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스)] [목차] == 설명 == [[파일:card1001380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 위저드,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ウィザード, 영어판명칭=Cyberse Wizard, 속성=빛,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8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효과로 수비 표시로 한 턴에\, 자신 몬스터는 대상 몬스터밖에 공격할 수 없으며\, 자신의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대상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대미지를 준다.)]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모든 데이터에 간섭할 수 있는 사이버스 세계의 실력 있는 마술사. 악의적인 데이터는 순식간에 수정되고 만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전투에 특화된 하급 어태커. 공격력은 하급 중에서 평범한 수준이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만들면 웬만한 상급을 돌파할 만큼은 된다. 그렇게 수비 표시로 만든 몬스터를 공격하면 관통 대미지를 줄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자신의 사이버스족 몬스터에게도 적용된다. 단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한 턴에는 수비 표시로 만든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게 되니 이미 상대가 상급 몬스터를 줄줄이 소환한 상태라면 그다지 빛을 보기 힘들다. 수비 표시가 없는 링크 몬스터를 상대로는 발동조차 못한다는 것도 아쉬운 점. [[유희왕 VRAINS]]에서는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사용. 첫 듀얼부터 꾸준히 사용한 카드로, 마지막 듀얼에서 [[링크슬레이어]], [[백업 세크레터리]]와 함께 총출동하기도 했다.[* 1기부터 사용해온 카드를 필드로 불러내며 감상에 젖고, 최종 몬스터를 불러내는 모습은 5D's의 마지막 소환 장면을 연상케 한다.] 특이한 기록이 있는데, 작중 등장인물이 궁지에 몰려 데스티니 드로우를 하는 장면은 많지만 첫 턴 부터 데스티니 드로우를 시전한 건 이 카드가 유일하다. 그것도 두 번이나(..) 왜인지 [[론리 브레이브]]의 덱에 들어가 VRAINS 최초의 원턴킬을 해낸 독특한 전적이 있다.[* 정황상 [[아이(유희왕)|아이]]가 하노이의 3기사 중 1인인 [[파우스트(유희왕)|파우스트]]를 끌어낼 미끼로 [[시마 나오키]]를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부러 빼돌린 것으로 보인다.] 공격명은 '일루전 스파이크(イリュージョンスパイク / Illusion Spike)'. 효과명은 '사이버스 알고리즘(サイバースアルゴリズム / Cyberse Algorithm)'.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DT-JP00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마스터 링크|マスター・リンク]]- || SD34-JP008 || [[노멀]] || 일본 ||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20TH-JPB34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DT-EN001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마스터 링크|Cyberse Link]] || SDCL-EN008 || [[노멀]] || 미국 || || || Star Pack VRAINS || SP18-EN003 || [[노멀]][br]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CODT-KR00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마스터 링크]]- || SD34-KR008 || [[노멀]] || 한국 ||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크로니클 바인더]] || CHBI-KRB34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사이버스 인챈터 === [[파일:サイバース・エンチャン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사이버스 인챈터,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エンチャンター, 영어판명칭=Cyberse Enchanter, 속성=빛, 레벨=3, link2=, link4=, link6=, 공격력=24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사이버스 위저드"를 소재로서 링크 소환되어 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고\, 그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사이버스 위저드"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한다.)] 원본의 표시 형식 변경에 효과 무효화를 추가해 강화되었고, 공격력도 1800에서 +600이 되어 링크 3 코드 토커 시리즈보다 약간 높은 2400으로 올랐다. ②의 유언 효과는 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어 프리체인 무효로 상대의 몹 효과를 견제할 수도 있지만, 표시형식 변경을 반드시 따라야하는 관계로 링크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으며, 무엇보다 ①의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선 성능 구린 사이버스 위저드를 채용해야 한단 점에서 치명적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20TH-JPB3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크로니클 바인더]] || CHBI-KRB3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Duel Power || DUPO-EN014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사이버스 매지션]]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이버스, version=356)][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이버스, version=357)]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