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 [include(틀:마루후지 료 덱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원작 == [[파일:CyberEltanin-JP-Manga-GX-NC.png]] || 한글판 명칭 ||<-4>'''사이버 엘타닌'''|| || 일어판 명칭 ||<-4>'''サイバー・エルタニン'''|| || 영어판 명칭 ||<-4>'''Cyber Eltani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0 || 불명 || 불명 || ? || ? || ||<-5>이 카드의 공격력은 제외되어 있는 "사이버"의 수 × 500 포인트. 소환시, 제외되어 있는 "사이버"의 수만큼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코믹스 특유의 축약된 텍스트는 저렇고 실제 OCG 기준으로는 이런 텍스트일 것으로 추정된다. ||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제외된 자신의 "사이버"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고르고 파괴한다.[br]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제외된 자신의 "사이버" 몬스터의 수 × 500이 된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에서 [[마루후지 료]]가 [[만죠메 쥰]]을 상대로 사용. 레벨 8 이상의 사이버 몬스터를 서치해오는 [[이멀전시 사이버]]의 효과로 서치해온 후, 함정 카드 [[본 프롬 드라코니스]]로 필드의 [[사이버 드래곤]]과 묘지의 사이버 몬스터 6장을 제외하고 소환했다. 소환 직후 효과를 발동해 더 이상 무효화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된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라이트엔드 드래곤]], [[다크엔드 드래곤]]을 전부 파괴하고, 3500의 공격력으로 직접 공격해 피니셔가 된다. 효과명은 '컨스텔레이션 시지(ドラコニス・アセンション / Constellation Siege)'. 공격명은 '드라코니스 어센션(ドラコニス・アセンション / Draconis Acsension)'. 컨스텔레이션 시지의 공격 연출로 미루어볼 때 본체 주변에 떠다니는 용 머리 모양 유닛의 수는 제외된 사이버 몬스터의 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만화판의 카드 이미지에서는 소형 유닛이 4개 그려져 있었으나, 실제로 소환된 사이버 엘타닌의 유닛 수는 6개였다. 이름인 '엘타닌'이란 "[[용자리]]의 감마성"의 이름이며 '용의 머리'를 의미한다. 사실 카이저가 코믹스에서 사용했던 오리지널 카드는 다들 용자리 관련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트루베와 알사피도 역시 용자리의 별. == [[유희왕/OCG|OCG]] == [[파일:サイバー・エルタニ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사이버 엘타닌, 일어판 명칭=サイバー・エルタニン, 영어판 명칭=Cyber Eltanin, 레벨=10,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 수비력=?,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기계족 / 빛 속성 몬스터를 전부 제외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 제외한 몬스터의 수 × 500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전반적으로 원작에 비해 상향되어 쓰기 좋은 카드가 되었다. [[본 프롬 드라코니스]]의 효과를 약간 조정해서 내장한 채로 등장했는데, 덕분에 소환이 정말 간편하여 필드 / 묘지의 빛 속성 / 기계족 몬스터가 단 1장만 있어도 가볍게 제외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사이버 드래곤]]은 물론이요 [[솔라 윈드재머]], [[튜닝 서포터]], [[바이론(유희왕)|바이론]]의 장착형 튜너들, 심지어는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 등 범용성이 높은 빛 속성 / 기계족을 채용하는 덱이라면 어디서나 쓸 수 있다. 자기 자신도 빛 속성 / 기계족이므로 여러 장 채용했을 경우에도 전에 사용했던 사이버 엘타닌을 소재로 삼을 수 있다. 물론 적은 수의 카드를 제외하면 이 카드는 레벨 10 주제에 하급 몬스터에게도 맞아죽는 한심한 능력치를 지니게 되지만, 이 카드의 강력한 제거 효과 덕분에 낮은 능력치로 나왔다고 잉여가 될 일은 없다. 효과가 대폭 강화되어 제외한 몬스터의 수를 따지지 않고 그냥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제거해버리며, 제거 방법도 가장 대처법이 드문 텍스트 중 하나인 '''묘지로 보낸다'''로 강화되어 파괴 내성을 지닌 몬스터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이 카드를 그냥 소환하기만 해도 사실상 패 코스트 없이 [[블랙홀(유희왕)|블랙홀]]의 강화판을 쓰면서 필드 위에 몬스터 하나까지 마련하는 상당한 이득을 보는 셈이다. 