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영화의 배경이 된 전투, rd1=사르후 전투, other2=과거 사르후란 지명을 지녔던 지역, rd2=푸순시)] ||<-2>
{{{#000000,#dddddd '''{{{+1 사르후}}}''' (2022)[br]1619, The Battle of Sarhū}}}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장르''' ||역사, 전쟁, 액션 || || '''감독''' ||이영상 || || '''각본''' ||이성주 || || '''제작''' ||이영상, 김명훈(기획)[* [[국립진주박물관]]의 학예연구사이다.] || || '''촬영''' ||이영상 || || '''제작사''' ||우라웍스, [[국립진주박물관]] || || '''개봉일''' ||2022년 9월 27일[* [[유튜브]] 공개일이다.] || || '''상영 시간''' ||23분 || ##|| '''제작비''' ||'''○○''' || || '''국내 스트리밍''' ||[include(틀:유튜브 표시)] [[https://www.youtube.com/watch?v=BIk50JdhvuM|▶]] || || '''상영 등급''' ||미정 || || '''공식 홈페이지''' ||[[https://jinju.museum.go.kr/kor/html/sub02/02040603.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역사, 전쟁 단편 영화이다. 감독은 이영상이다. [[국립진주박물관]]이 박물관 영상 목적으로 연재한 화력조선 시리즈 시즌3 콘텐츠의 2번째 영상으로 제작했다. ##== 개봉 전 정보 == ##== 포스터 == ##== 예고편 == == 시놉시스 == >1619년 >[[천명제|누르하치]]가 [[푸순시|무순성]]을 점령하자 명은 더 이상 후금의 발호를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산해관 총병 두송(서로군), 개원 총병 마림(북로군), 요양 총병 [[유정(명나라)|유정]] 등 지휘관들을 뽑아 후금을 공격하기로 결정합니다. 이때 문제가 됐던 게 후금의 [[팔기군|팔기]]였습니다. 당시 팔기는 동북아시아 최강의 기병이었고, 이를 상대할 자신이 없었던 명군이 선택한 건 바로 조선의 [[사수#射手|총병]]이었습니다. > >“후금의 팔기를 상대하는데 총병 만한 게 없다.” > >명은 조선에 총병을 요청합니다. >당시 조선에는 [[광해군]]이 [[임진왜란|임란]] 직후 키워낸 정예 포수들이 있었습니다. >명의 출병 요청을 거절하지 못한 조선 조정은 1619년 2월 평안도 [[창성군|창성]]에서 부대를 편성하게 됩니다. > >도원수 [[강홍립]]은 전군 1만 3000명을 중영, 좌영, 우영의 세 전투부대로 나눴습니다. 이들의 행적을 살펴보면, > >2월 19일 조선군은 압록강을 건너기 시작했고, >2월 24일 본격적인 행군을 시작. >2월 26일 진자두(榛子頭)에서 유정의 명군과 합류 > >행군은 계속 이어졌고, 조선군은 난관에 봉착하게 됩니다. >2월 29일 조선군은 군량이 고갈 됩니다. 3월1일에야 수 십 석이 도착했지만, 1만 3,000여명 군사의 주린 배를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했죠. > >그리고 3월 2일 허기진 배를 움켜잡은 조선군 앞에 후금의 기병 500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날은 춥고, 배는 허기진대 조선군은 선전합니다. 중영장 문희성의 분전(奮戰)으로 후금 기병을 물리치지만, 이들의 진격을 후금은 가만히 바라만 보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렇게 조선군은 팔기의 저돌적인 공세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됩니다. 그리고 1만여명의 조선군이 부차 들판의 먼지와 함께 사라집니다. > >패배한 전투였기에 사르후 전투에 대한 우리의 기억은 짧습니다. > >단편영화 '사르후'는 역사 속 사르후 전투의 의미나 배경을 설명하기보다는 이 전투에 참여했던 이름 모를 군인들에 대한 추적이며, 추모를 위한 작은 노력입니다. 이 마음이 시청자들에게 전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BIk50JdhvuM|유튜브 영상 코멘터리]] == 등장인물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157|좌영장 김응하]] - 황성대 * 부관 - 김상우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811|중영장 문희성]] - 유영훈 * 한양포수 이성룡 - 박성환 * 평양포수 - 강준환 * [[유정(명나라)|명나라 유정 제독]] - 정경찬 ##== 평가 == ## 영화 코드란, 개별 영화를 구분하기 위해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번호입니다. 해당 사이트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메타크리틱의 경우 'https://www.metacritic.com/movie/aquaman/critic-reviews'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aquaman' 부분이 코드입니다. ## 야후 재팬 영화의 경우 'https://movies.yahoo.co.jp/movie/%E3%82%A2%E3%82%AF%E3%82%A2%E3%83%9E%E3%83%B3/365472/'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일본어 부분은 무시하고 '365472'만 적으면 됩니다. ## 왓챠의 경우 URL이 'https://watcha.net/mv/aquaman-2018' 형식에서 'https://watcha.com/ko-KR/contents/mWqJbZX' 형식으로 바뀌었습니다. 'mWqJbZX'가 코드입니다. ## ## 영화코드와 평점을 입력하고 해당 틀 앞에 ##을 제거시 틀이 표시됩니다. ## 점수를 넣지않고 빈 틀만 넣는 것은 '추가 바람'이고 규정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https://board.namu.wiki/b/qna/2833648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IMDb=, IMDb_user=, IMDb_list=, IMDb_rank=,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Filmarks=, Filmarks_user=, ## 엠타임=, 엠타임_user=, ## 도우반=, 도우반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왓챠=, 왓챠_user=,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MRQE=,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 TMDB=, TMDB_user=,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align=left&width=21.6px]] ⠀ '''온전히 펼쳐진 틀의 형태'''와 틀의 사용법은 [[틀:평가/영화 평점/설명 문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흥행 == ## == 기타 == * 사르후의 공개 이후 국립진주박물관 측에서 이 단편영화에 대한 '코멘터리 - 역사적 배경과 제작 뒷 이야기'를 공개했다. [youtube(oEP7Jz29iDw)]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역사 영화]][[분류:한국의 전쟁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단편영화]][[분류:조선/창작물]][[분류:명나라/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