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백과사전]][[분류:송나라의 서적]] [목차] {{{+3 事物紀原}}} == 개요 == 중국 [[송나라]]의 고승(高丞)이 쓴 [[유서]](類書)이다. 원본은 20권 217사(事)이나 명나라 대 이과(李果)가 1472년 10권 1,765사로 만든 것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명대에 새로 추가한 것을 신각사물기원(新刻事物紀原)이라고도 부른다.[[https://catalog.digitalarchives.tw/item/00/08/54/0a.html|#]] 일본에서는 [[https://ja.wikipedia.org/wiki/%E9%B5%9C%E9%A3%BC%E7%9F%B3%E6%96%8E|우카이 세키사이]](鵜飼石斎, 1615-1664)[* 세키사이(石斎)는 [[아호]]이며 휘는 노부유키(信之)이다. 이 문헌 관련해서는 鵜信之로 자주 나온다.]가 훈점을 기입한 것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이후 1712년 일본에서 발간된 백과사전인 [[화한삼재도회]]에서도 이 책의 내용이 자주 인용된다.[* 화한삼재도회에서는 事物紀源이라고 약간 다른 표기로 이 책을 지칭하고 있다.] == 본문 구성 == [[파일:사물기원12.png|width=300px&align=center]] 권 첫 머리에 권의 총 부 수(凡七部)와 총 항목 수(共一百七十事)를, 부 첫 머리에는 부의 총 항목 수(凡二十四事)를 밝히고 있다. 가령 위 이미지에 보이는 1권은 총 7부로 되어있으며 항목 수는 170개이다. 그리고 1부 천지생식부(天地生殖部)는 총 24개 항목으로 되어있다. 부의 시작을 알리는 문장은 2칸 들여쓰기되어있으며 항목의 표제어는 들여쓰기 없이 써져있다. 그 뒤에 나오는 본문은 1칸씩 들여쓰기 되어있다. == 목차 == || {{{#FFF '''권'''}}} || {{{#FFF '''장 번호'''}}} || {{{#FFF '''이름'''}}} || {{{#FFF '''항목 수'''}}} || ||<|7> 1 || 1||天地生殖部,,천지생식부,,|| 24|| || 2||正朔曆數部,,정삭력수부,,|| 28|| || 3||帝王后妃部,,제왕후비부,,|| 26|| || 4||嬪御命婦部,,빈어명부부,,|| 28|| || 5||朝廷注措部,,조정주조부,,|| 27|| || 6||治理政體部,,치리정체부,,|| 18|| || 7||利源調度部,,이원조도부,,|| 19|| ||<|5><#CCC> 2 || 8||公式姓諱部,,공식성휘부,,|| 36|| || 9||禮祭聲歌部,,예제성가부,,|| 38|| || 10||崇奉褒冊部,,숭봉포책부,,|| 26|| || 11||樂舞聲歌部,,악무성가부,,|| 51|| || 12||輿駕羽衛部,,여가우위부,,|| 39|| ||<|4> 3 || 13||旗旐釆章部,,기조변장부,,|| 40|| || 14||官冕首飾部,,관언수식부,,|| 39|| || 15||衣裘帶服部,,의구대복부,,|| 44|| || 16||學校貢擧部,,학교공거부,,|| 44|| ||<|5><#CCC> 4 || 17||經籍藝文部,,경적예문부,,|| 44|| || 18||官爵封建部,,관작봉건부,,|| 28|| || 19||勳階寄祿部,,춘계기록부,,|| 30|| || 20||師保輔相部,,사보보상부,,|| 29|| || 21||法從淸望部,,법종청망부,,|| 36|| ||<|6> 5 || 22||三省網轄部,,삼성망할부,,|| 48|| || 23||地憲儲闈部,,지헌저위부,,|| 30|| || 24||九寺鄕少部,,구사향소부,,|| 39|| || 25||祕殿掌貳部,,비전장이부,,|| 