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장 부호]] [include(틀:다른 뜻1, from=□, other1=달랑베르 연산자, rd1=나블라, anchor1=달랑베르시안, other2=문자가 깨졌을 때 일부 운영체제에서 나오는 오류 문자, rd2=�)] [include(틀:토막글)] [include(틀:문장 부호)] [목차] == 개요 == {{{+5 □}}}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211&mn_id=30|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1.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 1.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글자의 수(수효) 만큼 표시하며, 문장의 어느 곳에나 쓸 수 있으므로 빠짐표는 띄어쓰기가 일정하지 않다.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미지수]]의 용도로 쓰인다. [* 예: 어떤 수를 □라 하거나 □+6=9 등의 수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