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시아의 환상종)] || 사신 || 사방 || 사계절 || 사색 || 오좌(五佐) || 오행 || || [[청룡]] || 동 (東) || 봄 || {{{#fff 청색}}} || 구망(句芒) || 木 || || [[주작(도교)|주작]] || 남 (南) || 여름 || {{{#fff 적색}}} || 축융(祝融) || 火 || || [[백호(도교)|백호]] || 서 (西) || 가을 || {{{#000 백색}}} || 욕수(蓐收) || 金 || || [[현무]] || 북 (北) || 겨울 || {{{#fff 흑색}}} || 현명(玄冥) || 水 || [[파일:강서대묘사신도.jpg]] 강서대묘의 사신도 [목차] == 개요 == 사신([[四]][[神]])은 동서남북의 방위를 다스리는 [[청룡]], [[백호(도교)|백호]], [[주작(도교)|주작]], [[현무]] 4마리의 영수(靈獸)을 통칭하는 말이다. 사수(四獸), 사상(四象)이라고도 부른다. == 상세 == [[회남자]](淮南子) 등에 의하면 동서남북을 다스리는 역할과 함께 계절신으로서 오좌(五佐) 중 사좌(四佐)를 맡고 있다. 이 사신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석상을 [[사신상]]이라고 한다. 그 밖에 서수(瑞獸 상서로운 동물)의 [[사령]]인 [[기린(상상의 동물)|기린]], [[봉황]], [[영귀]], [[응룡]] 4마리를 사신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중앙에 [[황룡]]과 [[기린(상상의 동물)|기린]]이 있다는 말이 있는데 명백한 근거가 부족한 말이다. 아무래도 [[오행]] 중 나무(木), 불(火), 쇠(金), 물(水) 거기에 4가지 색([[오방색]])과 사신의 색상과 속성(?)이 얼추 맞아 떨어져서 흙(土)에 넣을 것을 찾았던 모양인데, 원래 오행에는 그것을 상징하는 동물이 없었다고 한다. 굳이 있다면 [[인간]]이다. 다만 중앙의 [[황룡]]은 완전한 형태의 사방신을 언급하는 문헌들 중 저작 시기가 가장 오래된 회남자(淮南子)에서 사방신과 함께 중앙의 황룡을 분명히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776|언급하고 있으므로]] 황룡의 존재 자체가 근본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회남자에서 언급되기 전의 시기에 완전한 형태의 사방신이 성립되었는지, 성립되었더라도 각각에게 색이 부여되어 있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사방신이 어느 시기에 지금과 같은 형태로 완성되었는지는 학계의 의견도 분분하다. 또한 후대로 오면서 황룡은 다른 동물로 대체되는 경향도 보이는데 곰, 두꺼비, 뱀(혹은 이무기), 기린이 그것이다. 중앙이 [[두꺼비]], [[뱀]]이라는 개념에서는 두 종류로 나뉘는데 구진(句陳)과 등사(螣蛇)가 있어 총 6신이 되기도 한다. [[풍수]]상으로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를 뜻하며 좌청룡 우백호라는 말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하늘]]의 형상이 [[땅]]에도 반영된다는 전제에 따른 것. 하늘의 [[북극성]]이 [[왕]]이기 때문에 왕(북극성) 입장에서는 아랫 것들은 전부 남향이다. 물론 풍수상으로는 남향을 해야 햇볕을 받는다는 현실적인 요소도 함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징 체계 때문에 [[궁궐]] 남쪽으로 주작대로를 내며 왕은 북쪽에 앉아 남쪽을 바라본다. 남면(남쪽을 바라봄)은 군주 자리를 가리키는 말로 비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탓인지 사신 중 우두머리이자 으뜸은 중앙이 별도로 없다면, 혹은 있다고 하더라도 북쪽을 다스리는 현무로 주로 나온다. 