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둥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광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000,#ddd 광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韶关, ruby=Sháoguān)][ruby(市, ruby=Shì)] | [ruby(韶关市, ruby=Shâu-kûan-sṳ)]}}}'''[br]사오관시 | Shaogu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韶关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광둥성]] 사오관시 전장구 펑두베이루75호[br]广东省韶关市浈江区风度北路75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18,645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2현급시 4현 1자치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2,855,131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53명/km² || ||<-2> '''{{{#ffff00 HDI}}}''' || 0.744 ^^(2016)^^ || ||<-2> '''{{{#ffff00 서기}}}''' || 천샤오룽(陈少荣) || ||<-2> '''{{{#ffff00 시장}}}''' || 천즈칭(陈志清)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00억 9,544만 ^^(2020)^^ || || '''{{{#ffff00 1인당}}}''' || $7,038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난초]] || || '''{{{#ffff00 시목}}}''' || [[녹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粤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韶'''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4'''0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51''' || ||<-2> '''{{{#ffff00 우편번호}}}''' || '''512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D-02''' ||}}}}}}}}} || ||<-3> [[https://www.sg.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부 [[광둥성]]의 [[지급시]]. 광둥성에서 가장 최북단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라 [[후난성]]과 가깝다. 난링산맥 (南嶺山脈)의 산악지대에 위치하며 시가지는 광둥성 북부 베이장[* [[주장 강]]의 지류이다.]에 접해 있으며 인구는 3백만 명이다. 광둥성은 [[광둥어|월어]] 사용자가 우세이지만 사오관은 [[객가어]]를 주로 사용한다. 과거부터 [[광저우]]와 북쪽 [[후난성]], [[장시성]]의 [[창사]], [[난창]] 등과의 교역로로서 번영하였으며 [[중세]]시대인 [[송나라]], [[원나라]]에는 사오저우(韶州/소주)로 불렸다. 이후 [[명나라]] 대에 세관이 설치되며 현재의 지명인 소관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이탈리아인]]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머물던 도시이기도 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대의 무관 [[진린]], 연예인 [[정옌펀]]의 고향이기도 하다. == 역사 == [[베트남]]의 전신격 국가인 [[남월]]이 통치하였던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전한]]대에 중국으로 편입된다. 전한대에는 곡강현(曲江县)이었으며, 현재 이 명칭은 사오관 산하 구인 취장구(曲江区)로 남아있다. [[손오]] 통치기에 시흥군(始兴郡)이 설치되며, [[남북조시대]] 때 까지 시흥으로 불리우다가 [[수나라]] 대에 소주(韶州)로 개칭하면서 현재 사오관의 명칭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원나라]] 대에는 소주로(韶州路), [[명나라]] 대에는 소주부(韶州府) 소속이었으며 [[중일전쟁]] 시기에는 임시 광둥성 성도로 작용한 적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시절에는 베이장 전구(北江专区) 소속이었으며, [[1970년]]에 사오관 지구(韶关地区)로 명칭이 변경되고 [[1975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사오관 단샤 공항(韶关丹霞机场)이 관내에 존재하며, [[중국 공군]]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내선 전용 공항이다. 철도의 경우, [[사오관역]](韶关站)과 사오관 동역(韶关东站)이 존재한다. 사오관역은 [[징광선강고속철도]](京广深港高速铁路)가 지나가는 고속선 전용역이며, 사오관 동역은 [[징광철도]](京广铁路)와 간사오 철도(赣韶铁路)가 지나가는 일반선 전용역이다. == 관광지 == [[파일:p634_d20130619111211.jpg]] 사오관 최대 관광지인 단샤 산. 남성 성기를 닮은 바위가 유명하다. [[https://www.google.co.kr/search?q=Shaoguan&client=ms-android-lgu-kr&prmd=timvn&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o5Lfr7-7aAhXDwLwKHQJyAdYQ_AUIESgB&biw=360&bih=512#imgdii=fqXYOWfRNMn0hM:&imgrc=fuW13LtiROE1uM:|링크]] 그밖에 [[당나라]] [[당현종|현종]] 때의 재상인 [[장구령]]의 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