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5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5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도시철도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5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힙합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5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5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3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스타크래프트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Lime;padding:12px;" {{{+3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 참가자입니다.'''}}} }}} {{{#!wiki style="border: 5px solid Gray;padding:12px;" {{{+3 '''이 사용자는 [[나무위키 대입 기출 해설 프로젝트]] 참가자였습니다.'''}}} }}} = 많이 쓰는 툴 목록 = ]] - 키보드 고장으로 해당 키가 안 쳐짐.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version=)] [include(틀:다른 뜻1, other=, rd1=)]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XX 프로젝트)] [[:분류:XX]] - 사용시 맨 앞의 :를 지울 것 셀 텍스트 정렬 [br] : 개행 <(>: 텍스트 왼쪽 정렬 (기본) <:>: 텍스트 가운데 정렬 <)>: 텍스트 오른쪽 정렬 <^|숫자>: 텍스트 수직 위 정렬 (기본) <|숫자>: 텍스트 수직 가운데 정렬 : 텍스트 수직 아래 정렬 셀 배경색 : 셀 배경 색상 지정 (RGB 코드) 주의: <#c0ffee> 형식은 비표준으로, 차후 지원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셀 배경 색상 지정 (CSS 웹 색상) 주의: 형식은 비표준으로, 차후 지원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한 줄 배경색 : 한 줄의 배경 색상 지정 (RGB 코드) : 한 줄 배경 색상 지정 (CSS 웹 색상) 셀 너비 : 셀 너비 지정 (절대 수치) : 셀 너비 지정 (상대 수치) 셀 높이 : 셀 높이 지정 (절대 수치) : 셀 높이 지정 (상대 수치) 셀 글자 색 {{{{{{#RRGGBB 텍스트}}}}}} {{{{{{#name 텍스트}}}}}} = 수정한 문서 = [[논산대건고등학교]] [[서산시]] [[보성역]] = 수정할 문서 = [[서령버스]] [[서산시외버스터미널]] = 생성한 문서 = [[:분류:힙합]] [[비프리-산이 디스전]] = 현재 작성중인 문서 = == 서산시 시내버스 목록 == * 상위항목: [[충청남도 시내버스]] [목차] === 개요 ===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수업체로는 [[서령버스]]가 유일하다. 모든 버스가 [[서산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한다. 서산시 밖으로 나가는 시내버스는 [[태안]], [[당진]] ([[신성대학교]], 천의면 방면). [[홍성]] (갈산), [[예산]] (덕산) 방면이 있고, 이 중 타 지역의 시내까지 영업하는 방면은 태안방면이 유일하다. [* 과거에는 서령버스에서 태안의 시내버스도 운영했던것이 아직까지 영향이 있는것 같다, 현재는 서령버스에서 분리된 [[태안여객]]이 태안지역 시내버스를 운영한다.] 2010년부터 환승제와 노선번호제를 도입하였다. 교통카드로 하차 태그를 한 후 40분 이내에 '''다른 번호의 버스'''에 승차하여 교통카드로 요금을 지불하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2000년대 후반경에 버스 내부 정면에 LED 전광판을 달고 음성, 화면을 통한 정류장 안내 방송과 광고를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나... 2012년 이후 전광판이 사라졌다. ~~지못미~~ 2015년 상반기에 BIS시스템을 위한 전광판을 버스 정류장에 설치하였다. [* 2015년 4월 초 이후에 설치되었으며, 언제 해당 시스템이 시작될지는 미지수이다.] ==== 운임 ==== || 종류 || 지불 수단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2> 시내버스 || 현금 || 1,400원 || 1,120원 || 700원 || || 교통카드 || 1,350원 || 1,070원 || 650원 || 충청남도 시내버스 공통 요금이다. 