넷이라는 적은 숫자에서 오는 임팩트 때문인지 같은 [[동양]] 쪽 사상인 [[십이지]]보다 많이 쓰이는 편이다. 또한 이들 4마리의 영수는 재미있게도 [[서양]] 쪽 사상인 [[묵시록의 4기사]]와 색 배합이 같기도 하다. 사족으로 사신과 비슷한 개념으로 [[도교]]에서는 4개의 바다를 다스린다는 '사룡'이라는 [[용왕]]들이 있다. * 동방청룡(동해용왕): 광덕왕(廣徳王), 오광(敖廣) * 서방백룡(서해용왕): 광순왕(廣順王), 오윤(敖閏) * 남방적룡(남해용왕): 광리왕(廣利王), 오흠(敖欽) * 북방흑룡(북해용왕): 광택왕(廣澤王), 오순(敖順) 도교와 자주 엮이지만 사신의 유래는 불분명하다. == 사신을 모티브로 쓴 작품 == * Dr.링에게 물어봐!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 자칭 '호무라바라의 사신' 4인조. [[이리야]]의 친구 4인방 중 [[카츠라 미미]]를 제외하고 [[가쿠마자와 타츠코]](청룡), [[쿠리하라 스즈카]](주작), [[모리야마 나나키]](현무) 3인, 추가로 [[후지무라 타이가]](...)(백호)로 구성되어 있다.[* 덤으로 미미를 제외한 3인조는 이름에 4성수와 관련된 한자가 들어가 있다. 타이가는 뭐 뻔하고.][* 개그성 극장판에서는 이 넷이 [[칼레이도스틱]]의 힘으로 사방신 마법소녀로 변신한 모습이 등장하기도 했다. 문제는 타이가의 복장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세일러문]] 판박이라서 모자이크 처리가 되었단 점...] * FOOKIES * [[LEGACY OF MATH -황금의 서-]] * [[SD건담 삼국전]] * [[삼후|사후(용제, 호효, 작순, 무의)]]와 [[천옥개]] * [[유비 건담]] - '''{{{#1e90ff 천옥개 창룡}}}''' * [[손권 건담]] - '''{{{#fac117 천옥개 노호}}}''' * [[조조 건담]] - '''{{{#dc143c 천옥개 염봉}}}''' * [[여포 톨기스]] - '''{{{#9400d3 천옥개 진무}}}''' * [[SKT - Swallow Knights Tales]] * ULTRA SWORD * [[Yes! 프리큐어 5 GoGo!]] * [[도너츠 국왕]] * [[바바로아 여왕]] * [[크레이프 왕녀]] * [[몽블랑 국왕]]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가이무]] - [[인베스|상급 인베스]]&[[오버로드 인베스]] * [[청룡 인베스]] * [[백호 인베스]] * [[듀듀온슈]] * [[신므그룬]] * [[가면라이더 세이버]] - [[가면라이더 버스터]], [[가면라이더 팔시온]], [[즈오스]] *[[갓 오브 하이스쿨]] - [[한대위]]의 [[극진공수도]] [[사신무]] * [[강철전기 C21]], [[코즈믹 브레이크]]의 사성수 로봇 * [[청룡(코즈믹 시리즈)|청룡]], [[청룡 버스트]] * [[백호(코즈믹 시리즈)|백호]], [[백호 거스트]] * [[주작(코즈믹 시리즈)|주작]], [[주작 바스카]] * [[현무(코즈믹 시리즈)|현무]], [[현무 다스테]] * [[구슬동자]] - 다크 비다 사천왕 - 메인 악역이지만 임무에 실패하면 벌을 받았다. * [[꾸러기 수비대]] - [[사천왕(꾸러기 수비대)]] * [[백색의 고우센]](사천왕 1호) * [[적색의 쥬켄]](사천왕 2호) * [[청색의 로우란]](사천왕 3호) * [[흑색의 겐엔]](사천왕 4호) * [[겟앰프드]] - 후에 패치가 되면서 [[계급]]이 동물의 발이 아닌 사신을 모티브로 했다. 