26|| || 26||五監總率部,,오감총솔부,,|| 22|| || 27||環衛中貴部,,환위중귀부,,|| 31|| ||<|6><#CCC> 6 || 28||橫行武列部,,횡행무열부,,|| 21|| || 29||東西使班部,,동서사반부,,|| 37|| || 30||節鉞師漕部,,절월사조부,,|| 23|| || 31||撫字長民部,,무자장민부,,|| 38|| || 32||京邑館閣部,,경읍관각부,,|| 32|| || 33||會府臺司部,,회부대사부,,|| 26|| ||<|6> 7 || 34||庫務職局部,,고무직국부,,|| 28|| || 35||州郡方域部,,주군방역부,,|| 29|| || 36||真壇凈社部,,진단정사부,,|| 32|| || 37||靈宇廟貌部,,영우묘모부,,|| 26|| || 38||道釋科教部,,도석과교부,,|| 45|| || 39||伎術醫卜部,,기술의복부,,|| 22|| ||<|5><#CCC> 8 || 40||舟車帷幄部,,주차유악부,,|| 36|| || 41||什物器用部,,십물기용부,,|| 46|| || 42||歲時風俗部,,세시풍속부,,|| 42|| || 43||宮室居處部,,궁실거처부,,|| 23|| || 44||城市藩御部,,성시번어부,,|| 24|| ||<|6> 9 || 45||農業陶漁部,,농업도어부,,|| 29|| || 46||酒醴飲食部,,주례음식부,,|| 29|| || 47||吉兇典制部,,길흉전제부,,|| 40|| || 48||博弈嬉戲部,,박혁희희부,,|| 30|| || 49||戎容兵械部,,융용병계부,,|| 36|| || 50||戰陣攻守部,,전진공수부,,|| 21|| ||<|5><#CCC> 10 || 51||軍伍名額部,,군오명액부,,|| 45|| || 52||律令刑罰部,,율령형벌부,,|| 26|| || 53||布帛雜事部,,포백잡사부,,|| 37|| || 54||草木花果部,,초목화과부,,|| 29|| || 55||蟲魚禽獸部,,충어금수부,,|| 17|| 1권당 약 5~6부의 장으로 나누어져있으며 총 55부이다. 부 이름은 5글자로 맞춰져있다. 각 권마다 총 항목(事) 수, 부 별 항목 수가 나와있는데 부 항목 수를 합쳐도 가끔씩 권 항목 수랑 잘 맞지 않는다. 그런 연유로 여기 표의 항목 수 역시 1759항으로, 알려진 1765항보다 약간 적다. 위 표의 항목 수는 본문의 부 맨 첫 부분에서 밝히고 있는 부 항목 수를 옮겨적은 것이다. == 여담 == 국내 문헌 중에서 이름이 비슷한 것으로는 [[장지연]]의 만국사물기원역사(萬國事物紀原歷史, 1909)가 있다. == 외부 링크 == * 중국어 위키백과[[https://zh.wikipedia.org/wiki/%E4%BA%8B%E7%89%A9%E7%B4%80%E5%8E%9F|#]] * 중국어 위키문헌 - [[사고전서]] 본[[https://zh.wikisource.org/wiki/%E4%BA%8B%E7%89%A9%E7%B4%80%E5%8E%9F_(%E5%9B%9B%E5%BA%AB%E5%85%A8%E6%9B%B8%E6%9C%AC)/%E5%8D%B701|#]] * 와세다 대학 소장본[[https://www.wul.waseda.ac.jp/kotenseki/html/bunko31/bunko31_e1929/index.html|#]] - 앞서 언급한 우카이 세키사이 훈점본이며 1664년 간행되었다. 맨 앞의 1권은 서장과 목록만 있다. 2번째 PDF부터 1권으로 총 11개의 PDF를 제공하고 있다. * 구글 도서[[https://books.google.co.kr/books?id=gsMqAAAAYAAJ&printsec=frontcover&redir_esc=y#v=onepage&q&f=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