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자주 틀리는 사동사)] [목차] == 개요 == 사동(使動, causative)[* causative라는 단어는 사동 표현 외에도 [[인과관계]]로 발생한 사건을 표현한 문장을 포괄하는 의미로도 쓰인다.]이란 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이다. [[한국어]]에서는 특히 접사형 용법이 [[피동 표현]]과 유사하기 때문에 함께 다룬다. 흔히 사동 표현/피동 표현으로 묶어서 다룬다. '법'이라는 단어를 쓰기는 하지만 '[[서법|mood]]'와는 관계가 없으니 주의. 태의 좁은 범위에서는 사동법이 들어가지 않지만, [[태(언어학)|태]]를 좀 넓게 정의해서 태로 묶는 경우도 있다. [[최현배]] 방식의 순우리말 계열 표현으로는 '[[시키다]]'에 대응되는 옛말인 '하이다'를 써서 '하임법'이라고 하며, 과거 논문에는 종종 등장하므로 편의상 병기해둔다. * 사동 표현: 사동법에 어휘적 사동까지를 포함하는 가장 넓은 용어. * 사동법(하임법):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사동문, 사동형 구성, 사동사 파생 등을 포괄한다. * 사동문(하임월): 형태적, 통사적 방식을 통해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 * 사동형(하임꼴): 사동문에서 쓰이는 동사의 구문과 형태. '-게/[[도록]] 하다' 등이 포함된다. * 사동사(하임말): 사동형 가운데 특히 사동접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를 통해 파생된 단어. * 사동접사(하임가지): 사동형을 파생시키는 접사. '-이, 히, 리, 기-', '-[[시키다]]' 등이 있다. [[영어]]에서는 사역동사, 지각동사라는 용어로 배우는데 사역동사는 동작을 하게 만드는 것이고, 지각동사는 감정을 느끼게 유도하는 것이다. == 종류 == 타동사가 쓰인 주동문이 사동문으로 바뀌면 주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부사어로 바뀌고, [[조사(품사)|조사]] '에게'가 붙으며, 새로운 [[주어]]가 생기고, [[목적어]]는 바뀌지 않는다. 자동사가 쓰인 주동문이나 형용사가 쓰인 문장이 사동문으로 바뀌면 주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목적어로 바뀌고, 조사 '를/을'이 붙으며, 새로운 주어가 생기고, 부사어는 바뀌지 않는다. === 어휘적 사동법 === '보내다', '살해하다' 등과 같이 사동적 의미를 가진 어휘를 만들어 사동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는 사동법으로 보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scare, bore, embarrass' 등 일부 감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는 으뜸꼴이 '''사동형'''이기 때문에 주어가 해당하는 감각이나 감정을 느꼈다는 표현을 하려면 해당 단어를 [[수동태]]로 표현해야 한다. === [[피사동 접사|파생적 사동법]] === [[피사동 접사|사동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를 이용하여 만든 사동문을 '파생적 사동문'이라 한다. 사동사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동사]]의 어간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등을 결합하거나 [[명사]]에 '-[[시키다]]'를 결합하는 것이 있다. 통사적 사동보다 짧기 때문에 '단형 사동'이라고도 한다. 자세한 것은 [[피사동 접사]] 참고. === 통사적 사동법 === 보조용언 '-[[게(어미)|게]] [[하다]]'를 이용하여 만든 문장을 '통사적 사동문'이라 한다. 파생적 사동에 비해 길기에 '장형 사동'이라고도 한다. 통사적 사동문은 주로 간접 행동의 의미를 가진다. * 나는 공부를 한다. → 부모님이 나에게 공부를 하게 한다. * 집이 불에 탄다. → 강도가 집을 불에 타게 한다. * 손이 곱다. → 영숙이는 손을 곱게 한다. 