또한 액세서리 중 사신수 시리즈로 칭하는 액세서리들이 있다. * 기동신선조 불타라 검 - [[사신(기동신선조 불타라 검)|사신]] * [[나루토]] - [[류우간|사]][[스이코(나루토)|천]][[쿠자쿠(나루토)|상]][[호우키(나루토)|인]][* 정확히는 이름에 관련이 되어있다.] * [[남코X캡콤]] * [[둥굴레차!]] * [[디지몬 시리즈]] - [[4성수]](와 [[황룡몬]]) * [[청룡몬]] * [[백호몬]] * [[주작몬]] * [[현무몬]] * [[러브히나]] * [[로맨싱 사가 3]] - 세계관의 속성 체계 대분류(천, 지--, 아비스--) 중 지에 해당하는 4속성의 소분류에 해당하며, 일반 서브컬처의 원소4속성을 대체 * [[로스트사가]] - [[사신무 진]] * [[마계탑사 사가]] - 각 장의 보스에 해당하는 적 캐릭터. *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 - [[에인로가드]]의 기숙사 이름 * 오만한 푸른 용의 탑 - 청룡 * 벼락을 물어뜯는 흰 호랑이의 탑 - 백호 * 영원히 타오르는 불사조의 탑 - 주작 * 과거와 미래를 보는 검은 거북이의 탑 - 현무 * [[마블 퓨처 파이트]] * [[블루 드래곤(MARVEL 퓨처파이트)|블루 드래곤]] * [[워 타이거]] * [[썬 버드]] * [[섀도우 셸]] * [[마스크 마스터즈]] * [[마작 파이트 클럽]] - 단위 시스템에 사신과 황룡을 채용. 덤으로 황룡의 상위 단위인 진룡에도 사신의 속성이 존재한다. * [[마피아 42]] - 마피아(주작), 군인(현무), 경찰(청룡), 의사(백호)의 스킨과 추리노트가 있다 * [[머나먼 시공 속에서]] 시리즈 * [[메이플스토리]] - [[도원경(메이플스토리)|도원경]]의 수호신 4인([[아라(메이플스토리)|아라]], [[백연(메이플스토리)|백연]], [[슈리(메이플스토리)|슈리]], [[가온(메이플스토리)|가온]]) * [[무한전기 포트리스]] * '''[[캐롯(무한전기 포트리스)|{{{#1e90ff 캐롯}}}]]''' * '''[[듀크(무한전기 포트리스)|{{{#2f9d27 듀크}}}]]''' * '''[[디그&다그|{{{#ff0000 디그&다그}}}]]''' * '''[[캐터(무한전기 포트리스)|{{{#9acd32 캐터}}}]]''' * [[몬스터길들이기]] - [[동방(몬스터길들이기)#s-2.1|사방신의 수호신장]]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 [[4수호신]][*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데, 내전사들의 모티브는 4신이다.]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의 [[스신]]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 [[청룡(바람의 나라)|청룡]], [[백호(바람의 나라)|백호]], [[주작(바람의 나라)|주작]], [[현무(바람의 나라)|현무]](그리고 [[황룡(바람의 나라)|황룡]]) * [[바람의 나라]] - 만화와 그 외의 게임 등의 파생 작품들 대부분을 포함. * [[비트매니아 IIDX]] 13 DistorteD의 [[CARDINAL GATE]] * [[사무라이 디퍼 쿄우]] * [[사신군]] * [[사신전]] * [[성검전설 3]] - 격투가 케빈의 최종클래스 필살기[* 청룡살진권(데스핸드), 주작비천무(델비슈), 백호충격파(갓핸드), 현무백열각(워리어몽크)] * [[삼국지 조조전]] * [[세인트 비스트]] * [[수권전대 게키렌쟈]] - [[환수권]] 사환장 * [[수라의 문]] * [[수리검전대 닌닌저]] * 세이류 마루 * 뱍코 마루 * 호우호우 마루 * 겐부 마루 * [[수요전]] - 여기는 5제 사신왕으로, 신왕급은 4명인데 그위에는 중앙에 황제가 있다. *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오리지널 사신의 [[초기인]]: [[용호왕]], [[호룡왕]], [[작무왕]], [[무작왕]] *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THE ANIMATION]] - 적 간부(세이류, 밧코, 스자쿠, 겐부) * [[아스피린]] * [[아이러브니키]]의 [[아이러브니키/등장인물|등장인물]] 중 아샤 왕국의 4대 가문의 가주 * 백씨 가문의 백영 - 청룡 * 월씨 가문의 월천상 - 백호 * 축씨 가문의 축우현 - 주작 * 명씨 가문의 명수연 - 현무 * [[악어(인터넷 방송인)|악어]]의 컨텐츠 중 [[살인자를 찾아라]], [[마크에이지]]에 고정 등장 아이템 * 아틀레냐 * [[어둠의 후예]] * [[요괴 가고제]] * [[요괴워치: 섀도사이드]] - 요성검을 지키는 검무마신으로 주작, 백호, 현무가 등장한다. 