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뽀롱뽀롱 뽀로로 극장판 및 장편 애니메이션)] ||<-2>
{{{#fce207 '''{{{+2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2019)[br]''Pororo: Treasure Island Adventu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ororo 5 movie.jpg|width=100%]]}}} || || '''{{{#white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 || '''{{{#white 감독}}}''' ||김현호, 윤창섭|| || '''{{{#white 각본}}}''' ||[[이원식]] || || '''{{{#white 원작}}}''' ||[[뽀롱뽀롱 뽀로로]] || || '''{{{#white 제작}}}''' ||김일호 || || '''{{{#white 주연}}}''' ||[[이선(성우)|이선]], [[이미자(성우)|이미자]], [[김현지(성우)|김현지]], [[홍소영]], [[정미숙]], [[김환진]], [[김서영(성우)|김서영]]|| || '''{{{#white 음악}}}''' ||김정아|| || '''{{{#white 주제곡}}}''' ||우리의 꿈을 찾아서|| || '''{{{#white 제작사}}}''' ||[[오콘|[[파일:오콘 로고.svg|width=50]]]]|| || '''{{{#white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white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4월 25일]][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2020년]] [[10월 8일]] || || '''{{{#white 상영 시간}}}''' ||79분 22초[* 뽀로로 극장판 중 상영시간이 '''가장''' 길다.] || || '''{{{#white 제작비}}}''' ||36~40억 원 추정 || || '''{{{#white 월드 박스오피스}}}''' ||'''$4,691,794''' (최종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9W17&id=_fPORORO5TREASUREI01|기준]]) || || '''{{{#white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72,865명 ([[2023년]] [[9월 27일]] 기준) || || '''{{{#white 국내 스트리밍}}}''' ||[[https://www.tving.com/contents/P001081339|[[파일:TVING 아이콘.svg|width=20]]]]|| || '''{{{#white 공식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oconfriend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white 상영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제작된 [[한국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로, [[뽀롱뽀롱 뽀로로]]의 [[극장판]]이다. 같은날에 개봉했던 마블 어밴져스 엔드게임과 붙은 화제작. 뽀로로 극장판 시리즈 중에 작품성과 재미에 있어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작품이다. == 예고편 == [youtube(AWrJ202OdaA)]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떠나자, 보물섬으로~! 뽀로로와 친구들의 스펙터클 보물찾기 어드벤처! 전설 속 보물을 찾아 떠난 뽀로로와 친구들은 우연히 손에 넣은 지도를 따라 신비의 보물섬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사라진 실버 선장을 만나 비밀을 간직한 보물섬의 수수께끼를 풀어내지만, 악당 블랙 선장과 보물섬의 괴물로 인해 위기에 빠지는데... 과연 뽀로로와 친구들은 전설의 보물을 찾을 수 있을까? == 등장인물 == * [[이선(성우)|이선]] : 뽀로로 역 * [[이미자(성우)|이미자]] : 크롱 역 * [[김현지(성우)|김현지]] : 에디/제니 역 * [[홍소영]] : 루피 역 * [[정미숙]] : 패티 역 * [[김서영(성우)|김서영]] : 해리/햄스터 역 * [[김환진]] : 포비 역 * [[남도형]] : 실버/불독 역 * [[정승욱]] : 블랙 역 * [[이장원(성우)|이장원]][* 이전 슈퍼썰매 편에서 나오리 역을 맡았다.] : 오리상인 역 ||
