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TheWickedWormBeast-JP-Manga-DM-color.png|width=300]] || 한글판 명칭 ||<-4>'''사악한 웜 비스트'''|| || 일어판 명칭 ||<-4>'''[ruby(邪悪, ruby=じゃあく)]なるワーム・ビースト'''|| || 영어판 명칭 ||<-4>'''The Wicked Worm Beast'''|| ||<-5> 일반 몬스터[br]효과 몬스터 {{{-2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3.] || 땅 || 야수족 || 1400 || 700 || 원작 DEATH-T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공격력이 같은 [[요새를 지키는 익룡]]과 전투를 벌였으나, '비행' 능력을 가진 요새를 지키는 익룡이 공격을 회피하면서 혼자 격파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 부분이 생략되어 넘어가는 바람에 등장하지는 못 했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펀]]에서는 [[다이몬 코고로]]와 듀얼하는 도중에 뒷면 표시로 세트하면서 등장했다. 하지만 제대로 나와보지도 못 하고 다이몬의 [[새털라이트 캐논]]의 일격에 분쇄당했다. 그밖에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는 [[미궁형제]]가 미궁 듀얼의 룰을 설명하는 장면에서 [[펭귄 기사]]가 조우한 적 몬스터의 실루엣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는 죄인의 마음에 깃든 마물의 모습으로 등장했다. 공격명은 '포이즌 졸(ポイズン・ゾール)'. 엽기적인 디자인이 많은 유희왕의 몬스터 중에서도 사람 상반신에 지렁이 같은 것이 기어나와 있는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비주얼이 특징. [[유희왕(TVA)|토에이판 애니]]에서는 피부색이 보라색으로 나오면서 좀비같은 인상이 되었다. === 반다이판 === [[파일:TheWickedWormBeast-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사악한 웜 비스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邪悪, ruby=じゃあく)]なるワーム・ビースト'''|| || 영어판 명칭 ||<-3>'''The Wicked Worm Bea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악마족 || 2400 || 600 || ||<-4>저주받은 힘과 뒤틀린 마음을 가진 악마!|| ||<-4>'''~룰 ➄~'''[br]공격력 쪽이 높을 경우엔, 적의 카드를 쓰러뜨릴 수 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TheWickedWormBeast-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사악한 웜 비스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邪悪, ruby=じゃあく)]なるワーム・ビースト'''|| || 영어판 명칭 ||<-4>'''The Wicked Worm Beas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흙마족 || 야수족 || 1400 || 700 || ||<-5>어둠의 힘으로 지렁이가 몬스터화. 지면에서부터 갑자기 나타나 공격.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까지)}}}|| ||<-5>어둠의 힘으로 몬스터화한 지렁이. 지면 속에서 갑자기 나타나 공격.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부터)}}}||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邪悪なるワーム・ビースト.jpg]]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heWickedWormBeast-JP-Manga-DM-NC.pn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5권의 77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악한 웜 괴물, 일어판 명칭=邪悪(じゃあく)なるワーム・ビースト, 영어판 명칭=The Wicked Worm Beast, 레벨=3, 속성=땅, 종족=야수족, 공격력=1400, 수비력=700, 효과1=①: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 '''에라타 (한글판)[br][[http://www.yugioh.co.kr/board/board_info.php?b_category=important&b_no=50|(2018.06.01)]]''' ||'''誤 : [카드명]''' 사악한 {{{#red 벌레}}} 괴물[br]'''正 : [카드명]''' 사악한 {{{#red 웜}}} 괴물|| 엔드 페이즈에 자신을 바운스시키는 강제 발동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그 특성상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몬스터와 유사하지만, 어떤 조건으로 존재하든 바운스된다. 또한 특수 소환도 가능하니 소생이나 리크루트로 꺼내서 패로 되돌릴 수도 있다. 다만 패가 늘어나는 것 말고 메리트라 할 게 없다 보니 실용적인 활용 수단은 별로 없다. 엔드 페이즈시가 발동 조건이 되는 유발 효과는 패 조정 후에 발동하지 않는다는 기본 룰 특성상 엔드 페이즈에 패가 조정된 뒤에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싱크로 소환]] 등장 이전에는 유효한 활용 수단이 없었던 [[레스큐 캣]]의 몇 안되는 활용 수단으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엔드 페이즈에 패로 돌아가서 패 어드밴티지를 늘릴 수 있고, 패로 돌아가서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이나 [[암흑의 만티코어]] 같은 카드의 코스트로도 써먹을 수 있었다. 다만 현 시점에서는 [[레스큐 캣]]이 에라타되었기에 불가능한 콤보가 되었다. 다른 [[웜(파충류족)|웜]] 카드군들과 이름이 겹치지만 종족이 달라 서포트를 받지 못한다. 하지만 [[DNA 개조 수술]] 등으로 종족을 파충류족으로 바꾸면 필드에 영향을 끼치는 효과는 받기 때문에 "사악한 벌레 괴물"이라는 번역이었다가 에라타 되었다. 왠지 사악한 '''벌레''' 괴물이지만 '웜 '''비스트'''' 쪽을 중시했는지 야수족이다. [[분류:유희왕/OCG/야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