낮은 능력치로 나오게 될 경우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해서 방패막이삼거나 릴리스 소재, 레벨 1 튜너와 조합해서 [[성태룡]]의 [[싱크로 소환]] 소재, 랭크 10 [[엑시즈 소환]] 소재 등으로 쓸 수 있다. 단 독불장군식의 효과를 미치는 범위가 지나치게 늘어나서 자신의 앞면 표시 몬스터도 함께 쓸려나가게 된다는 점, 또 뒷면 표시 몬스터는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묘지에 빛 속성 / 기계족이 많이 모인 상태에서 소환하면 원작에서처럼 높은 공격력 역시 노려볼 수 있다. 16장을 제외하는데 성공한다면 공격력 8000을 달성할 수 있다. 과거에는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과 비슷하게 빛 속성 / 기계족을 왕창 쌓고 이 카드를 소환, 장애물이 되는 몬스터를 날려먹고 직접 공격으로 [[원턴킬]]을 노릴 수 있었지만 퓨처 퓨전이 에라타 된지라 묘지에 빛 속성 / 기계족을 그만큼 빠르고 안정적으로 쌓기가 어렵다. [[고등의식술]]이라도 써볼까 생각해봐도 빛 속성 / 기계족 [[일반 몬스터]]는 레벨 4가 최저 레벨이라 그것도 불가능. 어차피 이 카드의 공격력을 끌어올리는 건 효율이 그렇게 좋지 않으니 이쪽으로 무리하게 욕심부리기보다는 빛 속성 기계족을 많이 쓰는 덱에서 듀얼 중후반에 기회가 되면 피니셔를 노려 보는 운용이 안정적일 것이다. 소환 시 빛 속성 기계족 몬스터를 대량으로 제외한다는 소리는 묘지 자원을 다 날려버린다는 의미여서 쉽게 사용하기는 어렵다는 뜻이지만, 거꾸로 제외 존의 몬스터를 귀환시키는 효과를 가진 [[사이버 네트워크]]와의 상성은 상당히 좋다고 할 수 있다. 서로 요구하는 몬스터의 종류가 완전히 같기에 왕창 제외해버린 소재들을 한번에 필드에 다시 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를 포함해 이 카드의 특수 소환 조건으로 제외한 몬스터를 재활용한다 하면, [[사이버로드 퓨전]]도 사용할 수 있다. 약점은 역시 [[이펙트 뵐러]]나 [[무한포영]]같은 효과 무효화 계열이라고 할 수 있다. 소환 시에 이런 걸 맞게 되면 제거도 안 되고 능력치도 전부 0이 되어버려서 최악의 경우 묘지 자원만 잔뜩 날려먹고 샌드백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소환시에 맞지 않았더라도 나중에 한번이라도 저런 거에 당하면 그 순간부터는 공격력 / 수비력이 0이 되어 영원히 돌아오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제외할 몬스터의 숫자를 정할 수 없다는 것도 약점이라면 약점. [[사이버 드래곤 코어]]나 [[오파츠(유희왕)|오파츠 네브라 디스크]]처럼 묘지에서도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들도 남겨둘 수 없다. 레벨이 10이기 때문에, [[돌연변이(유희왕)|돌연변이]]를 사용한다면 애니판의 에이스인 [[사이버 엔드 드래곤]]으로 바꿀 수 있다. 요즘은 가끔 사이드에 채용하는 경우가 있긴 했지만 사이버 자체가 이제 티어권과 거리가 좀 멀고, 지금의 사이버 드래곤은 지거와 인피니티, 램페이지를 중심으로 몬스터를 전개하기 때문에, 이 카드와 궁합이 아주 좋은 편은 아니어서 잘 사용되지 않는 편. ||수록 시리즈 || ||<(>2011-06-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6-KR012 | '''[[프리미엄 팩/한국판#s-7|프리미엄 팩 Vol.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14-03-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26-KR010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스트럭처 덱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9-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P18-KR018 | [[컬렉터즈 팩#s-3.6|컬렉터즈 팩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09-08-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045 | '''Vジャンプ 2009年 10月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13-12-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26-JP010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光竜襲雷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5-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P18-JP018 | [[컬렉터즈 팩#s-3.6|コレクターズパック 20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JUMP-EN038 | '''SHONEN JUMP Promotional Card - March 2010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11-04-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U05-EN008 | SHONEN JUMP Promotional Card - March 2010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14-02-0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CR-EN010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7-10-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D-ENB09 | LEGENDARY DRAGON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6-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RR-EN018 | [[컬렉터즈 팩#s-3.6|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사용할 만한 덱 === 이 카드의 효과를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덱은 역시 빛 속성 기계족 위주의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 [[VWXYZ]] 덱,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전투기]] 덱 등이다. 이런 덱에서 묘지에 사이버 드래곤이 있다면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로 바로 서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도가 꽤 높고, 이를 다른 카드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VWXYZ 덱에서는 융합시 몬스터가 제외되는 특성 때문에 융합 몬스터를 쓰는것과 동시에 높은 공격력까지 확보하는건 힘들지만, 융합이 힘든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전략이 늘어나며 안그래도 상성이 좋은 [[사이버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더욱 더 높여준다. 아직 융합을 하지 않은 상태라면 ~~[[카이바 세토|사장님]]을 본받아~~ 이 카드로 X,Y,Z를 제외해버리고 한꺼번에 다시 귀환시켜 합체시키는 운용도 가능하다. 완전히 빛 속성 기계족 위주는 아니더라도 [[디포머]]나 [[포톤(유희왕)|포톤]], [[오파츠(유희왕)|오파츠]] 등 빛 속성 / 기계족이 일부 있는 덱도 제거 카드로 채용하는 정도는 가능하다. 단 묘지 자원을 전부 제외해 버리기 때문에 오파츠 네브라 디스크처럼 별로 제외하고 싶지 않은 몬스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주의해야 한다. 빛 속성 / 기계족 위주의 덱은 아니지만, 특수한 경우로 [[더 캘큘레이터]] 덱에서도 꽤 쓸만하다. 원래 사이버 드래곤이나 [[솔라 윈드재머]]가 더 캘큘레이터의 공격력을 간편하게 2100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같이 써볼만한 카드인데, 저런 몬스터들을 제외하고 나오는 이 카드는 더 캘큘레이터를 공격력 3600의 최상급 어태커로 만들어주며 직접 공격도 통하기 쉽게 해준다.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이나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같은 다른 레벨 10 몬스터도 매우 잘 쓰이는 덱이므로 랭크 10 [[엑시즈 소환]]으로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를 뽑아 마무리하는 데도 좋다. === 소재로 쓸 수 있는 몬스터 === 이들은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 [[사이버 네트워크]]의 서포트도 받을 수 있으며, 레벨 4이거나 공격력이 1200 이하인 경우는 [[초시공 전투기(유희왕)|초시공 전투기]]의 서포트를 추가로 받는다. "제이드 나이트"가 전자에 해당하는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고, "팔시온β"는 후자에 해당하는 몬스터를 묘지에 묻거나 되살릴 수 있다. 