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OSC 릴/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 사뮈엘 움티티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ESM 올해의 팀|[[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17-18 ESM 올해의 팀|{{{#ffffff '''2017-18 ESM 올해의 팀'''}}}]]}}} || || || ||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ffffff 2018}}}]]'''}}}}}}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uel Umtiti 23-24.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f1b6a 40%, #e01f13 40%, #e01f13)" '''{{{#!html LOSC 릴 No. 14}}}'''}}} || ||<-3> '''{{{+1 사뮈엘 움티티}}}[br]Samuel Umtiti''' || ||<-2> '''본명''' ||사뮈엘 이브 움티티[* [[프랑스어]] 발음: [[http://iceager.egloos.com/3159459|/sa.mɥɛl um.ti.ti/]]][br]Samuel Yves Umtiti || ||<-2><|2> '''출생''' ||[[1993년]] [[11월 14일]] ([age(1993-11-14)]세) || ||[[카메룬]] [[야운데]]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 || ||<-2> '''포지션''' ||'''[[센터백]]'''[* 리옹 시절 [[레프트백]]으로도 많이 뛰었다.] || ||<-2> '''주발''' ||왼발 || ||<-2> '''신체''' ||[[키(신체)|키]] 182cm / [[체중]] 75kg || ||<|2> '''소속''' || '''유스''' ||므니발 FC (1999~2001) [br] [[올랭피크 리옹]] (2001~2011) || || '''프로''' ||'''[[올랭피크 리옹]] (2011~2016)''' [br] [[FC 바르셀로나]] (2016~2023) [br]→ {{{-1 '''[[US 레체]] (2022~2023 / ^^임대^^)'''}}} [br] [[LOSC 릴]] (2023~ ) || ||<-2> '''국가대표''' ||31경기 4골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2016~ )^^ || ||<-2> '''SNS''' ||[[https://www.instagram.com/samumtit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목차] [clearfix] == 개요 == ## 현 나무위키 편집지침에서 상단 요약문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축구선수 개요문단 선수 비교 및 서열 서술(ex: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 21세기 최고의 골키퍼 중 한 명,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등)은 금지된 상태입니다. 볼드체 사용하지 마세요. 또 개요부분에는 간략한 설명만 해주세요.##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센터백으로 현재, 프랑스 [[LOSC 릴]] 소속이다. 자국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우승에 기여하는 등 한때 클럽과 국대를 가리지 않고 맹활약을 펼쳐 차기 탑 클래스 수비수로 이름이 높았지만 거듭되는 부상으로 과거의 폼을 잃어 버린 비운의 선수로 유명하다.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뮈엘 움티티/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여 [[폴 포그바]] 등과 함께 프랑스의 우승을 이끌었다. [[퀴르 주마]]의 부상과 [[마마두 사코]]의 약물 논란으로 인해 [[유로 2016]]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라파엘 바란]]과 [[제레미 마티유]]가 부상으로 낙마,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대표팀]] 전력에서 이탈하면서 [[유로 2016]]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근데 사실 이거에 관해서 [[디디에 데샹]]이 비판받은 이유가 움티티를 명단에 넣고 마티유를 빼는 게 맞는 선택이라는 것. 실제로 2015-16 시즌 마티유의 활약상은...] [[유로 2016]] 8강 아이슬란드와의 경기에서 데뷔하였고, 이후 4강전에서도 출전하여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결승전에서도 역시 선발 출장했지만 팀의 패배를 막지는 못했다. 2018년 6월 2일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선제골을 넣었고 팀은 3 대 1로 승리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도 주전 센터백으로 출전했다. 첫 경기인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전에서는 이기긴 했으나 움티티가 PK를 내주었고, 16강전에서도 이겼음에도 3골을 먹혀서 프랑스 수비진에 문제가 많다고 여겨졌으나 토너먼트를 거치면서 점차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준결승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전에서 50분 경에 천금 같은 헤더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8년 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4강전에서 [[카를레스 푸욜]]이 헤더 골로 1:0으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을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게 했는데 움티티가 8년 뒤에 똑같이 재현한 것이다. 결승전에서는 [[루카 모드리치|모드리치]]-[[이반 라키티치|라키티치]]에 프랑스 중원이 밀렸음에도 불구하고 철벽 모드로 20년 만의 조국의 두 번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월드컵에서 무릎을 엄청나게 혹사해버린 탓인지 2019년부터는 소속 팀에서의 부진과 부상으로 점차 출전 기회가 줄어들더니, 2020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아예 한 경기도 나오지 못했다.