시계외로 나가는 경우에는 구간요금이 추과로 부과된다. 과거에는 종이차표를 사용하였으나, 교통카드가 사용되고 몇년 후 종이차표는 사라졌다. === 노선 정보 === '''주의! 서령버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노선 번호별 운행 경로 등 자세한 정보는 표시되어 있지 않아 이하 정보는 [[네이버 지도]]를 참고하였다. 같은 번호를 가진 노선이 여러가지 경로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네이버 지도 상에는 존재하는 자료가 2015년 현재 터미널에 있는 정보에 없는 경우에는 노선 번호에 ''기울임''을 적용한다.[* 그러나 터미널에는 터미널발 버스에 대한 정보만 담겨있고 타 종점에서 출발하는 버스의 정보는 없다. 당장 서령버스에서 배포하는 시간표에도 터미널발 버스 노선 번호만 적혀있을뿐 종점발 버스 노선 번호는 적혀있지 않다.]''' ==== 서산 시내 운행(100번대) ====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배차간격은 들쭉날쭉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기 등재되는 배차간격은 가장 일반적인 배차간격으로 작성한다.] ||첫차 ||막차 || 비고 || || 100 || [[서산버스터미널]] ||<-> 광장[* 오전 8시 이전 터미널발 버스와 오후 5시 이후 삼성아파트발 버스는 광장을 거치지 않는다.] <-> 석림주공아파트 <-> 서산중학교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 죽성동 삼성아파트 || 평일,토요일 20분 (공휴일 30분) || 06:55(터미널발) [br] 07:15(삼성아파트발) || 21:20(터미널발)[br] 21:40(삼성아파트발) || [* 7:20 터미널발 버스 7:40 삼성아파트발 공휴일 버스는 서산중->석림초->석림중을 거쳐 터미널으로 복귀한다.] || || 101 || 죽성동 삼성아파트 || -> 동아아파트 -> 예천동 -> 롯데마트 -> 광장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2회, 공휴일 1회 || 15:40 || 17:40 || [* 해당 노선은 100번으로 삼성아파트에 도착한 후 101번을 달고 다시 터미널로 복귀한다.] || || ''102'' || 죽성동 삼성아파트 || -> 동아아파트 -> 서산중학교 -> 석림주공아파트 -> [[서산버스터미널]] -> [[서령고등학교]]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1회 || 07:15 || - || [* 해당 노선은 100번으로 삼성아파트에 도착한 후 102번을 달고 다시 터미널로 복귀한다. 고등학생의 편의를 위한 통학버스이다.] || || ''103'' || [[제20전투비행단|공군기지]] || -> 해미 -> 서산여고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1회 |||| 07:20 || [* 네이버 지도에만 존재하는 노선. 실체를 아는 사람이 이 각주를 제거하거나 해당 항목을 삭제하기 바람.] || || 110 || [[서산버스터미널]] ||<-> 광장[* 오전 8시 이전 터미널발 버스와 오후 5시 이후 양대동발 버스는 광장을 거치지 않는다.] <-> 석림주공아파트 <-> 서산중학교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죽성동 삼성아파트 <-> 양대3통 <-> || 한국농어촌공사 [* 버스 상단에는 '양대동'으로 표기된다.] || 평일,토요일 20분 (공휴일 30분) || 06:30(터미널발)[br] 06:45(양대동발) || 21:00(터미널발)[br] 21:25(양대동발) || [* 일부 편성은 양대 3통까지만 운영한다. 버스 시간표에서 행선지가 양대 3통이라 쓰여져 있는 버스가 이에 해당한다. 양대동이라 쓰여져 있는 시각에는 한국농어촌공사까지 운영한다. 단, 버스 상단의 LED 전광판에는 두 경우 모두 양대동이라고 표시된다.] || || 111 || [[서산버스터미널]] || -> 광장 -> 읍내현대아파트 -> 롯데마트 -> 예천동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양대 3통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석림주공아파트 -> 광장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1회 |||| 13:30 || || || 112 || 한국농어촌공사 ||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예천동 -> 롯데마트 -> 읍내현대아파트 -> 광장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2회[* 이 노선은 터미널 방향만 있으나, 양대동행 13:25분 112번 버스가 2015년 최근 시간표에 존재한다. 