[[뽀롱뽀롱 뽀로로|[[파일:뽀롱뽀롱 뽀로로 로고.png|width=100]]]][br]'''[[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의 최종 보스|{{{#e9e800 극장판의 최종 보스}}}]]'''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5> '''{{{#e9e800 스포일러 주의}}}''' || || [[뽀로로의 대모험|{{{#000,#e5e5e5 초코레또 딜라여쓰 백작}}}]] ||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000,#e5e5e5 푸푸}}}]] || [[뽀로로 극장판 눈요정 마을 대모험|{{{#000,#e5e5e5 용암 괴물}}}]] || [[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000,#e5e5e5 거미 마왕}}}]] ||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000,#e5e5e5 미스터 와이}}}]] || ||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000,#e5e5e5 크라켄}}}]] || [[게드(뽀롱뽀롱 뽀로로)|{{{#000,#e5e5e5 게드}}}]] || [[뽀로로와 친구들 극장판 바이러스를 없애줘!|{{{#000,#e5e5e5 바이러스}}}]] || ''[[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 및 장편 애니메이션#s-16|{{{#000,#e5e5e5 뽀로로 극장판 슈퍼스타 대모험}}}]]'' || - || }}}}}}}}} || [[분류:둘러보기 틀/애니메이션 영화]][[분류: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 [[분류:둘러보기 틀/애니메이션 영화]][[분류: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 * [[황창영]] : 크라켄/시츄 역 == 줄거리 == 실버 해적단의 선장인 실버는 보물지도를 노리는 블랙 해적단에게서 보물지도를 지켜내는데 성공하나, 폭풍우에 휘말려 행방불명되고만다. 이 이야기를 책을 통해 읽게된 뽀로로와 친구들은 보물을 찾으러 실버 해적단의 남은 단원들이 실버가 행방불명이 되어버린 사이 블랙에게 직원으로 착취당하고있던 해적 식당을 찾아가고, 그 과정에서 오리상인에게서 보물지도와 해적 장신구를 사고서 들어간다.[* 뽀로로와 친구들은 돈이 없어 이를 못살뻔했는데, 루피가 만든 과자로 대신 값을 지불했다. 과자가 얼마나 맛있었던지 오리상인이 과자 더 없냐고 애원할 정도였다.] 해적 식당에 들어간 뽀로로와 친구들은 주문을 받는 실버 해적단의 제니 앞에서 오리상인에게서 산 보물지도를 보여주며 보물을 찾으러 갈것이라고 자신만만해하지만, 제니와 해적 식당의 손님들은 수많은 가짜 보물지도들을 화장실 휴지 대신 쓰고있을 정도였기때문에 뽀로로가 가진 보물지도 역시 가짜라고 여긴다. 그런데 이 지도에 실버의 발자국이 찍혀있었기에 가짜가 아닌 실버의 진짜 보물지도임이 밝혀지며 뽀로로 일행과 블랙 해적단의 추격전이 시작되고, 추격전을 벌이던 와중에 폭풍우를 만나 어느 무인도에 난파된다. 섬에서도 추격전은 계속되고, 이 섬에서 행방불명이었던 실버도 생존이 확인됨과 동시에[* 섬에서 나가기위해 여러번 시도를 해보았지만, 그때마다 폭풍우 때문에 번번히 실패하였다고한다.] 뽀로로와 친구들이 보물 지도 속 보물섬에 난파되었단 것도 밝혀진다. 그렇게 보물지도를 둔 블랙 해적단과의 쟁탈전도 심화되는 한편 보물지도 속 퍼즐을 풀어가며 보물이 숨겨진 피라미드를 찾아내는 것까지 성공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블랙에 의해 실버가 절벽에서 떨어지며 다시 행방불명되고말고, 설상가상으로 보물지도를 지키다가 에디가 위치 추적기를 떨어뜨리는 바람에 그것을 주운 블랙이 피라미드까지 따라오는데 성공하고만다. 결국 뽀로로와 친구들은 블랙 일당에게 붙잡혀 포박당하고 보물들도 블랙 일당에게 넘어갈 위기에 처하게된다. 블랙이 보물을 챙기고 떠나려던 찰나, 보물을 지키기위해 크라켄이 나타나 블랙 해적단은 물론이고 뽀로로 일행까지 공격하는데, 실버가 기적적으로 돌아와[* 절벽에서 떨어지며 구름 속으로 사라질때 새 한마리가 날아들었는데, 이것이 실버의 생존에 대한 복선이었다. 이 새는 뽀로로와 크롱이 다른 친구들과 합류하기 전, 실버와 만났을때 실버를 도와주기도했는데, 이때 실버가 새와 대화한다고 새의 울음소리와 행동을 흉내내는게 압권.] 