났을 때, 장착 몬스터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남아있을 경우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장착 몬스터가 필드를 벗어나는 것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경우나, 장착 몬스터와 이 카드가 동시에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는 제외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관통 데미지는 장착 몬스터가 아닌 이 카드의 컨트롤러 시점에서의 상대 플레이어가 받는다. 즉 [[기고당당]]의 효과로 상대 턴에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시키면 관통 데미지는 상대가 받고, 그 상대 몬스터도 엔드 페이즈에 제외시키는 콤보가 가능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 41화에서는 [[텐죠인 아스카]]가 과거 회상 중 [[보이(유희왕 GX)|미츠오]]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중 1장으로 확인된다. [[유희왕 VRAINS]]에서는 [[쿠사나기 쇼이치]]의 과거 회상 중 [[후지키 유사쿠|Unknown]]와 듀얼을 하던 [[하노이의 기사]] 단원 중 하나가 사용. 선공 첫 턴에 [[잭 와이반]]에게 장착했으나, 다음 턴에 Unknown이 [[금지된 성창]]의 효과를 잭 와이반에게 적용하는 바람에 효과가 제대로 쓰이지도 못하고 패배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2-09-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3-032 | '''黒魔導の覇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1-JP141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6-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6-JP003 | 2005/06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7-12-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4-JP022 | [[황제의 강림|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帝王の降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7-JP026 | [[전사의 일격|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ウォリアーズ・ストライ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0-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FC-086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1-EN092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2-EN019 | CHAMPION PACK GAME TW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10-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RL-EN027 | [[거대룡의 부활|RISE OF THE DRAGON LORDS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4-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DE-EN024 | [[황제의 강림|THE DARK EMPEROR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10-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WS-EN026 | [[전사의 일격|WARRIORS' STRIKE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075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 || ||<(> 2013-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2-EN141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R)] || ||<(> 2004-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FC-KR086 | '''[[매지션의 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1-KR141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3-2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4-KR022 | [[황제의 강림|스트럭처 덱 - 황제의 강림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6-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7-KR026 | [[전사의 일격|스트럭처 덱 - 전사의 일격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메테오 스트라이크(유희왕)|메테오 스트라이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