어떻게 된 것인지 아시는 분은 추가 바람.] || 08:55 || 10:35 || [* 100번을 달고 삼성아파트에 도착, 한국 농어촌공사로 이동한 후 112번을 달고 다시 터미널방향으로 운행한다.] || || ''113'' || 죽성동 삼성아파트 || -> 동아아파트 -> 예천동 -> 롯데마트 -> 예천주공아파트 -> 읍내현대아파트 -> 롯데캐슬 -> 부영아파트 -> 동신아파트 -> 부춘중학교 -> 문화회관 -> 광장 -> || [[서산버스터미널]] || 1일 1회 |||| 07:55 || [* 2015년 9월 현재 버스 시간표에는 덕지천 방면에 9시 55분 터미널발 푸른솔아파트행 113번 버스가 존재한다. 버스 시간표 내에 양대동 방향 탑승장에서 탑승하라는 안내로 보아 110번 경로에 푸른솔아파트까지 연장한 경로를 운행할 것으로 추정된다.] || || ''114'' || 한국농어촌공사 || -> 양대동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영진크로바아파트 -> 서림초등학교 -> 석림중학교 -> 서산의료원 -> 삼성생명([[서산공용버스터미널]] 앞) -> 서령중고등학교 -> 온석동 -> || 한성스위트빌아파트 || 1일 1회 |||| 07:25 || [* 본격 통학버스. 서령고등학교와 서산여고 인근을 통과한다.] || || ''120'' || 삼성생명([[서산공용버스터미널]]앞) || -> 광장 -> 부춘초등학교 -> 롯데캐슬 -> 서산경찰서 -> 서산의료원 -> || 중앙하이츠아파트 || 1일 1회 |||| 07:55 || || || ''121''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한라비발디아파트 -> [[서령버스]]차고지 -> 서산의료원 -> 중앙하이츠아파트 -> 동아아파트 -> || 죽성동 삼성아파트 || 1일 1회 |||| 07:30 || || || ''121''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경로가 다르다.] || || 130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광장 <-> 서산의료원 <-> 중앙하이츠아파트 <-> || 동남아파트 || 45분 || 09:10 || 20:15 || [* 일부 시간대의 버스에 한해 광장을 아예 생략하거나, 왕편 혹은 복편만 광장을 경유하는 버스도 있다.] || || 130 || 중앙하이츠아파트 || -> 서산세무서 -> 서산중학교 -> 석림주공아파트 ->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공휴일 1회 |||| 08:0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경로가 다르다.] || || 131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광장 [*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는 생략하며, 동남아파트에서 출발하는 버스만 정차함.] <-> 서산의료원 <-> 중앙하이츠아파트 [* 08:35분 동남아파트발 터미널행 버스에 한해서만 정차함.] <-> || 동남아파트 || 1일 3회 [* 공휴일엔 1일 4회.] || 07:15[* 공휴일에는 06:40.] || 08:35 || [* 운행시간 왕복 약 20분.] || || 131 || 삼성생명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앞)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40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41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50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51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52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53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154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서산의료원 -> 서산여고 -> 석남주공센스빌아파트 -> 예천한성필하우스아파트 -> 예천주공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동아아파트 -> 삼성아파트 -> 동아아파트 -> 석남동 주민센터 -> 서산중학교 -> || [[서령버스]] 차고지 || 1일 1회 |||| 21:50 || [* 위 노선과 아래 노선이 번호는 같지만 노선이 딴판이다.] || = 보류중인 문서 = == 데칼코마니 라임 살리기 == === 라임을 살린 가사 === 같은 라임은 같은 색으로 표시하였다. || {{{#red 우리를}}} 길{{{#red 들인 습}}}{{{#blue 관의 무늬를 봐}}}. {{{#green 어느 새}}} {{{#red 스미듯}}} 닮아 버렸{{{#blue 나봐 우리 둘 다}}}. {{{#green 서로에}}}게 {{{#red 묻히는}}} {{{#blue 삶의 그림물감}}}. 데칼코마니. 