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가나의 前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b.20m.es/kuffour.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1 새뮤얼 쿠포르}}} [br] Samuel Kuffour''' || ||<-2> {{{#000000,#e5e5e5 '''본명'''}}} ||새뮤얼 오세이 쿠포르 [br] Samuel Osei Kuffour || ||<-2> {{{#000000,#e5e5e5 '''출생'''}}} ||[[1976년]] [[9월 3일]] ([age(1976-09-03)]세) [br]{{{-1 [[가나]] [[쿠마시]]}}} || ||<-2> {{{#000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가나)] || ||<-2> {{{#000000,#e5e5e5 '''신체'''}}} ||[[키(신체)|키]] 178cm || ||<-2> {{{#000000,#e5e5e5 '''직업'''}}} ||[[축구선수]] ([[센터백]] / ^^은퇴^^) || ||<|1> {{{#000000,#e5e5e5 '''소속'''}}} || {{{#000000,#e5e5e5 '''선수'''}}} ||판토마스 쿠마시 (1983~1990 / ^^유스^^) [br] 킹 파살 베이브스 (1990~1991 / ^^유스^^) [br] [[토리노 FC]] (1991~1993 / ^^유스^^) [br] '''[[FC 바이에른 뮌헨]] (1993~2005)''' [br]→ {{{-1 [[1. FC 뉘른베르크]] (1995~1996 / ^^임대^^)}}} [br] [[AS 로마]] (2005~2008) [br]→ {{{-1 [[AS 리보르노 칼초]] (2006~2007 / ^^임대^^)}}} [br]→ {{{-1 [[AFC 아약스]] (2008 / ^^임대^^)}}} [br] 아산테 코토코 FC (2009)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59경기 3골^^([[가나 축구 국가대표팀|가나]] / 1993~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의 前 축구선수. 1990년대에 [[조지 웨아]]와 더불어 역대 최고의 아프리카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사실 조지 웨아에 비해 쿠포르의 경우 저평가를 받고 있는데 아마 스트라이커 포지션으로 스포트라이트에 걸맞는 활약을 펼친 웨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비수다보니 스포트라이트가 덜 받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웨아는 발롱도르 수상자이기 때문에 개인 커리어에서 말 그대로 압도적이다.] == 클럽 경력 == 1993년에 10대의 나이에 벌서 바이언의 1군 소속일 정도로 대형 수비수로 각광을 받았으며 1994-95 UEFA챔피언스리그 스파르타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챔스 데뷔골까지 터트리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1995-96시즌 [[1. FC 뉘른베르크]]로 잠깐 임대를 다녀온 뒤에 1997년부터 괴물같은 피지컬로 상대 공격수를 지워버리는 안구정화급 수비력으로 바이언의 주전자리를 차지한다. 특히 [[캄프 누의 비극|98/99 UCL 결승전이였던 맨유와의 경기]]에서 앤디 콜을 지워버리는 수비력은 일품이였다. 다만 교체해서 들어온 [[올레 군나르 솔샤르]]를 막지못해 통한의 역전골을 내주었으며 패배 후 자신의 실책에 땅을 치며 분노하여 흘리는 눈물은 바이언 팬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2년 후 쿠포르는 [[토마스 링케]], [[파트리크 안데르손]] 과 함께 철의 쓰리백을 구축하여 2000-01 UCL 우승의 주역이 되 2년전 한을 풀게 된다. 이 후에도 바이언의 주전 수비수로 제 몫을 해준 쿠포르는 그러나 안타깝게도 2004년 자신의 딸이 사고로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겪은 이 후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량이 순식간에 하락하게 된다. 결국 2005년에 이탈리아의 [[AS 로마]]로 떠나게 되지만 로마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못하게 되고 이 후 임대를 전전하다 자국 클럽인 아산테 코토로에 반 년정도 뛰다가 현역에서 은퇴하게 된다. == 국가대표 경력 == 1991년 15세의 나이로 FIFA U-17 월드컵 최종명단에 들어가 우승까지 경험한 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도 16세로 출전하며 동메달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1993년 FIFA U -20 월드컵에도 연이어 차출되며 팀의 준우승까지 이끄는 등 유소년 시절 엘리트 코스란 코스는 조기에 꽉 잡는 놀라운 커리어를 가졌다. 그러나 정작 성인무대에서는 별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데 이는 당시 아프리카 축구 헤게모니를 나이지라아와 카메룬이 꽉 잡고 있었기 때문에 국제무대에 가나가 나가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이다. 가나는 연이은 뒷심부족으로 2002년 월드컵까지 예선에서 탈락했고, 이는 쿠포르의 국대 커리어가 아쉬운 가장 큰 이유다. 마이클 에시앙, 아사모아 기안, 설리 문타리 등 이른바 가나 황금세대가 등장하며 가나는 [[2006 FIFA 월드컵 독일]] 무대에 진출하고, 마침내 선수 생활 말년에서야 쿠포르 또한 생애 첫 월드컵 무대에 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쿠포르의 기량은 정점을 찍고 내려온 상태였고, 월드컵 조별리그 1차전인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치명적인 실책으로 아이퀸타에게 골을 허용하며 쿠포르의 월드컵 무대는 이 경기로 끝나버린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바이에른 뮌헨]] (1993~2005) * [[분데스리가]]: 1996-97, 1998-99, 1999-00, 2000-01, 2002-03, 2004-05 * [[DFB-포칼]]: 1997-98, 1999-00, 2002-03, 2004-05 * DFB-리가포칼: 2000, 2004 * [[UEFA 챔피언스 리그]]: 2000-01 * [[인터컨티넨탈컵]]: 2001 * 가나 U-23 대표팀 * [[올림픽]] 동메달: 1992 === 개인 수상 === *역대 최고의 아프리카 선수 TOP 30: 2007 *가나 올해의 선수상: 1998, 1999, 2001 *인터컨티넨탈컵 최우수 선수: 2001 *[[BBC]] 올해의 아프리카 축구 선수: 2001 [[분류:1976년 출생]][[분류:쿠마시 출신 인물]][[분류:가나의 축구선수]][[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1. FC 뉘른베르크/은퇴, 이적]][[분류:AS 로마/은퇴, 이적]][[분류:AS 리보르노 칼초/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은퇴, 이적]][[분류:가나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가나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199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분류: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부르키나파소 참가 선수]][[분류:200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나이지리아 참가 선수]][[분류: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참가 선수]][[분류: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선수]][[분류:가나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96 애틀랜타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가나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93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호주 참가 선수]][[분류:1991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93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일본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