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 [include(틀:미개통역)] ||<-6><:>{{{+2 '''사곡'''}}}{{{+2 '''역'''}}}|| ||<:><-2>[[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왜관역|왜 관]][br]← 14.7 ㎞||<-2><:>[[충북종단열차|{{{#!html
충북종단열차
무궁화호
}}}]]||<:><-2>[[영주역|{{{#!html
영주 방면}}}]][[구미역|구 미]][br]4.6 km →|| ||<-6><:> [[대구권 광역철도|{{{#000000 '''대구권 광역철도'''}}}]]|| ||<:><-2>[[구미역|{{{#!html
구미 방면}}}]]--[[구미역|구미]]-- [br]← 4.6 km||<-2><:>[[대구권 광역철도|{{{#!html
대구권
광역철도

}}}]]{{{#red (미개통)}}}||<:><-2> [[경산역|{{{#!html
경산 방면}}}]]--[[왜관역|왜관]]--[br]14.7 km →|| ||<-6>[include(틀:지도, 장소=사곡역, 너비=100%, 높이=225px)]|| ||<-6><:>'''다국어 표기'''|| ||<:><-2>[[영어]] ||<:><-4>Sagok|| ||<:><-2>[[한자]] ||<:><-4>沙谷|| ||<:><-2>[[중국어]] ||<:><-4>沙谷|| ||<:><-2>[[일본어]] ||<:><-4>サゴク|| ||<:><-6><#c0c0c0>'''주소''' || ||<:><-6>[[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br](사곡동 495-1)|| ||<:><-6>'''관리역 등급'''|| ||<:><-6>[[무배치간이역]][br]([[구미역]] 관리 / 코레일 대구본부)|| ||<:><-6><#c0c0c0>'''운영기관'''|| ||<:><-2>~~[[대구권 광역철도|대구권[br]광역철도]]~~||<:><-4>미정|| ||<:><-6><#c0c0c0>'''일반 철도'''|| ||<:><-3>[[경부선]] 개업일||<:><-3>1965년 12월 10일|| ||<:><-3>[[무궁화호]] 영업개시일||<:><-3>1984년 1월 1일|| ||<-6><:>'''열차거리표'''|| ||<:><-2>[[서울역|{{{#!html
서울 방면}}}]][[구미역|구 미]][br]← 4.6 km||<:><-2>'''[[경부선]]'''[br]사 곡||<:><-2> [[부산역|{{{#!html
부산 방면}}}]][[약목역|약 목]] [br]8.2 ㎞→|| ||<-6><:> [[사곡역 #s-3|{{{#ffffff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 {{{+1 沙谷驛 / Sagok Station }}} * [[대구권 광역철도]] 영업개시일: 2019년 예정 [[파일:attachment/sagok_station.jpg|width=500]] [목차] == 개요 == [[경부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 (사곡동 495-1번지)에 위치해 있다. == 상세 ==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생가가 역 남쪽의 상모동에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구 상모동 171)에 있다. 하지만 사곡역에서 1km 넘게 떨어져 있고, [[대중교통]]도 매우 좋지 않은 편이다. 시내버스를 이용하려면 이 역에서 상모사곡동 주민센터 방향으로 가면 있는 사곡전원리빙필 정류장에서 '''그나마 잘 오는''' [[구미 버스 360|360번]]을 이용하거나, 410번이나 160번을 타고 상모우체국 앞에서 내려 걸어야 한다. 생가 바로 앞에 서는 361번 시내버스도 있지만 학생 통학용 노선인데다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는 사곡고교 앞 정류장이 아니면 철도와 연계도 되지 않아서 360번을 타고 오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이 역은 원래 경부선에 없던 역이었으나, [[1961년]] 사곡동 주민들이 구미역~[[약목역]] 구간은 경부선상 역간 최장구간[* 12.3㎞이다.]