주동문이 타동문이면 주동문의 주어가 '에게'를 쓰는 부사어로 바뀌지만 주동문이 '~에게', '~에서' 등 별다른 처소 부사어가 없는 자동문이면 주동문의 주어가 목적어로 바뀌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통사적인 의미 단위를 어떻게 묶느냐에 따라 조사 처리가 달라질 수도 있다.(예: 강도가 '''집을''' 불에 타게 한다/강도가 '''집이''' 불에 타게 한다) '-지 말다'를 쓰는 금지 명령문으로 통사적 사동문을 만들면 대개 '-지 못하게 하다'가 된다. * 식당에서 떠들지 마. → 엄마가 아이에게 식당에서 '''떠들지 못하게 한다'''. '안' 부정문은 행위자의 의지가 있지만 '못'에는 그렇지 않은데 명령문은 그 의미적 특성상 명령자가 명령한다고 듣는 사람이 그대로 이행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그렇기에 명령자 입장에서는 의미상 가장 강력한 효과를 갖는 '못' 부정문을 써서 사동문을 만들 수 있다. '못' 부정문을 써 봐야 어차피 시행 가능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자연스레 피사동주 입장에서는 '안' 부정문의 효과를 누리는 것과 같아진다. 간혹 '-[[도록]] [[하다]]' 역시 이 부류로 넣기도 하나 사동성이 약해서 이견이 있다. == 과도한 사동 표현 == 사동 접사가 연달아 두 번 쓰인 것은 [[이중 피동 표현]]과 마찬가지로 이중 사동으로 표현해도 문법적으로 [[틀리다|틀린다]]. 다르게는 '삼중 능동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사동사에 사동 [[접미사]]를 붙이거나 '-하다'가 붙을 수 있는 어근에 '-시키다'를 붙이는 경우에 이중 사동이 된다. 아래는 이중 사동의 예시. * 헤매이다가 겨우 도착했네. → 헤매다가 겨우 도착했네. * 저 사람이 끼여들었어. → 저 사람이 끼어들었어. * 넌 날 설레이게 해. → 넌 날 설레게 해. * 아, 그만 놀래켜![* '놀래키다'는 사동사 '놀래다'의 방언이다.] → 아, 그만 놀라게 해! * 남/여자친구 없으면 내가 소개시켜줄 수도 있는데. → 소개할 수도 있는데. * 냄새 난다. 환기 좀 시켜라. → 환기 좀 해라. 단, 사동 [[접미사]]가 이중으로 결합한 '이+우'는 이중 사동이 아니다. 이를테면 '세우다(서다)', '채우다(차다)', '재우다(자다)', '씌우다(쓰다)' 등이 있다. 사동 접사와 '-게 하다'가 결합한 이중 사동은 그 의미 자체가 다르므로 틀린 표현이 아니다. * 아기 좀 재우게 해 주세요 → (제가) 아기 좀 재우게 해 주세요. / (실례가 안 된다면) 아기 좀 재워 주세요. '재우다'와 '게 하다'가 결합한 이중 사동 표현이다. '재워 주세요'는 직접 상대방에게 아기를 재우라고 부탁하는 것이고, '재우게 해 주세요'는 내가 아기를 재우도록 허가해 달라는 뜻으로 둘 사이의 의미 자체가 다르다. == 수수 표현 '-어 주다'와의 호응 == 사동 표현은 '-어 주다'류의 수수 표현(授受表現)과 잘 어울린다. '-어 주다' 역시 'A가 B에게 어떤 행동을 하여 건네다'로 2가 타동사이기 때문이다. 사동 표현의 경우 A가 B에게 시켜서 B가 행동하는 것이고, 수수 표현의 경우 A가 행동해서 B에게 주는 것이다. 두 표현은 단지 행동주가 누구인가만 다를 뿐이다. 특히 A가 어떤 일을 하여 그 결과가 B에 영향을 주는 유의 동사(예: '알리다', '구경시키다')의 경우, 행동한 것은 A이기 때문에 '-어 주다'를 써서 행동주를 A로 표시하여도 동작의 양상이 전혀 바뀌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여/혀/려/겨 주다', '-시켜 주다' 구문이 한국어에서 자주 등장한다. * 철수가 영희에게 소식을 알렸다. * 철수가 영희에게 소식을 알려 주었다. ('소식을 알리다'에서 '알다'의 행동주는 '영희'이지만, '알게 만든' 사동주는 철수이므로 '알려주다'의 주어로 '철수'가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음) 간혹 A가 B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 너무 명백한 동사의 경우, 오히려 '-시키다'만 쓰는 것은 이상하고 '-시켜 주다'가 더 자연스러울 때도 있다. * ^^?