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프레스넬 킴펨베]]와 [[클레망 랑글레]], [[뤼카 에르난데스]]까지 있기 때문에 국가대표에서 다시 기회를 잡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kQHspzo1tSo)] 딱 2년뿐이긴 했지만 전성기에는 발군의 기동력과 엄청난 점프력을 활용한 키에 비해 매우 우수한 제공권 장악[* 공중경합승률이 16-17 시즌 67%, 17-18 시즌 68%로 키가 '''12cm''' 가량 더 큰 피케와 두 시즌 모두 1%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다만 피케의 경합시도횟수가 더 많기는 했다.) 후임자 랑글레와는 비교불가한 수준.], 단단한 대인 방어가 돋보였다. 유로 결승전을 보면, 키 182cm의 움티티가 187cm의 [[페페(축구선수)|페페]]와 같은 높이로 점프했다. 페페가 점프력이 좋은 센터백임에도 말이다. 또 러시아 월드컵 4강전 골은 194cm 장신이면서 공중볼 장악도사인 [[마루앙 펠라이니]]를 상대로 공중볼 경합을 승리한 것이었다. 덧붙여 볼의 경로를 예측하여 차단하는 능력이나 바르셀로나가 옛날부터 아주 좋아하던, "공을 다룰 줄 아는 왼발 센터백"이라는 점도 특기할 만한 사항이었다.[* 바르트라가 바르셀로나에 정착하지 못한 점, 마티유가 그렇게 욕을 먹으면서도 한 자리 차지할 수 있었던 점, 아스날에서 잦은 부상으로 폼 저하가 와서 후보 처지였던 베르마엘렌을 냉큼 주워온 점 등이 이런 부분과 일맥상통한다.] 한 발 앞서 달려나가는 본능적 플레이와 182cm 수비수치고는 작은 키, 유려한 볼 컨트롤, 공중볼 위치 선정 등의 특징으로 보아 [[세르히오 라모스]]와 닮은 면이 많은 선수이다. 2017-18 시즌에는 나서는 플레이 외 몇몇 단점들을 보완해 --지금이라면 상상도 못할-- 완전체로 진화 중이었고, 정말로 제2의 푸욜이 되지 않을까는 기대를 받았으나, 2018-19 시즌부터는 성장이 정체되어 팀의 [[계륵]]으로 전락했고, 2019-20 시즌에는 폼이 아주 조금 올라왔으나 '''수비수인데도 수비를 하지 않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며 실력이 퇴보하고 있다. 계속 되는 부상은 덤. 푸욜과 합성되고, 제2의 푸욜로 불렸던 과거에 비하면, 현재는 '''자신의 서브였던 랑글레의 서브'''로 밀리고--그 랑글레도 서브로 밀리고--, 옵션에도 없는 최악의 상태. ~~그럼에도 안 나가려고 버티는 충성심 아닌 충성심은 대단하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올랭피크 리옹]] (2011~2016) * [[쿠프 드 프랑스]]: 2011-12 * [[트로페 데 샹피옹]]: 2012 * [[FC 바르셀로나]] (2016~2023) * [[라리가]]: 2017-18, 2018-19 * [[코파 델 레이]]: 2016-17, 2017-18, 2020-21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6, 2018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2018 * 프랑스 U-20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U-20 월드컵]]: 2013 === 개인 수상 === * [[UEFA 챔피언스 리그]] Breakthrough XI: 2016 * UEFA 라리가 올해의 팀: 2017-18 * [[UEFA U-19 챔피언십]] 토너먼트의 팀: 2012 * [[ESM 올해의 팀]]: 2017-18 === 수훈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2018 == 여담 == * 예전 바르사 이적을 확정짓고 감격하여 울었다고 한다. [[http://v.media.daum.net/v/20160715091138503|관련 기사]] 어렸을 때부터 바르셀로나 이적을 꿈꿔왔으며 [[프랑크 레이카르트]] 시절부터 [[유튜브]]를 통해 바르사 경기를 보면서 성장했을 정도였으니 오죽하겠는가. 이로 인해 댓글창에선 움TT라는 아주 적절한 별명이 붙었다. * [[올림피크 리옹]] 시절 [[유로파 리그]]에서 [[토트넘 홋스퍼 FC]]를 상대로 엄청난 발리 슛을 넣은 적이 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mtitigoal.gif|width=100%]]}}} || * 위의 사진처럼 인상을 쓴 모습이 많아 무섭고 거친 성격으로 인식할 수도 있는데, 사실 저게 기본 표정이다. 그리고 생각 보다 노안인데, [[토마스 파티]]와 맘 먹을 정도다. * 성격도 과묵해 보이는 인상과는 다르게 보기보다는 굉장히 재치있고 유쾌한 것으로 보인다. 골 세리머니도 그렇고 [[폴 포그바]] 못지않은 분위기 메이커에 인싸다. 실제로 움티티와 포그바는 개인적으로 파티를 열 정도로 친하다. SNS도 열심히 하는 편인데, 재미있는 글이 많이 올라온다. * 바르셀로나로 온 첫해부터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현지 팬들에게 지지를 받아 한때 [[카를레스 푸욜]]의 후계자가 될 것이라는 극찬까지 들었다. 덕분에 네이마르, 하피냐 등의 팀 동료들이 푸욜과 움티티를 합성한 짤을 [[https://www.instagram.com/p/BLzKhjkjJN2/|올리면서]] 놀리기도 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fmkorea.com/da3e1ea9c712e63e00d6bbce2914d74d.jpg|width=100%]]}}} || * 골 세리머니가 굉장히 특이하다. [[피파 시리즈]]에서 세리머니로 종종 보이던 스피드워크가 바로 움티티의 세리머니. 러시아 월드컵에서 하고 엄청나게 유명해졌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움티티세레모니.gif|width=100%]]}}} || * 해외 팬들 사이에서 부진한 움티티를 조롱하는 의미에서 축구 관련 게시물에 뭐만 하면 댓글에 움티티라고 써갈긴다. 특히 유에파 챔피언스 리그 공식 인스타그램에서는 특정 선수를 보이지 않도록 검게 처리된 사진과 함께 이 선수가 누구인지 맞혀보라는 게시물을 자주 작성하는데, 댓글들을 보면 무조건적으로 움티티라고 하는 댓글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움티티의 어머니의 이름이 애니 응오 엄(Annie Ngo Um)이라는 이유로 이와 관련된 드립도 많이 나오고 있다.--이건 좀-- == 같이 보기 == [include(틀:LOSC 릴)] [각주]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야운데 출신 인물]][[분류:카메룬계 프랑스인]][[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올랭피크 리옹/은퇴, 이적]][[분류:FC 바르셀로나/은퇴, 이적]][[분류:US 레체/은퇴, 이적]][[분류:프랑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프랑스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프랑스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3 FIFA U-20 월드컵 터키 참가 선수]][[분류:인터넷 밈/축구 선수]][[분류:FIFA 월드컵 우승 선수]][[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슈발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