청룡은 일반 요괴로 등장. * [[여신전생 시리즈]] - [[청룡(여신전생 시리즈)|청룡]], [[백호(여신전생 시리즈)|백호]], [[주작(여신전생 시리즈)|주작]], [[현무(여신전생 시리즈)|현무]](그리고 [[황룡(여신전생 시리즈)|황룡]]) * [[엑스가리온]] * [[음양대전기]] * [[유유백서]] - [[사성수(유유백서)|사성수]] * [[유희왕/OCG]] - [[마장]], [[마장전사|XX의 소환사]],[[소환사(유희왕)]] [[크리스트론]], [[전뇌계]] * [[육상방위대 마오]] * [[원피스]] - 사황 [[카이도]](동물계 물고기물고기 열매/환수종, 모델 청룡)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판다리아 네 천신]] * [[월화의 검사]] 시리즈 * [[이누야샤]] - [[요우닌 슈]], 4번째 극장판「홍련의 봉래도」편의 '''[[사투신]]'''들. * 용라 - [[수령]] ([[청룡]])+([[아수라]]) * 수라 - ([[백호(도교)]]) * 흉라 - ([[주작(도교)]]) * 강라 - ([[현무]])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 [[모치즈키 토야]]의 [[서번트]] * [[이즈모(게임)|이즈모1]], [[이즈모2]], [[이즈모2 학원광상곡]] * [[전국란스]] * [[정열맨]] * [[주작의 활]] * [[천랑열전]] - 나우 * [[천원돌파 그렌라간]] * [[천지해]] * [[천하제일상 거상]] - [[천하제일상 거상/환수계 몬스터#신수|사신수]](+ [[천하제일상 거상/환수계 몬스터#신수 기린(地)|신수 기린]]) * [[천행기]] - [[청룡|우현]], [[백호(도교)|아힌]], [[주작(도교)|이정]], [[현무|도현]] * 초기인 용호왕 전기 * [[크로스 파이트 비드맨]] - 2기 한정. 1기는 오룡들을 주제로 하였다.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의 [[천년나무 쿠키|천년나무]]를 보좌하는 레전더리 펫들 * 청룡 - [[푸른 회오리용]] * 백호 - [[눈폭풍 예티]] * 주작 - [[마그마 불새]] * 현무 - [[에메랄드 수호골렘]] * [[킬라킬]] - 단역으로 등장한 교토 아베가모 학원의 결계사 4인조. * [[타워 오브 판타지]][* 주작을 제외한 3명의 무기 명칭은 전부 도교에서 붙인 의인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주작의 대사 중 지금의 이름은 본명이 아니라는 암시가 있는데, 그 경우 주작의 정식 명칭은 능광(陵光)으로 추정된다.] * 청룡 - [[맹장(타워 오브 판타지)|맹장]] · [[미미(타워 오브 판타지)|미미]] * 주작 - [[주작(타워 오브 판타지)|주작]] · [[란(타워 오브 판타지)|란]] * 백호 - [[감병(타워 오브 판타지)|감병]] · [[로한(타워 오브 판타지)|로한]] * 현무 - [[집명]] · [[명경(타워 오브 판타지)|명경]] * [[탑블레이드]] * [[강민(탑블레이드)|{{{#184293 드래곤}}}]] * [[레이(탑블레이드)|{{{#2f9d27 드래이거}}}]] * [[카이(탑블레이드)|{{{#cb2127 드랜져}}}]] * [[맥스(탑블레이드)|{{{#7600a9 드래셀}}}]] * [[태왕사신기]] * 처로 * 주무치 * 수지니 * 현고 * [[터닝메카드]] - [[마스터(터닝메카드)]][* 처음으로 동양의 환상종들이 바탕이 되었다. 