으로 당시 지역 주민 16,000여 명들의 편의를 위해 역을 설치해 줄 것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교통부에 제출하였으나, 지리적 여건의 이유로 불가하다고 회신받았다. [[1964년]] [[청와대]]와 [[철도청]] 등에 구미 지역 37개 부락대표 연명으로 2차 진정서를 제출했고 결국 [[1965년]] 6월 사곡동 주민들이 직접 돈을 내고 역을 짓는다는 조건 하에 신설 승인이 난 후 세워졌기 시작했다. 그 해 8~9월에는 연인원 3천 5백여 명의 주민들이 직접 '''[[시멘트]]를 등짐지거나 우마차에 넣은 후 끌고 와서 승강장을 만들었다.''' 조성 당시 승강장의 규모는 길이 360m, 폭 2m, 경사는 40도, 높이는 10m였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sagok_platform.jpg|width=300]] ||[[파일:attachment/sagok_platform1.jpg|width=300]] || 그해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67년]] 7월 [[배치간이역]]으로 승격시켰는데 그 해 5월부터 '''[[정부]]'''[* 고향을 기차 타고 가려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의도가 엿보인다. 비슷한 경우로 2008년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KTX]]를 타고 [[밀양역]]에 내려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으로 갔다. 당시에는 [[진영역]]에 복선 및 전차선을 깔고 있었던 때라서...]에서 역사를 착공하기 시작해 [[1969년]] 6월 준공했다. 실제로 이 시기 사곡역에 대한 증언을 들어보면 대통령 전용 열차가 정차했다느니, 역장은 청와대와 인맥이 있는 사람이었느니 하는 [[흠좀무]]한 썰이 많다. 하지만 [[2000년]] 12월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격하되면서 역사는 철거되었고 [[2015년]] 현재 사곡역은 벽체가 없고 '''기둥과 지붕으로 된 철근 콘크리트 골조만 남아 있다.''' 그래서 현재는 참으로 괴악하기 이를 데 없는 모양이다. 만약 밤에 열차를 탈 거면 '''위험하니 조심할 것.''' 경부본선의 열차가 5~10분 간격으로 역을 통과하는데 그것도 정상 속도로 통과한다. 더구나 무배치간이역이니만큼 [[구미역]] 역무실의 관리를 받는 CCTV[* 상시 감시를 하고 있는 것인지 열차 정차시간이 아닌 시간대에 승강장에 들어오면 나가라고 방송한다.]를 제외하면 지켜 보는 사람도 없고 다만 경고등만 반짝거린다. 열차 접근 안내방송이 최근에 나오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한눈 팔다가는 [[요단강 익스프레스|요단강 건너기]] [[십상]]이다. 그리고 승강장 폭도 딱 세 걸음이라 열차 지나갈 때마다 엄청난 [[폭풍]]이 몰려온다. [* 상행홈에서 하차할 시 열차가 보이지 않을 때 까지 승강장에 있다가 역사로 이동해야 한다. 역 앞뒤로 곡선이 있어 자칫 잘못하다 사상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2014년 5월 1일 현재 [[무궁화호]]가 하루에 상행 2편[* 4301호(동대구발 영주행), 1354호(부산발 대전행)], 하행 3편[* 1353호(대전발 부산행), 1273호(서울발 진주행), 4304호(영주발 동대구행)]씩 정차하고 있다. 그래도 구미역보다 구미IT파크, 구미국가산단~~다만 시내버스 연계는 망했어요~~과 가까워서 차후 [[대구권 광역철도]] 사곡역이 생기면 수요가 꽤 있을 듯하다. 실제로 2014년 한 해 동안 10000명 이상이 이용했다. 현재는 수요가 적지만 [[대구권 광역철도]] 사곡역이 생기면 [[구미시 시내버스|시내버스]]를 사곡역 앞을 다니게 조정하여 [[환승]]유도를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경쟁력이 있는 게, 버스로 약 30분 정도 소요되는 구미시내-상모사곡 구간을 택시보다 싼 운임 (수도권 광역철도와 같은 요금을 적용한다고 가정할 때) 으로 5~10분 남짓한 시간 안에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사곡동 앞 부동산은 대구권 광역철도 사곡역 정차가 확정되자 축제 분위기.] 2015년 12월경 출입구를 제외한 역사 주위가 철조망으로 둘러쳐졌다. 