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핀란드 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739, #002b6c 20%, #002b6c 80%, #001739)" '''{{{#fff 사울리 니니스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핀란드 의회의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739 0%, #002b6c 20%, #002b6c 80%, #001739)" '''[[핀란드 대통령|{{{#fff 핀란드 제12대 대통령}}}]][br]{{{+1 사울리 배이내뫼 니니스퇴}}}[br]Sauli Väinämö Niinistö'''}}}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사울리 니니스퇴 공식.jpg|width=100%]]}}} || ||<|2> '''출생''' ||[[1948년]] [[8월 24일]] ([age(1948-08-24)]세) || ||[[남서수오미]] [[살로(핀란드)|살로]] || ||<|2> '''재임기간''' ||제11대 [[핀란드 대통령|대통령]] || ||[[2012년]] [[3월 1일]] ~ [[현직]]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사울리 니니스퇴 서명.svg|height=35]]}}} || || '''링크''' ||[[http://niinisto.f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niinist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iinisto, 크기=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마르야레나 알란코 ,,([[사망]]),,[br]옌니 하우키오 || || '''자녀''' ||3명 || || '''학력''' ||[[투르쿠 대학교]] ,,([[법학]] / [[학사]]),, || || '''종교''' ||[[개신교]]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신체''' ||177cm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핀란드]]의 제12대 [[핀란드 대통령|대통령]]. == 생애 == === 어린 시절 === 1948년 8월 24일, 핀란드 [[남서수오미]]의 [[살로(핀란드)|살로]]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투르쿠 대학교에서 법학 학사 학위를 수여했다. 1974년 마르야레나 니니스퇴와 결혼했다. 그러나 1995년에 자동차 사고로 인해 사별하게 되었다. === 정치 활동 === 이후 자신의 고향인 살로에서 법률 사무소를 운영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1977년부터 1992년까지 살로 시의회에서 정치 생활을 했다. 1994년에는 [[국민연합당]]의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이후 파보 리보넨 1차 내각에서 법무부 장관이 되었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는 부총리를 지냈고, 1996년부터 2003년까지는 재무부 장관을 지냈다. 재무부 장관때에는 엄격한 재정 정책들로 화제가 되었다. 2000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출마할것을 당으로부터 권유받았으나,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이유로 입후보가 되는것을 거부했다. 이 대선에서는 [[타르야 할로넨]]이 당선되었다. 2006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는 스스로 출마를 선언했지만, 또다시 대통령으로 당선된 할로넨과 3.58%p 차이로 아쉽게 낙선했다. 총 득표율은 48.21%. 2009년 1월 9일 옌니 하우키오와 결혼했다. 2009년 11월 8일에는 핀란드 축구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2012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페카 하비스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총 득표율은 62.59%. === 대통령 재임기 === 2012년 3월 5일, 대통령에 당선되고 첫 공식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니니스퇴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대통령 당선을 축하했지만, 부정 선거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2012년 3월 말에는 대한민국을 방문해 핵 안전에 관한 국제 정상 회담에 참석했고, [[반기문]]을 만났다. 한국 방문은 공식 국빈 방문은 아니였다. 첫 공식 국빈 방문은 스웨덴이고, 그곳에서 [[칼 16세 구스타프]]를 만났다. 2012년 6월에는 핀란드를 방문한 니콜라이 마카로프 장군이 핀란드의 [[나토]] 가입이 러시아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하자, 마카로프와의 회의에서 마카로프의 의견에 문제를 제기했다. 2013년 1월에는 대통령의 보수를 2006년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2013년 2월에는 푸틴을 만나 양자무역을 촉진했다. 2014년 8월에는 소치에서 푸틴을 만나고 다음날에는 키예프에서 [[페트로 포로셴코]]를 만났다. 2015년 10월에는 헬싱키에서 [[정의화]] 국회의장을 만났다. 2015년 12월 16일에는 조동성 교수에게 1급 기사 훈장을 내렸다. 2016년 10월 26일에는 이란을 방문해 [[알리 하메네이]]와 [[하산 로하니]]를 만났다. 2017년 12월에는 현재 핀란드 상황에서는 나토 가입을 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된 뒤 사면권 행사를 자제하고 내각의 권한을 최대한 보장하는 등 개헌에 따라 기존보다 역할이 줄어든 새로운 대통령 상을 만드는데 주력했고, 그 결과 2018년에 열린 대통령 선거에서는 결선투표 없이 62.6%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2018년 7월 16일에는 [[도널드 트럼프]]와 푸틴이 핀란드에 도착하자 정상회담을 주최했다. 2019년 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을 만났다. 2019년 2월에는 고관절 수술을 받았다. 2019년 6월 10일에는 핀란드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 회담을 가졌다. 이날 두 대통령은 부산-헬싱키 직항노선 신설에 합의했다.[[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30895|#]] 2019년 10월에는 [[쿠르드족]]을 진압하는 터키의 군사 작전을 비판했다. 2019년 12월 10일에는 대통령 취임 후 다섯번째 총리인 [[산나 마린]]에게 임명장을 건네줬는데, 두 사람의 나이차가 무려 37살에 달하면서 주목받기도 했다. 2020년 4월 22일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했다.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2021년 12월 7일 퇴임한 이후 [[서유럽]]과 [[러시아]] 간 소통 창구를 해줄 유일한 인물로 꼽히고 있다.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2021년 연말부터 우크라이나를 두고 위기가 격화되자]] 2022년 2월 13일에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를 둔 푸틴의 태도가 과거와 달라졌다고 언급하면서 "상황이 좋지 않다"며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4042500009|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리고 실제로 2월 24일,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적으로 침공]]하면서 우려가 현실화됐다. 2021년 12월 13일 [[조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통화를 갖고, 다음날에는 푸틴과 정상통화를 했다. 2022년 3월 4일에는 하루동안 미국을 방문해 바이든 대통령을 포함한 여러 미국 정치인들을 만났다. 2022년 3월 11일에는 직접 푸틴 대통령과 통화 회담을 가지고 즉각적인 휴전과 우크라이나 민간인 대피를 위한 인도주의 통로 보장을 촉구하면서 악화하는 우크라이나 위기는 서방 여론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2000500098|#]] 2022년 6월 28일에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일정문제로 취소하였다.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2543|#]] == 여담 == * [[핀란드어]] 이외에도 [[영어]]와 [[스웨덴어]]를 구사할 수 있다. * 여가 시간에는 롤러 스케이트를 즐기고, 겨울이 되면 종종 아이스하키를 즐긴다고 한다. *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사고의 생존자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 [[분류:1948년 출생]][[분류:핀란드 대통령]][[분류:핀란드 의회의장]][[분류:남서수오미 출신 인물]][[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그랑크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