여기에 해당되는 경우는 카드 이름 옆에 표기. (제이드 나이트의 서포트를 받는 카드는 ☆, 팔시온β의 서포트를 받는 카드는 ★) * '''일반 몬스터''' * [[VWXYZ|V-타이거 제트]] ☆ * [[VWXYZ|X-헤드 캐논]] ☆ * [[왕실의 가디언]] ☆ * [[초시공 전투기 빅 바이퍼]] ☆★ * '''메인 덱 효과 몬스터''' * [[ABC(유희왕)|A-어썰트 코어]] ☆ * [[ABC(유희왕)|B-버스터 드레이크]] ☆ * [[ABC(유희왕)|C-크러시 와이반]] ☆★ * [[디포머|D·라이튼]] ★ * [[디포머|D·비디온]] ☆★ * [[디포머|D·스코픈]] ★ * [[디포머|D·카메란]] ★ * [[Kozmo|Kozmo-슬립라이더]] * [[Kozmo|Kozmo-포어러너]] * [[VWXYZ|W-윙 캐터펄트]] ☆ * [[VWXYZ|Y-드래곤 헤드]] ☆ * [[VWXYZ|Z-메탈 캐터필러]] ☆ * [[마론(유희왕)|기계견 마론]] ☆★ * [[갤럭시 솔저]] * [[거대전함|거대전함 빅 코어 MK-Ⅲ]] * [[골드 가제트 & 실버 가제트|골드 가제트]] ☆ * [[파괴수(유희왕)|괴성파괴수 지즈키엘]] * [[기교(유희왕)|기교조-토코요우즈메노나가나키]] * [[기교(유희왕)|기교취-야타노미사키]] * [[기황신 마시니클∞]] * [[파괴수(유희왕)|대파괴수용결전병기 메카썬더 킹]] * [[파괴수(유희왕)|대파괴수용결전병기 슈퍼메카도고란]] * [[더커(유희왕)|더커]] ★ * [[델타트라이(유희왕)|델타트라이]] ☆★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라스β]]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르타δ]]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밴α]]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알ζ]]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엘γ]] * [[디프 스페이스 크루저 나인]] ★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로드 브리티시]] ☆★ * [[로드 싱크론]] ☆ * [[룰렛 폭탄]] ☆★ * [[마경도사 리플렉트 바운더]] ☆ * [[메탈 슈터]]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스피어]]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큐브]]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테서렉트]]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테트라]]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펜타크로]] ☆★ * [[바이오팔콘]] ☆ * [[백병전형 심부름 로봇]] ☆ * [[블루 썬더 T45]] ☆ * [[빅토리 바이퍼 XX03(유희왕)|빅토리 바이퍼 XX03]] ☆★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빅 바이퍼 T301]] ☆★ * [[사이버 다이너소어]] * [[사이버 드래곤]]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 ★ *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 ☆ * [[사이버 드래곤 코어]] ★ *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 ☆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퓌어]] ☆★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헤르츠]] ★ * [[사이버 라바]] ★ * [[사이버 레이저 드래곤]] * [[사이버 밸리]] ★ *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 ★(특수 소환 불가) * [[사이버 엘타닌]] * [[사이버 지라프]] ★ * [[사이버 파로스]] ★ * [[새털라이트 캐논]] ★ * [[서치라이트맨]] ★ *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아쿠베스]] ☆★ *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안타레스]] *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에스카]] * [[솔라 윈드재머]] ★ * [[제넥스|솔라 제넥스]] * [[스캐너(동음이의어)|스캐너]] * [[골드 가제트 & 실버 가제트|실버 가제트]] ☆ * [[아크제트 라이트크래프터]] ★ * [[에메스 더 인피니티]] * [[오보미]] ☆★ * [[오비탈 세븐|오비탈 7]] ☆★ * [[오파츠(유희왕)|오파츠 골든 셔틀]] ☆ * [[오파츠(유희왕)|오파츠 네브라 디스크]] ☆ * [[초시공 전투기 빅 바이퍼|옵션]] * [[에일리언(유희왕)|원반 무스키]] ★ * [[비크로이드|유에프오로이드]] ★ * [[매치킬 몬스터|음향병기 로렐라이]] (공식 듀얼 사용 불가) * [[이차원 제트 아이언호]] * [[인스펙트 보더]] * [[장난감상자]] ★ * [[제넥스 뉴트론]] ☆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제이드 나이트]] ☆★ * [[초전자 터틀]] ☆★ * [[튜닝 서포터]] ★ * [[툰|툰 사이버 드래곤]]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팔시온β]] ☆★ * [[포톤(유희왕)|포톤 새털라이트]] ★ * [[포톤(유희왕)|포톤 파이레츠]] ★ *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 ★ * [[플린트 록]] ☆ * [[하이퍼 싱크론]] ☆ * [[힐 웨버]] ☆★ * '''의식 몬스터''' * [[드라이트론-메테오니스=DRA]]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메테오니스=QUA]] * '''[[토큰(유희왕)|토큰]]'''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멀티 토큰]] * [[블루 썬더 T45|썬더 옵션 토큰]] *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 [[ABC(유희왕)|ABC-드래곤 버스터]] * [[AtoZ-드래곤 버스터캐논]] * [[VWXYZ|VW-타이거 캐터펄트]] *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 * [[VWXYZ|XY-드래곤 캐논]] * [[VWXYZ|XYZ-드래곤 캐논]] * [[VWXYZ|XZ-캐터필러 캐논]] * [[VWXYZ|YZ-캐터필러 드래곤]] * [[사이버 엔드 드래곤]] * [[사이버 트윈 드래곤]] * [[사이버 이터니티 드래곤]] * [[암드 드래곤 캐터펄트 캐논]] * [[비크로이드|유에프오로이드 파이터]] * [[중장기갑 팬저드래곤]] ★ * '''싱크로 몬스터''' * [[F.A.|F.A. 라이트닝마스터]] ★ * [[F.A.|F.A. 홈트랜스포터]] ★ * [[바이론(유희왕)|바이론 알파]] * [[암즈 에이드]] * [[포뮬러 싱크론]] ★ * [[인잭트론 파워드]] * '''엑시즈 몬스터''' * [[CNo.6 오파츠 카오스 아틀란타르]] * [[CNo.9 천개요성 카오스 다이슨 스피어]] * [[게이트 오브 누메론|No.1 게이트 오브 누메론-에캄]] ★ * [[게이트 오브 누메론|No.2 게이트 오브 누메론-드베]] ★ * [[게이트 오브 누메론|No.3 게이트 오브 누메론-트리니]] ★ * [[게이트 오브 누메론|No.4 게이트 오브 누메론-차투바리]] ★ *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 *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 * [[No.25 포스 포커스]] * [[No.33 오파츠 마추 마크]] * [[No.36 오파츠 초기관 포크 휴크]]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 [[드라이트론|드라이트론-파프μβ']] * [[사이버 드래곤 노바]] *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비하이브]] *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 * [[매치킬 몬스터#유구의 황금도시 그랜폴리스|유구의 황금도시 그랜폴리스]] (공식 듀얼 사용 불가) * [[초차원로보 갤럭시 디스트로이어]] * [[초량|초량기수 러스터렉스]] * [[초량|초량기신왕 그레이트 매그너스]] * '''링크 몬스터''' * [[사이버 드래곤 지거]] * [[가제트(유희왕)|플라티나 가제트]] * [[잭나이츠|명성의 잭나이츠]] * [[초량|진초량기신왕 블래스터 매그너]] * [[F.A.|F.A. 샤이닝스타 GT]] ★ * [[태엽(유희왕)|발조보수 태엽콘]] ===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과의 비교 === [[오버로드 퓨전]]을 이용해서 소환되는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은 서로 반대되는 속성대로 이 카드의 대칭점이며 경쟁 상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카드를 쓰는 덱이라면 이 카드를 넣을 자리에 오버로드 퓨전을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 엄밀히는 이 카드는 덱에 [[사이버 드래곤]]을 아예 넣지 않는 경우에도 기능하지만, [[사이버 드래곤 코어]]와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가 빛 속성 / 기계족 계열 덱에서 얼마나 유용한지를 생각해보면 거의 대부분의 덱에서 한번 생각해보게 될 문제다. 단순한 공격력을 따지면 상승 효율도 더 높고 몬스터 한정이지만 [[연속 공격(유희왕)|여러 번 공격]]도 가능한 키메라오버 쪽이 훨씬 높다. 하지만 공격력 말고는 아무것도 없으며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까지 싹 밀어버리는 페널티까지 지녔기 때문에 공격에 실패하면 막대한 손해만 보고 끝난다. 반면 엘타닌 쪽은 일단 소환만 해도 최소한 상대의 몬스터를 싹 제거하고 시작한다. 덱 압축을 해가면서 손에 잡아야하는 오버로드 퓨전과 달리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이멀전시 사이버]]로 쉽게 서치해 패에서 대기시켜둘 수도 있고.[* 오버로드 퓨전도 [[프레데터 플랜츠]]같은 카드들로 서치가 가능하긴 하지만 사이버에서 쓰기 애매한 편.] 키메라오버는 속성에 상관없이 기계족이기만 하면 뭐든 소재로 삼을 수 있어 이 카드보다 덱 구성이 좀더 자유롭고 더 많은 기계족을 합체시키기 쉽다. 하지만 일단 [[사이버 드래곤]]이 최소 1장은 필요하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것은 아니며, 또 융합 몬스터라 엑스트라 덱을 1장 더 압박한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식으로 오버 드래곤이 이쪽보다 더 뛰어난 면이 있는가 하면 그만큼 떨어지는 면도 있으니 선택은 자신의 몫. 