여러 [[무배치간이역]]들이 그러한 수순을 밟았듯 광역철도 공사로 인한 여객열차 미정차의 징조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홈에서 콘크리트 공사 [* 2015년 12월 10일 기준으로 상행선 1,2,3호차에서 하차가 불가능하다. 4호차 이후로 이동 바람. (어차피 전무님이 다 방송하신다)]가 이루어졌고 역사 내 바닥이 새롭게 바뀌어진 것으로 보아 거리가 먼 이야기다. 코레일 홈페이지의 '사이버역장의 추천여행' 카테고리에서 사곡역 인근 여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정차하는 열차 편수가 편수인지라 구미역의 여행정보와 동일시해서 보는 게 나을 듯.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을 위해 기존의 역사는 철거되고 지상 4,199 제곱미터 규모의 신역사가 건설될 예정이다. 선로 역시 기존 승강장을 철거한 후 그 자리에 대피선을 부설해 광역철도 운전취급을 위한 설비를 갖추게 된다. 무궁화호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는다. 여기는 완전히 무인역이기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차내에서 예매를 해야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어플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http://www.itrailnews.co.kr/mobile/article.html?no=28099|사곡역 설계공모가 종료되고 조감도가 공개되었다.]] 기존에는 선상역사로 건설 예정이었지만 건설비 등의 문제로 [[왜관역]]과 비슷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 승강장 == === 미래 === ||<-8><:>↑ [[구미역|구미]]|| ||<:><#0050fa>{{{#ffffff 1}}}||ㅣ||ㅣ||ㅣ||ㅣ||<:><#0050fa>{{{#ffffff 2}}} || ||<-8><:>↓ [[왜관역|왜관]]|| ||<:><#0050fa>{{{#ffffff 1}}}||<:>[[대구권 광역철도]]||[[구미역|구미]] 방면|| ||<:><#0050fa>{{{#ffffff 2}}}||<:>[[대구권 광역철도]]||[[왜관역|왜관]], [[서대구역|서대구]], [[동대구역|동대구]], [[경산역|경산]] 방면|| 통과선이 존재하는 상대식 승강장으로 예정되어 있다. == 여객열차 운행계통 == ||||||||||||<#FFFFFF><:> {{{#000000 '''급행여객열차'''}}} || ||||||||||||<#f55839><:> [[무궁화호|{{{#FFFFFF '''경부선 무궁화호'''}}}]] || ||<:> [[서울역|{{{#gray 서울}}}]] {{{#gray 방면}}}[br][[구미역|{{{#000000 구 미}}}]] ||<:> {{{+1 ←}}}[br]4.6 km ||<:> {{{#000000 '''사 곡''' }}} ||<:> {{{+1 →}}}[br]8.2 km||<:>[[부산역|{{{#gray 부산}}}]] {{{#gray 방면}}}[br][[약목역|{{{#000000 약 목}}}]]|| ||||||||||||<#f55839><:> [[무궁화호|{{{#FFFFFF '''충북선 무궁화호'''}}}]] || ||<:> [[동대구역|{{{#gray 동대구}}}]] {{{#gray 방면}}}[br][[왜관역|{{{#000000 왜 관}}}]] ||<:> {{{+1 ←}}}[br]14.7 km ||<:> {{{#000000 '''사 곡''' }}} ||<:> {{{+1 →}}}[br]4.6 km||<:>[[영주역|{{{#gray 영주}}}]] {{{#gray 방면}}}[br][[구미역|{{{#000000 구 미}}}]]||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분류:대구권 광역철도]] [[분류: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