소라검을 들고서 크라켄을 상대한다. 하지만 실버는 크라켄과 대결을 벌이다 손바닥에 상처가 나 소라검을 쓸수없게되고, 이에 작전을 하나 생각해낸다. 그 작전은 천장에 있던 샹들리에를 소라검으로 끊어내 크라켄의 머리 위에 떨어뜨리는 것. 이를 위해 뽀로로에게 소라검을 맡긴다. 뽀로로는 처음에는 주저했으나 진정한 해적은 결코 물러서지 않는 법이라는 실버의 격려에 마음을 다지고 수락하여 작전을 성공시키고, 크라켄도 물리치는데 성공한다.[* 크라켄이 떨어진 샹들리에에 머리를 맞아 쓰고있던 헬맷이 부서지는데, 대머리라는 것이 밝혀져(…) 안절부절못하다 다리를 헛디뎌 처음 나왔던 구멍 속으로 떨어지고만다.] 크라켄이 사라지자 피라미드가 무너지기 시작하는데, 탈출에 성공한 다른 인원들과 달리 블랙은 그 와중에도 절벽에 매달려 보물을 갖는데에 집착하다 결국 구멍 속으로 빠지며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탈출하지 못한다]]. 뽀로로와 친구들, 실버, 남은 블랙의 부하들은 폭풍우를 뚫고 섬을 탈출하는데 성공하고 실버는 해적 식당에서 해어졌던 자신의 단원들과 재회한다. 뽀로로와 친구들은 보물을 가지지못해 아쉬워하나, 실버는 진정한 해적이 노려야 할 것은 보물 뿐만이 아니며 뽀로로 일행이 이미 보물을 찾은 것 같다며 그들을 격려하고 뽀로로를 해적으로 인정한다는 의미로 뽀로로에게 자신의 모자를 씌워준다. 그리고 뽀로로와 친구들은 실버 해적단과 함께 다시 항해를 떠나게되고, 섬에 혼자 남게되어 가장 좋은 보물을 가졌는데도 행복하지않다고 푸념하는 블랙의 모습을 보여주며 영화가 끝난다.[* 얼마나 외로웠는지 구멍으로 떨어지며 쟁취했던 크리스탈 수정 보물 위에 이목구비를 그려놓고 머리카락처럼 해초를 씌워놓아 [[윌슨(캐스트 어웨이)|가상의 친구인것처럼 꾸며놓았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10156426, user=없음)]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pororo-5-treasure-island-adventure,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61528,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P0vDP, user=3.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3735,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3136, expert=7.00, audience=9.39, user=9.30)]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9323, expert=없음, user=7.3)] [include(틀:평가/CGV, code=81690, egg=98)]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 [[영화 평론가]] 평 === > '''육아의 신 ‘뽀통령’의 귀환''' > - [[김성훈(영화 평론가)|김성훈]] ([[씨네21]]) (★★★★) > '''진정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보물''' > 지금까지 개봉한 네 편의 <뽀로로 극장판>은 겨울방학 성수기를 공략했다. 다섯 번째 시리즈는 처음으로 5월 어린이날/가정의 달을 목표로 한다. 넘실거리는 바다와 해적선이 등장하니 시기적절한 선택이다. 기존의 ‘대모험’들과 형식은 비슷하다. 아이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는 소재를 맛보기로 소개하고, 뽀로로와 친구들이 새로운 캐릭터를 만나 모험에 뛰어들고, 힘을 합쳐 미션을 완료한다. 신나는 음악과 군무가 어김없이 등장해 흥을 돋운다. 익숙한 얼개를 알차게 채워 재미를 주는 시리즈인 만큼, 해적 옷을 입고 귀여움이 더 강력해진 뽀로로와 친구들이 보람찬 모험을 약속한다. > - [[정유미]] ([[맥스무비]]) (★★★☆) > '''눈치 보지 않고 할 일 하는 (아동 애니계) 왕자의 위엄''' > 경쟁자들의 끊임없는 도전에도 여전히 장기집권 중엔 뽀통령, <뽀롱뽀롱 뽀로로>의 다섯 번째 극장판. 시장 상황이나 유행에 눈치 보지 않고 왕자의 길을 간다. 시리즈 중에서도 덩치가 꽤 큰 편이라 볼거리가 충분하다. 특히 각 캐릭터의 매력 골고루 살려주는 방식이 영리하다. 다섯 번의 극장판을 통해 쌓아온 노하우가 충분히 발휘되는 느낌. 교훈부터 자잘한 재미까지 안정감 있는, 잘 기획된 상품. 