^^철수가 영희에게 서울을 구경시켰다. * 철수가 영희에게 서울을 구경시켜 주었다. ('구경시키는 행위'는 A가 행동하여 B에게 수혜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 명명백백하여 '-어 주다'를 쓰지 않으면 도리어 어색함) 명령형의 경우 영향을 주는 A에게 직접적으로 행동하기를 촉구하는 것이므로 '-시켜'보다는 '-시켜 줘'가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 철수가 영희에게 그 소식을 알렸다. * ^^?^^철수야, 영희에게 그 소식을 알려. * 철수야, 영희에게 그 소식을 알려 줘. 특히 피사동주가 자신인 문장인 경우 더욱 더 '시켜 주다'가 자주 쓰인다. 이 경우 피사동주는 주로 생략된다. * ^^?^^(나한테) 소개팅 좀 시켜. * (나한테) 소개팅 좀 시켜 줘. * 철수야, 영희한테 소개팅 좀 시켜라. * 철수야, 영희한테 소개팅 좀 시켜 줘라. ('소개팅을 시키는' A에게 부탁하는 입장이므로 A의 행동에 좀 더 초점을 맞추는 '시켜 주다'가 더 자연스러움) 여담으로 일본어에서도 양상은 비슷한데, 일본어에서는 직역하자면 '-어 받다' 구문인 '[[て]]・もらう'도 있어서 'させて・もらう'라는 구문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서 가게가 쉴 때 「お休みさせていただきます」(쉬게 해 주셨습니다)라고 하더라는 건 유명한 이야기. == 피사동주 표지 == '시키다'와 같은 사동문에서는 사동의 대상(=명령을 받는 사람), '피사동주(被使動主, causee)'가 드러나야 한다. 이러한 피사동주를 드러내는 피사동주 표지(causee marker)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종류 === '시키다' 단독 구성에서는 '-게 하다(시키다)'와 같은 통사적 사동 표현과는 달리 복문 구성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주격 조사 '-이/가'를 피사동주 표지로 쓸 수는 없다. * 나는 그가 일을 하게 하였다(시켰다). (O) * 나는 그가 일을 시켰다 (X) 대격의 경우에는 약간 애매하다. 안 되는 건 아닌데 사동문의 특성상 이미 사동의 내용으로 대격 조사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대격 조사가 두 번 출현(중출)하게 된다.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보통은 수혜격 '-에/'-에게'/'-한테'를 쓴다. * 나는 그를 앉게 시켰다. * ?나는 그를 밥을 먹게 시켰다. * ?나는 그를 일을 시켰다. ==== 수혜격 조사 '-에'(무정명사), '-에게'(유정명사), ~~'-께'(존대)~~ '-한테'(구어)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사동주 표지이다. 상기한 대로 사동문은 존대와 함께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께 시키다'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할아버지께 자주 말 시키세요.'와 같이 드문 용법, 또는 피사동주가 취하는 행위가 사동주와 피사동주 사이의 명령-수행 관계에 있지 않은 '보이다(보여 드리다)', '앉히다' 등의 동사와 어울리는 정도이다. (예: 나는 할아버지'''께''' 내 그림을 '''보여 드렸다'''.[* 피사동주인 '할아버지'가 '나'의 그림을 보는 것은 '나'가 윗시람으로서 시킨 것이라기보다는 '할아버지'가 별다른 부담 없이 보는 행위를 스스로 하게 만든 결과이므로 사동문이 자연스럽다.]) ==== -로 하여금 ==== 한국어의 사동법에서 피사동주 표지로는 주로 여격 조사 '-에/에게'를 사용하지만 축자적으로 피사동주를 표시하려는 경우나, 또는 여격이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경우 '-로 하여금'을 사용한다. 후자는 후술한 '피사동주 표지 밀림'의 예이다. * 선생님이 영희에게 일을 시켰다. (여격 조사 '-에게'로 피사동주를 표시한 문장) * 선생님이 영희로 하여금 철수에게 성적표를 전하[[도록]] 시켰다. ('철수에게 성적표를 전하다'로 '-에게'가 이미 쓰이므로, '-로 하여금'으로 피사동주를 표시함) 특히 영어에서와 같이 사물 주어를 통해 원인을 설명하는 문장에서는 피사동주 표지로 '-에게'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로 하여금'이 자주 쓰인다. * 어려운 경제 상황은 그로 하여금 2개의 직장을 다니게 했다. 