하얀 {{{#magenta 색깔 도화지}}} 속 우린 {{{#magenta 데칼코마니}}}. 이 {{{#magenta 세상 너만이}}} {{{#magenta 내 반쪽짜리}}}. {{{#darkorange 같은 그림 틀}}}. 또 {{{#darkorange 다른 무늬들}}}. {{{#darkorange 닿은 듯이 늘}}} 닮아{{{#darkorange 가는 우리 둘}}}. {{{#brown 두 팔 가득 서}}}롤 {{{#salmon 품에 안으며}}} {{{#brown 우리라는 종}}}이의 {{{#salmon 절반을 접어}}} {{{#silver 너에겐 내}}}{{{#gold 가 묻고}}} {{{#silver 내겐 너}}}{{{#gold 가 묻어}}}. {{{#gold 말투며}}} 습{{{#gold 관부터}}} 작은 성격까지. {{{#indianred 잘 닦은 거}}}울 쳐다보듯 {{{#indianred 참 닮은 꼴}}}. {{{#gold 맑은 너}}}의 눈을 {{{#gold 마주쳐}}} 탐스런 눈 {{{#saddlebrown 망울 속 나를 볼 때}}}. 서{{{#darkgoldenrod 로 같은 곳}}}을 바라{{{#darkgoldenrod 본다는 것}}}{{{#saddlebrown 만으로 난 들떴네}}}. (너에겐 내)[가 묻고] (내겐 너)[가 묻어]. [말투며] 습[관부터] 작은 성격까지, [잘 닦은 거]울 쳐다보듯 [참 닮은 꼴]. [맑은 너]의 눈을 [마주쳐] 탐스런 눈 [망울 속 나를 볼 때]. 서[로 같은 곳]을 바라[본다는 것][만으로 난 들떴네]. 늘 가슴 설레이[게끔 하는] [깨끗한 숨]결에 취[해 꾼 많은] 꿈. [행운 같은] [매 순간들]. 하나 [된 순간 우]린 [예술작품]. [태양보다 빛]나는 [그대, 바로 당신]을 보려 [색안경 같이] 눈에 [매단 콩깍지]. [색색깔 도화지] 위 이렇[게 달콤한 인]연. 우린 [데칼코마니], 서로[의 반 쪽짜리]. 하얀 {{{#magenta 색깔 도화지}}} 속 우린 {{{#magenta 데칼코마니}}}. 이 {{{#magenta 세상 너만이}}} {{{#magenta 내 반쪽짜리}}}. {{{#darkorange 같은 그림 틀}}}. 또 {{{#darkorange 다른 무늬들}}}. {{{#darkorange 닿은 듯이 늘}}} 닮아{{{#darkorange 가는 우리 둘}}}. [모든 색]이 [고르게] 배일 순 [없는데] [조금의] [얼룩에][도 금새] [목을 매]. [성급해][져 끝내] [서툰 행][동을 해]. [어느새] 나도 [모르게] [더 크게] [요구해]. [별 쓸데] [없는 데]에 [서운해]져 [성을 내]고, [저울 재]고, 신[경을 매]번 [곤두세]워. 그래[도 그댄] [거듭 새][로운 색]으[로 늘 내] [곁을 채]워 작[은 여백]을 메[꿔주네] 또. [아옹다옹] 보[다 서로] [감싸고] [장단점]은 항[상 양쪽] 다 [받아들여 줘]. [나와 너]. [하나여]야(만 보다) (완벽한) (한 폭. 참)(다워 각)(자 손가)(락 걸고 한) 약속. [내 마음 좁아지게] 만든 [괜한 조바심] 때문[에 만족하지] 못했[네 바보같이]. 그 [때 난 몰랐지]만 이[젠 나도 알지]. 우린 [데칼코마니], 너는 [내 반 쪽짜리]. 하얀 {{{#magenta 색깔 도화지}}} 속 우린 {{{#magenta 데칼코마니}}}. 이 {{{#magenta 세상 너만이}}} {{{#magenta 내 반쪽짜리}}}. {{{#darkorange 같은 그림 틀}}}. 또 {{{#darkorange 다른 무늬들}}}. {{{#darkorange 닿은 듯이 늘}}} 닮아{{{#darkorange 가는 우리 둘}}}. (가끔씩) (싹튼 이) (다툼이)(라는 씨)(앗들, 쉬이) (아물지) (않는 쓰린) (아픔들이) (사무친) (가슴 위) (남은 짙)은 얼룩 (자국. 힘)겹게 (마주친) 어색(한 눈빛). 제(발 부디) 눈물 [글썽이지마]. 함[께 만든 이] [색깔들이] [흐려지니까]. [메마른 뒤][엔 엉망으로] [굳어지니까]. 또 젖어버린 종이는 쉽게 [뜯어지니까]. [애써 붙여봐]도 [예전 그 모양] 꼭 그[대로는 돌아]올 수 없[네. 서툰 변화]로 지[나간 기]억 [따라 그리]려 해[봤자 이]미 [알잖니]. 더 이상 [다음 장이] [남아있]지 [않아 우리]. [왜 상처받기] 전[에 나 몰랐지]? [후회와 못난 짓, 숱]하[게 반복한 실수]. [풀 생각조차 미]루다 결국 [대답 못한 진심]. [데칼코마니]. [내 반 쪽짜리] 습[관에 배인 그 물감냄새]. 익숙[하게 뇌인 누군가의 색]. 볼[품없이] [구겨진] 작[은 종이][를 펼치]면 덩[그러니] [주머니] 속 [추억이] [숨어있]어. 어느[샌가 변하지]만 다시 [빼 닮고 말지]. [데칼코마니]. 그래, 난 또 다시 [깨닫곤 하지]. 너는 [내 반 쪽짜리]. 하얀 {{{#magenta 색깔 도화지}}} 속 우린 {{{#magenta 데칼코마니}}}. 이 {{{#magenta 세상 너만이}}} {{{#magenta 내 반쪽짜리}}}. {{{#darkorange 같은 그림 틀}}}. 또 {{{#darkorange 다른 무늬들}}}. {{{#darkorange 닿은 듯이 늘}}} 닮아{{{#darkorange 가는 우리 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