이렇게 특정 관객에 확실히 타깃팅 된 영화들에 별점은 의미 없다. > - [[송경원]] ([[씨네21]]) (★★★)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9W17&id=_fPORORO5TREASUREI01|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9년]] [[4월 25일]] || '''$4,854,418''' || '''[[2019년]] [[5월 19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러시아]] || [[2020년]] [[10월 8일]] || $32,720 || || || [[대한민국]] || [[2019년]] [[4월 25일]] || $4,854,418 || [[2019년]] [[5월 19일]]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2,320명 || 2,320명 || 미집계 || 19,644,000원 || 19,644,000원 || ||<|7> {{{#ffffff 1주차}}} ||2019-04-25. 1일차(목) || 16,260명 ||<|7> -명 || 2위 || 113,249,440원 ||<|7> -원 || ||2019-04-26. 2일차(금) || 15,951명 || 2위 || 127,026,520원 || ||2019-04-27. 3일차(토) || 117,772명 || 2위 || 921,076,650원 || ||2019-04-28. 4일차(일) || 122,713명 || 2위 || 963,244,570원 || ||2019-04-29. 5일차(월) || 9,647명 || 2위 || 70,392,930원 || ||2019-04-30. 6일차(화) || 10,717명 || 2위 || 76,622,990원 || ||2019-05-01. 7일차(수) || 102,381명 || 3위 || 730,599,150원 || ||<|7> {{{#ffffff 2주차}}} ||2019-05-02. 8일차(목) || 10,470명 ||<|7> -명 || 3위 || 71,685,560원 ||<|7> -원 || ||2019-05-03. 9일차(금) || 15,950명 || 3위 || 110,202,320원 || ||2019-05-04. 10일차(토) || 75,621명 || 3위 || 597,767,930원 || ||2019-05-05. 11일차(일) || 80,488명 || 3위 || 645,095,310원 || ||2019-05-06. 12일차(월) || 79,305명 || 3위 || 623,569,740원 || ||2019-05-07. 13일차(화) || 6,021명 || 4위 || 42,602,160원 || ||2019-05-08. 14일차(수) || 3,466명 || 5위 || 24,867,080원 || ||<|7> {{{#ffffff 3주차}}} ||2019-05-09. 15일차(목) || 3,007명 ||<|7> -명 || 8위 || 20,069,000원 ||<|7> -원 || ||2019-05-10. 16일차(금) || 3,397명 || 6위 || 24,128,520원 || ||2019-05-11. 17일차(토) || 23,282명 || 5위 || 182,937,110원 || ||2019-05-12. 18일차(일) || 22,655명 || 5위 || 178,619,920원 || ||2019-05-13. 19일차(월) || 1,579명 || 7위 || 11,191,980원 || ||2019-05-14. 20일차(화) || 1,972명 || 7위 || 13,665,300원 || ||2019-05-15. 21일차(수) || 1,391명 || 8위 || 9,509,400원 || ||<|7> {{{#ffffff 4주차}}} ||2019-05-16. 22일차(목) || 913명 ||<|7> -명 || 12위 || 6,015,560원 ||<|7> -원 || ||2019-05-17. 23일차(금) || 1,342명 || 11위 || 9,312,610원 || ||2019-05-18. 24일차(토) || 11,053명 || 7위 || 87,808,400원 || ||2019-05-19. 25일차(일) || 12,835명 || 7위 || 103,134,900원 || ||2019-05-20. 26일차(월) || 702명 || 12위 || 4,830,480원 || ||2019-05-21. 27일차(화) || 520명 || 16위 || 3,700,800원 || ||2019-05-22. 28일차(수) || 672명 || 13위 || 4,421,700원 || ||<|7> {{{#ffffff 5주차}}} ||2019-05-23. 29일차(목) || 218명 ||<|7> -명 || 27위 || 1,474,500원 ||<|7> -원 || ||2019-05-24. 