이 표지는 영어 번역문에서 주로 나오기 때문에 [[번역체 문장/영어|번역체 문장]]으로 주로 여겨진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로 하여금'이라는 표지 자체가 번역을 통해서 탄생한 것은 아니고, '-로 하여금'은 사실 [[훈민정음]] 창제 이전부터 그 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오래된 표지이다. [[한국어/불규칙 활용]] 문서에도 적혀 있듯이 '하여'는 '하다'의 여 불규칙 활용 '하- + -아' 형태이며, '-금'은 강조 조사 '-곰'(厼)으로 '하게끔'의 '-끔'과 기원이 같다. 즉, '~(으)로(~에게) 하야'의 표지에 '-금'을 써서 강조한 구문이 굳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두 조사와는 달리 이 표지는 오로지 피사동주 표지로만 쓰이는 점이 특이할 만하다. ==== 여격 조사 '-더러', '-보고' (구어) ==== 비슷하게 여격 조사이긴 한데 약간 의미의 폭이 좁은 '-더러'와 '-보고'도 있다. 이 두 조사는 "누가 너더러(한테) 바보래?"와 같이 많은 경우 여격으로 쓰이나, '그에게 돈이 있다'와 같은 처격이나 '개에게 물리다'와 같은 행위주 표지로는 쓰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피사동주 표지로 '-더러', '-보고'를 사용하고 시키는 내용의 안은 문장에 '-에게'를 사용하는 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 내가 철수더러 너에게 돈을 주라고 그랬다. ('너에게 돈을 주다'는 가능하지만 '너더러 돈을 주다'는 불가능하므로, '-더러'를 피사동주 표지로 구분해서 사용) '-더러'와 '-보고'는 둘 다 구어에서 자주 쓰이는 조사로 문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명령문과의 비교 === 사동문은 개념상 명령문과 유사하다. 실제로 몇몇 언어는 사동문과 명령문의 문법적 특성이 유사하게 공유된다.[* 영어를 배워 본 사람이면 지겹도록 들었을, '사역동사(사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구성에서 목적격 보어는 원형 부정사(동사 원형)여야 한다는 게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사동주(주어)가 피사동주(목적어)에게 어떤 행위를 시키는(목적격 보어: 명령어) 것으로 명령과 유사한 논리를 갖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명령문은 2인칭을 행위자로 두는 반면에 사동문은 3인칭을 행위자로 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2인칭 피사동주를 만들 수 없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이지 않으며, 이때는 대개 상대방에 대한 명령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나타낸다는 느낌이 난다. * 빵을 먹어라. * 내가 너한테 빵을 먹게 했다. * 내가 너한테 빵을 먹였다. 위와 같이 명령문 대신 사동문을 써서 2인칭 피사동주를 만들면 마치 피사동주가 제대로 사리분별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잠시 있었다든가 해서 그 뒤에 주어가 피사동주에게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지시킨다는 느낌이 든다. 명령문과 사동문이 모두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시킨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인지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명령법과 사동법을 결합한 문장을 매우 어려워한다. 