물론 덱에 여유가 있다면 두 카드를 같이 넣고 상황에 따라 골라 쓸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아예 다른 활용도의 카드라고 볼 수 있다. 이쪽은 상대방의 빌드를 박살내는 데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오버 드래곤은 일격에 마무리짓는 피니셔 성향이 더 강하다. 하지만 둘 다 [[사이버 드래곤]] 계열 카드라서 그런지 [[사이버 네트워크]]나 [[사이버로드 퓨전]]과의 궁합이 좋다. === 룰 관련 === 몬스터를 제외하고 소환되는 것은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 [[룰 효과]], 전체제거 효과는 유발 효과, 공격력 / 수비력 결정은 지속 효과로 처리된다. 한번이라도 효과가 무효화되거나 앞면 표시에서 벗어나게 되면 공격력은 0으로 떨어져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여기까지는 [[키메라테크]] 몬스터들과 비슷하지만, 이 카드의 효과에 의해 결정된 공격력은 원래 공격력으로 따지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수축(유희왕)|수축]] 같은 것을 맞아도 ? ≒ 0/2 = 0이 되어버린다. 소환시 필드에서 제외하는 것은 '''앞면 표시'''의 빛 속성 기계족 뿐이라는 재정이다. 뒷면 표시로 있는 빛 속성 기계족 몬스터를 제외하고 나올 수는 없다. TCG판의 텍스트에는 앞면 표시일 것이 명시되어 있으나 일본판과 한글판 카드는 텍스트에 없으니 알아둘 것. 또 빛 속성 기계족 [[토큰(유희왕)|토큰]]은 제외하고 나올 수 있으며 공격력 계산에도 제대로 카운트된다. 반드시 필드와 묘지의 대상 몬스터를 전부 제외해야 하므로 어느 한쪽에서 제외할 수 없는 몬스터가 하나라도 생기면 소환이 불가능하다. 가령 묘지 제외만을 막는 [[영멸술사 카이쿠]]가 떠 있어도 필드에 있는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다고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경우는 묘지에는 소재가 없고 필드에만 소재가 있어야 소환할 수 있다. == 기타 == 처음 OCG화 정보가 떴을 때는 [[라이트엔드 드래곤]]과 [[다크엔드 드래곤]]의 전례처럼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가 될 것이라는 말도 있었고 그런 사진이 떠돌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다음에 제대로 된 정보가 나왔을 때는 원작대로 메인 덱 효과 몬스터가 되어 있었다. ~~라이트엔드 드래곤과 다크엔드 드래곤은 그저 웁니다.~~ 일본에서는 V점프 동봉카드로 '무한의 힘을 지닌 사이버 강탄!'이라는 문구가 쓰인 봉지에 담겨 배포되는 귀한 카드로 첫 등장했지만, 한국에서는 그런 거 없고 2011년 6월 [[프리미엄 팩]] 6에 수록되어 [[동봉카드 엿먹이기|그냥 팩 뜯으면 우르르 나오는 카드]]가 되었다. 그 후 사이버 드래곤을 테마로 잡은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에서 복각되어 한국 외의 다른 나라에서도 절판 카드 신세에서 벗어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OCG화되면서 "사이버" 몬스터가 아닌 그냥 기계족 / 빛 속성을 요구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사이버(유희왕)|사이버]] 문서를 참고. OCG에서는 "사이버"를 그냥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하는 탓에 2021년이 되어서야 정식으로 카드군이 되었고, 그와 더불어 관련 여러 카드들도 이름에 에라타가 가해졌다. 기존의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계열]]에 비해 거대한 용 머리들만 둥둥 떠있는 상당히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일단 [[사이버 네트워크]]의 일러스트에서 사이버 드래곤과 확실히 연결되어 있는 걸 보면 진화형의 한 종류임은 분명한 듯하다.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에서는 게임에 수록된 기념으로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 빛 속성 기계족으로 떡칠한 사이버 엘타닌 주축의 덱을 사용한다. 당연하게도(?) 사람의 말은 하지 못하고 대사가 문장 부호(=기계음)로만 나온다. 이 점은 오버 더 넥서스의 [[사이버 엔드 드래곤]]도 동일하다. 또 퍼즐 듀얼 중에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전투기]]들과 [[사이버 드래곤]]을 이 카드로 합체시켜 승리하는 퍼즐이 있다. == 관련 카드 == === [[본 프롬 드라코니스]] === ===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