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1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빙의하는 블러드 소울, 일어판명칭=憑依(ひょうい)するブラッド・ソウル, 영어판명칭=Possessed Dark Soul,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8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를 제물로 바친다. 상대 필드 위에서 레벨 3 이하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자신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레벨 3 이하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빼앗는 [[기동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이자, [[마인 다크 벌터]]의 융합 소재. 의외로 효과가 무섭다. 한 번에 몬스터 여럿의 컨트롤을 얻을 수 있는 정도를 넘어 빼앗은 카드에 디메리트까지 전혀 주지 않는 카드는 보기 드물다. 하지만 레벨 3 이하의 앞면 표시 몬스터 한정으로만 빼앗을 수 있는 건 둘째치고, 기동 효과다 보니 상대 턴에 발동이 불가능해서 전개를 끊기 어렵다. 일단 [[리바이벌 기프트]]를 자신의 턴에 발동해 상대 필드에 소환된 기프트 데몬 토큰을 가져오거나, [[데블리언 송]]이나 [[강격처분]]등으로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내리는 걸로 범위를 어느정도 넓힐 수는 있다. 레벨 3 이하이기 때문에 레벨 개념이 아예 없는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나 [[링크 소환|링크 몬스터]]는 빼앗을 수 없다. 메인 덱 몬스터가 죄다 레벨 3인 [[피안(유희왕)|피안]]의 전개 끊기 딱 좋아 보이지만 앞서 언급했듯 상대 턴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보니 이미 그럴 타이밍에 단테를 넘어 베아트리체가 되어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다이몬 코고로]]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세트되어 있던 [[환영의 요정]]을 공격했으나, 환영의 요정의 효과에 의해 공격대상이 [[새털라이트 캐논]]으로 변경되어 공격이 빗나갔다. 이후 [[드래곤의 제왕]]의 [[덱 마스터]] 효과로 [[푸른 눈의 백룡]]의 소환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공격명은 '소울 버닝(ソウル・バーニング)'. 마찬가지로 마인 다크 벌터의 융합 소재인 변경의 대현자는 레벨이 3인 관계로 이 카드로 컨트롤을 탈취하는 것이 가능한데 다크 벌터의 모습으로 봤을때 아마도 블러드 소울이 대현자의 몸을 강탈해 변이한 모습이 다크 벌터인것 같다. == 관련 카드 == === [[마인 다크 벌터]] === 빙의하는 블러드 소울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지옥의 괴뢰마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050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지옥의 괴뢰마인, 일어판명칭=地獄(じごく)傀儡魔人(くぐつまじん), 영어판명칭=Perditious Puppeteer,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500, 종족=악마족, 효과1=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든 레벨 3 이하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릴리스나 싱크로 소재로 할 수도 없다.)] [[제너레이션 포스(부스터 팩)|제너레이션 포스]]에서 등장한 최상급 효과 몬스터. 패 코스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의 레벨 3 이하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빼앗는 [[기동 효과]]가 있다. 기동 효과라서 상대 턴에 발동 못하는 건 그대로면서 릴리스도 못 하고 싱크로 소환도 못 하므로 [[융합 소환]], [[의식 소환]], [[엑시즈 소환]], [[링크 소환]]에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 효과를 가진 것치고는 최상급이라서 특수 소환을 노려야 하고, 레벨에 비해 공격력도 어정쩡하다. 빼앗은 몬스터와 이 카드를 모두 소재로 사용해서 링크 소환으로 잇는 것이 가장 좋은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