그냥 어려워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이해 자체를 못 하는 정도이다.] * 아이에게 좀 더 몸에 좋은 음식을 주게 하세요. (×; 의도한 것은 '아이에게 좀 더 몸에 좋은 음식을 '''먹게 하세요'''.'이다. '음식을 주는' 것은 사동주의 역할인데 '-(으)세요'를 받는 피명령주 또한 사동주로 겹치는 데다가 '음식을 먹는' 것은 피사동주인 '아이'가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명령주, 피명령주, 사동주, 피사동주가 뒤얽히며 [[답이 없다|대참사가 난 것]]이다. 피명령주는 명령문 특성상 2인칭이어서 드러나지 않는 일이 잦기에 [[혼세마왕|혼란은 더욱 커진다]].) === 피사동주 표지의 밀림 현상 === 피사동주 표지는 의미론적으로 비교적 위계(hierarchy)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대격이 없다면 대격으로 쓰이지만 대격이 있을 때에는 여격으로, 여격이 있을 때에는 또 다른 사격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Dixon(2000: 54)[* Dixon(2000), Changing Valency: Case Studies in Transi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에서는 다음과 같은 [[프랑스어]]의 사례를 든 바 있다. > je ferai courir '''Jean''' > 내가 '''장을''' 달리게 시킬 것이다. >---- > je ferai manger ''les gâteaux'' '''à Jean''' > 내가 '''장에게''' ''케이크를'' 먹게 시킬 것이다. > ('케이크를 먹다'로 대격이 이미 사용되었으므로 수혜격 '-에게[à]'를 사용함) >---- > je ferai écrire ''une lettre au directeur'' '''par Jean''' > 내가 '''장을 통해''' ''사장에게 편지를'' 쓰게 시킬 것이다. > ('사장에게 편지를 쓰다'로 대격과 수혜격이 사용되었으므로 '-을 통해[par]'을 사용함) 한편 Dixon(2000:57)에서는 피사동주 표지로 항상 여격만이 쓰여 달리 밀려날 수 없는 [[브라질]] 지역의 Hixkaryana어에서 여격과의 혼동을 피하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 kuraha yimpoye Waraka '''rowya'''[*1인칭+여격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나에게'에 해당된다.] > 와라카가 '''나에게''' 활을 주라고 시켰다. >1. 와라카가 (누군가에게) [나에게 활을 주라]고 시켰다. (=와라카가 누군가로 하여금 나에게 활을 주라고 시켰다) >2. 와라카가 나에게 [\(누군가에게) 활을 주라]고 시켰다. (=와라카가 나로 하여금 누군가에게 활을 주라고 시켰다) 이 언어에서는 피사동주 표지와 여격 표지가 동일하므로 위 문장을 1, 2 두 가지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한국어 번역문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피사동주 표지로만 쓰이는 '-로 하여금'으로 번역해 두었다). 이때 이 언어에서는 > wimye [Kaywerye wya] > 내가 Kaywerye에게 주었다. 와 같은 방법으로 사동의 내용을 표시한다고 한다. == 그 밖에 == 통사적 사동법이라 해도 꼭 '하다'여야 하는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때의 '하다'는 다른 사동 의미의 동사를 대신하는 대동사가 아니냐는 견해가 있다. *반듯이 자르게 칼을 만든다. *더는 못 쓰게 부수었다. *또 다른 누구를 위하게 설득했다. == 관련 문서 == * [[한국어/문장의 문법 요소]] * [[한국어의 동사]] * [[접미사]] * [[수동태]] * [[이중 피동 표현]] * [[자주 틀리는 한국어/목록]] * [[피동 표현]] * [[피사동 접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키다, version=71)] [[분류:자주 틀리는 한국어]][[분류:한국어의 문법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