30일차(금) || 484명 || 20위 || 3,243,300원 || ||2019-05-25. 31일차(토) || 2,770명 || 11위 || 22,208,910원 || ||2019-05-26. 32일차(일) || 2,703명 || 13위 || 22,064,540원 || ||2019-05-27. 33일차(월) || 185명 || 27위 || 1,368,200원 || ||2019-05-28. 34일차(화) || 274명 || 29위 || 1,793,080원 || ||2019-05-29. 35일차(수) || 294명 || 27위 || 1,646,500원 || ||<|7> {{{#ffffff 6주차}}} ||2019-05-30. 36일차(목) || 227명 ||<|7> -명 || 31위 || 1,401,100원 ||<|7> -원 || ||2019-05-31. 37일차(금) || 151명 || 31위 || 964,480원 || ||2019-06-01. 38일차(토) || 611명 || 18위 || 4,828,200원 || ||2019-06-02. 39일차(일) || -명 || -위 || -원 || ||2019-06-03. 40일차(월) || -명 || -위 || -원 || ||2019-06-04. 41일차(화) || -명 || -위 || -원 || ||2019-06-05. 42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7주차}}} ||2019-06-06. 43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9-06-07. 44일차(금) || -명 || -위 || -원 || ||2019-06-08. 45일차(토) || -명 || -위 || -원 || ||2019-06-09. 46일차(일) || -명 || -위 || -원 || ||2019-06-10. 47일차(월) || -명 || -위 || -원 || ||2019-06-11. 48일차(화) || -명 || -위 || -원 || ||2019-06-12. 49일차(수)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762,319명, 누적매출액 5,857,984,840원'''[* ~ 2019/06/01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include(틀: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박스오피스)]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아메리카 뮤직&와일드]], [[어벤져스: 엔드게임]](이상 [[2019년]] [[4월 24일]]), [[8년 전쟁: 이란 vs 이라크]], [[그 아이의 포로]], [[더 캡틴]], [[도우터 오브 마인]], [[메모리즈(영화)|메모리즈]], [[메이데이(영화)|메이데이]], [[베카신!]], [[보딩 스쿨: 기숙학교]],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숨바꼭질(2017)|숨바꼭질]], [[스카이 라인: 더 비욘드]], [[스피닝 맨]], [[안도 타다오(2016)|안도 타다오]], [[오버로드: 11구역]], [[천하대전]], [[크리스마스 호러 스토리]], [[프로스펙트]], [[하트스톤]](이상 [[2019년]] [[4월 25일]]), [[암드(영화)|암드]](이상 [[2019년]] [[4월 26일]])까지 총 21편이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스크린 독점]]을 벌리는 바람에 뽀로로 극장판은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2017년]] 작)에 밀리는 흥행 추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4~6일 어린이날 버프를 받으며 2주차 관객수가 다시 증가했고, 전작 관객 추이를 앞서기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관객을 끌어모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11~12일(개봉 17~18일차) 주말 버프를 받아 70만 관객을 돌파했다. 그러나 저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경쟁작 명탐정 피카츄의 개봉 등에 맞물려 전작의 최종관객수를 넘기는 힘들 것이다.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비공개지만,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의 손익분기점이 '''110만 명'''이었다. 