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관련 문서 : [[사이버(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yberGymnast-EE04-JP-R.jpg|width=4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yberGymnast-EOJ-EN-C-1E.png|width=400]]|| ||<:> 내수판 ||<:> 해외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사이버 짐내스틱스,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ジムナティクス, 영어판명칭=Cyber Gymnast,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800, 효과1=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상대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텐죠인 아스카]]가 사용한 [[사이버(유희왕)|사이버]] 걸 시리즈 중 하나. 아스카가 사용한 사이버 걸들이 다 쓰기 힘들거나 답이 없는 수준의 활용도를 가진 한편, 이 카드는 그 중에서 가장 쓰기 편하고 실용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어 어느정도 채용 가치가 있다. 패를 제거로 치환하는 유명 카드 [[스나이프 스토커]]와 비교해봐도 [[증원(유희왕)|증원]], [[전사의 생환]] 등의 서포트를 받으며 대상을 파괴한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공수를 제외한 스탯이 똑같은 단체 제거 카드 [[반란 용병 부대]]의 존재를 먼저 생각해봐야 한다. 이 카드는 반란 용병 부대와는 달리 오래 살아남으면 효과를 여러 번 쓸 수 있지만, 이 카드로 제거를 계속 행하면 그만큼 패 소모가 심하다. 게다가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만 파괴할 수 있기에 사실 이 카드로 제거를 계속 하기도 힘들다. 상대가 앞면 공격 표시로 몬스터를 내주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공격력 800으로 다음 턴까지 살아남기는 힘든 건 당연하고, 어떻게든 수비 표시로 자리잡았더라도 1800 역시 그렇게 오래 버틸 수 있는 수치는 아니다. 그래도 필드에 계속 남는다는 점은 분명 중요한 차별점이다. 미리 [[포톤 스래셔]] 같은 추가 전개를 해놓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뒤 거슬리는 몬스터를 제거하고 바로 [[엑시즈 소환]]이나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전사족이기 때문에 [[H-C 엑스칼리버]]나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CH 킹 아서]] 등을 만들 수 있고 특히 공격 전에 먼저 몬스터를 제거하기에 블레이드 하트로 큰 대미지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일러스트는 일본판 내수판은 가슴 윗부분이 맨살로 노출되어 있으나 해외판은 가려버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정의의 적]] || EOJ-KR00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4]] || HGP4-KR186 || [[레어]] || 한국 || || || [[정의의 적|ENEMY OF JUSTICE]] || EOJ-JP00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4]] || EE04-JP186 || [[레어]] || 일본 || || || [[정의의 적|Enemy of Justice]] || EOJ-EN006 || [[노멀]] || 미국 || 한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186 ||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다크니스 헌터]] === [[분류:유희왕/OCG/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