다만 차체인 마스터는 황룡이 아닌 기린이며 투사체인 사성수는 주작을 제외하면 고증오류가 있으며 현무는 더 심하다.] * [[파이널 판타지 TYPE-0]] * [[파이널 판타지 14]] - 사신수 * [[퍼즐앤드래곤]] [[퍼즐앤드래곤/몬스터 개요/사방신|사방신]] *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의 신수들 * 물의 신수 - 청룡 * 얼음의 신수 - 백호[* 다만 외형은 호랑이가 아닌 북극곰이다.] * 불의 신수 - 주작 * 땅의 신수 - 현무 *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 [[포갓 레인저]] * [[포켓몬스터]] - [[볼트로스]], [[랜드로스]], [[토네로스]], [[러브로스]]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 [[건볼트]], [[아큐라(푸른 뇌정 건볼트)|아큐라]], [[지에드]][* 현무 모티브의 인물은 나오지 않았다.] * [[플로우(웹툰)]] * [[항아리]] * 화륜 * [[햣코]] * [[환상게임]], [[환상게임|환상게임 현무개전]] * [[환성신 저스티라이저]] * 류우토 * 렌가 * 코우키 * 엔노 * [[환세취호전]] === 수라의 문의 [[무츠 츠쿠모]]의 필살기 === [[무츠원명류]]에 전설로만 내려오는 필살기로 구현해낸 사람은 [[무츠 츠쿠모]] 외에는 언급되질 않고 있다. 죽기 직전의 상황에 몰렸을 때 나오는 기술로 발동되면 세 명의 잔상이 보일 정도로 엄청난 스피드로 이동을 해 상대를 현혹시키고 기술에 들어가는데... [[후와 호쿠토]]를 상대로 맨 먼저 보였던 주작은 상대의 머리 위에 올라않아 팔꿈치로 상대의 머리를 고정하고 '''뒤로 찍어내리는 것'''이다. 앞머리의 정수리에 타격을 입고 목까지 부러지는 살인 기술이다. 현무는 상대를 앞으로 넘어트려 두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묶은 뒤 박치기! 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마 급소 중 하나인 '''척추의 일부'''를 박치기로 세게 때리는 것 같다. '''그걸 맞고도 움직인''' [[레온 그라시엘로]]도 괴물이다. 단, 기술 시전 당시에 양 팔을 쓸 수 없는 상태라 박치기로 공격한 듯한 인상을 주는지라 본래의 위력이 나오지 않았다고도 볼 수 있다. 단, 위의 설명이 정말로 주작과 현무를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물론 위의 기술들이 무시무시한 살인기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그와 비슷할 정도의 위력을 가진 기술이 원명류에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필살기로서는 '호포' 나 '무공파', '사파산' 이나 '[[번개]]' 같은 기술들과 큰 차이가 없는 편이기도 하다. 오히려 위의 기술들을 시전하기 전에 보인 인간을 초월하는 동작이[* 실제로 그 동작을 읽지 못해서 머리 위를 내준 것이다.] '주작' 이나 '현무' 가 아닌가 하는 추측도 가능하다. 그리고 백호가 2014년 9월 연재분에서 등장. 작중 츠쿠모가 잃어버린 기억인 2년 전의 마에다와의 승부에서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기술 특성은 가드 상태에서 삼각조르기로 상대의 상반신을 고정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대의 비어버린 옆구리를 동시 가격하는 방식. 청룡은 2014년 12월 연재분에서 사용했고 기술 특성은 일종의 공중잡기. 첫 공격으로 상대를 공중에 띄운 후 두번째 공격으로 적의 공중 궤도를 봉인 후, 세번째로 타격후 꺾고 던져버리면서 마무리하는 방식. == 같이 보기 == * [[오행]] * [[십이지]] * [[묵시록의 4기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신, version=392, paragraph=5)] [[분류:상상의 동물]][[분류:중국 신화]][[분류:한국 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