제작비가 36~40억 원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 역시 제작비가 35억 내외로 손익분기점은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었다. 뽀로로 극장판과 비슷한 돈을 쓰는 [[애니메이션 영화]]가 바로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인데 이게 딱 36억 원 제작비를 써서 손익분기점이 105만 명이었다.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도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과 제작비 및 손익분기점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70만 명 선에 멈춰버리며 '''실패한 영화'''가 되어버렸다. === 기타 국가 ===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에 2020년 수출되었다. 흥행은 약 3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기타 == * 개봉 하루 차이를 앞두고 [[어벤져스: 엔드게임]]과 맞붙기 때문에 졸지에 경쟁작 드립이 흥하고 있다. "어벤져스 VS 뽀로로", 아무도 덤비지 못한 어벤져스에게 도전장을 내민 뽀로로, '''[[이젠 가망이 없어|뽀로로 극장판: 가망이 없어]]''' 등 많은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4월 22일 당시, 0.8%(14,375)의 예매율로 '''2위'''를 달리고 있다. 1위인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97%의 예매율로 다른 모든 영화들을 [[양민학살]]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런 일이 일어난 것. 사실 뽀로로 입장에서는 다른 오락 영화들과 달리 엔드게임 같은 메가톤급 이벤트에도 딱히 영향을 받을 만한 요소가 없다. 뽀로로의 주 관객층은 [[로다주]]가 2008년작인 [[아이언맨 1]]에서 "[[I am Iron Man]]"을 외치고 있을 때에는 태어나지도 않았을 저연령층이 대부분이다. 물론 마블 히어로들이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이긴 하지만 애초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들은 자막이나 액션 수위 등의 문제 때문에 어린아이들을 데리고서 마음놓고 극장에서 볼 수 있을만한 영화가 아니다. 특히나 엔드게임은 상영 시간만 3시간이 넘는 대작 영화인데 이러면 저연령층이 볼 수 있는 여건 자체가 안 된다. 즉, 처음부터 수요층 자체가 다른 영화이다. 오히려 엔드게임 때문에 다른 오락 영화들이 개봉을 피하거나 관객 수요를 빼앗길 때 개봉하는 게 상영관을 잡기도 쉽다. [[네이버 영화]]에서는 [[https://movie.naver.com/movie/bi/mi/scriptAndRelate.naver?code=183136#scriptMovie|본 영화의 명대사 항목에 엔드게임의 명대사를 패러디해서 올려 놓는]] [[트롤링]]이 가해지고 있다. * [[에디(뽀롱뽀롱 뽀로로)|에디]]역의 [[함수정]]성우가 성우를 그만두고 이민을 갔다는 설이 있어서 성우가 후배인 [[김현지(성우)|김현지]]성우로 교체되었다. 사실상 함수정 성우의 대표작이라고 할수있는 작품이었다. 성갤에 올라온 댓글을 보면 성우를 은퇴한것은 아니고 이민만 가있는 상태라서 극장판까지는 더빙을 못하고 TV판만 직접 개인적으로 녹음을 해서 파일만 보내는 형식이라고 한다. [* 사실 이 목소리는 뽀로로의 2번째 목소리(대체 성우)다.] *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한 게 보인다. 슈퍼썰매 편에서 시장인 방가와 악당 푸푸와 동일한 디자인의 캐릭터가 해적식당 잡상인으로 나온다. 심지어 오리상인은 슈퍼썰매 해설자인 나오리를 연기했던 성우까지 똑같다. * 뽀로로와 친구들이 실버와 함께 보물을 찾는 과정에서 에디가 보물지도 속 암호에 해당하는 버튼들을 눌러 ‘크라켄의 눈을 굴려라’ 라는 힌트를 얻어내는 장면을 자세히 보면, 에디가 맨 마지막으로 누르는 버튼 위 문양에 전원 버튼 아이콘이 깨알같이 그려져있다. [[분류:뽀롱뽀롱 뽀로로/극장판]][[분류:해적/창작물]][[분류: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