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사우롤로푸스}}}[br]Sauroloph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rolophus_mount.jpg|width=100%]]}}} || ||<#F93> '''학명''' || ''' ''Saurolophus'' '''[br]Brown, 1912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조각하목^^Ornithopod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하드로사우루스과^^Hadrosauridae^^|| || '''아과''' ||†사우롤로푸스아과^^Saurolophinae^^||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 ||†사우롤로푸스족^^Saurolophini^^||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사우롤로푸스속^^''Sauroloph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사우롤로푸스 오스보르니(''S. osborni'')^^{{{-1 [[모식종]]}}}^^[br]Brown, 1912 * †사우롤로푸스 안구스티로스트리스(''S. angustirostris'')[br]Rozhdestvensky, 1952|| [[파일:external/1.bp.blogspot.com/Tarbosaurus.jpg|width=500]] [[타르보사우루스]]의 공격을 피해 강물 속으로 달아나는 사우롤로푸스(안구스티로스트리스종) 무리 [[파일:external/www.biolib.cz/85108.jpg|width=500]] 러시아 오를로프 고생물학 박물관에 전시된 두개골 화석[* 사우롤로푸스의 화석은 미국의 미국 자연사 박물관과 러시아의 오를로프 고생물학 박물관, 스위스의 아달 공룡 박물관, 일본의 후쿠이 현립 공룡 박물관과 도카이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몽골의 몽골 공룡 중앙 박물관, 한국의 안면도 쥬라기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몽골]], [[중국]] 지역에서 번성했던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으로 속명의 뜻은 '도마뱀 볏'이다. 이름이 [[파라사우롤로푸스]]와 흡사한지라 같은 공룡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엄연히 다른 공룡이다[* 구체적으로 볏의 길이로 분간이 가능한데 파라사우롤로푸스는 볏이 굽은 형태로 되어 있는 반면 사우롤로푸스는 볏이 짧은데다 위로 올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rolophus_scalation.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rolophus_angustirostris.png|width=100%]]}}} || ||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오스보르니종(''S. osborni'') ||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안구스티로스트리스종(''S. angustirostris'') || 사우롤로푸스는 [[에드몬토사우루스]]와 더불어 피부 인상이 화석으로 발견된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이기도 한데, 북아메리카에서 사는 종과 동아시아에서 사는 종마다 피부의 형태가 서로 달랐다고 한다. 크기에서도 동아시아에서 사는 종인 안구스티로스트리스 종이 몸길이가 최대 13m에 몸무게가 최대 11톤에 달했는데, 북미에서 살던 오스보르니 종은 더 작은 크기를 지녀 몸길이가 최대 8.5m에 몸무게는 최대 3톤에 달했다. 오스보르니 종은 반점무늬가 있었고 안구스티로스티스 종은 줄무늬가 있었는데, 이러한 특징적인 무늬는 [[프로사우롤로푸스]]의 아성체 표본에서도 발견되었다.[* Bell, Phil R. (2012). "Standardized Terminology and Potential Taxonomic Utility for Hadrosaurid Skin Impressions: A Case Study for Saurolophus from Canada and Mongolia". PLOS ONE. 7 (2): e31295. Bibcode:2012PLoSO...731295B.] 본래 1911년 [[캐나다]] [[앨버타]] 주 레드 디어 강변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후 [[냉전]] 시기에 몽골의 [[고비 사막]]에서도 사우롤로푸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조각류]]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고 뒤이어 중국 [[헤이룽장성]]에서도 단편적인 좌골화석[* 한때는 ''S. kryschtofovici''라는 학명으로 불렸으나 현재 이 화석은 ''S. angustirostris''의 동물이명이나 의문명으로 취급된다.]이 발견되어 동아시아에서도 이 공룡이 서식했음이 확인되었다. 즉, 백악기 시절에 주기적으로 침하하거나 융기한 '''[[베링 육교]]를 넘나들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남아있는 공룡이라는 것이다.'''[* 참고로 [[1973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발견된 조반류 공룡의 화석 잔해가 사우롤로푸스의 것으로 비정되어 사우롤로푸스 모리시(''Saurolophus morrisi'')라는 종명을 얻었으나, 2014년에 이 공룡은 아우구스티놀로푸스 모리시(''Augustynolophus morrisi'')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학자들에 따르면 지표면에서부터 최대 4m 높이에 있는 식물까지 먹이로 삼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하며, 이족보행을 하는 행위도 가능했으리라고 보인다. 동아시아에서 살던 종은 [[타르보사우루스]], 북아메리카에 살던 종은 [[알베르토사우루스]] 같은 당시 대형 포식자들을 피해 다니며 무리 생활을 하며 풀, 나뭇잎, 과일, 열매, 물속에서 사는 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먹었을 것이다. 또 물을 매우 좋아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등장 매체 == * [[다큐멘터리]]에서는 [[BBC]]의 [[Walking with Dinosaurs]]의 스페셜 시리즈 [[Chased by Dinosaurs]]의 초반부에 등장하였다. 다만 별다른 비중은 없는 편이다. 배경이 [[몽골]]인 점을 볼 때 안구스티로스트리스 종으로 보인다. * [[공룡시대]]의 더키가 사우롤로푸스이다. * 일본의 카드 리더형 아케이드 게임 [[고대왕자 공룡킹]]에 등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1기에도 출연한 바 있다. 여기서는 암수 한 쌍이 등장하는데 한 마리는 주황색 볏을, 또 한 마리는 녹색 볏이 있다. 몸길이가 12m로 나오는 걸로 보아 몽골에 살던 안구스티로스트리스 종으로 보인다. * [[고고 다이노#s-10|고고다이노 우리동네공룡 시즌 2]]에서 로봇 공룡 펀치(Punch)로 등장한다. [[분류:사우롤로푸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