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사이언스 SARU'''}}}[br]{{{#ffffff 株式会社サイエンス}}} {{{#ffffff SARU SCIENCE SARU INC}}} || ||<-2> [[파일:external/d7993b12d1ee32d05a5229abaf754e9406071adbfcca5922ac4b4c95a31bbe3d.jpg|width=100%]] || || {{{#ffffff '''관련사이트'''}}} ||[[https://www.sciencesaru.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ciencesaru, 크기=26)]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아사 마사아키]]가 2013년 설립한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유아사 감독이 대표이며 유아사 감독과 팀을 이뤄 활동했던 한국인 애니메이터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이 [[CEO]]였으나, 2020년 4월 1일 부로 유아사 감독이 대표이사를 사퇴하고[* 감독직을 연임하면서 건강이 나빠져 [[견왕: 이누오]]을 끝으로 잠시 휴식기를 취하겠다고 한다.], 최은영이 대표 자리를 이어받게 되었다. 유아사의 휴식기 이후로는 유아사 대신 [[야마다 나오코]]가 대표 감독을 맡고 있다. 원래 유아사 마사아키 개인 스튜디오에 가까웠으나 최은영 취임 이후로는 다른 감독들을 포섭하면서 작품활동을 다각화하고 있다. == 특징 == 고용환경 개선을 위해, 사원 전원이 아침 9시에 출근해서 저녁 6시 반에 퇴근. 토·일요일은 휴업 체제. [[guzzu]] 말로는 일본 회사 중에서도 임금이나 대우가 상당히 좋은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이 원하는 작화 수준이 굉장히 높아 같이 일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며 노동량도 꽤 많은 편이라고 한다. 동화(動畵)를 자동으로 그려주는 CG 프로그램을 도입해, flash 애니메이션으로 시간과 제작비와 인건비를 줄이는 방침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그렇다곤 해도 동화 하청을 아예 안 쓰는 회사는 아니다. 애초에 자동 동화 프로그램은 아직 발전도상의 단계라 불완전하고 오류도 많다. 그걸 감수하고도 쓰는 회사가 오히려 특이한 것이다. 디지털 작화를 하는 사람을 우대한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디지털 작화는 신세대는 주로 [[CLIP STUDIO PAINT]]를 쓰는데 이 회사는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이 디지털 작화를 [[어도비 플래시]]로 배워버린 탓에 어도비 플래시와 [[어도비 애니메이트]]를 잘 쓰는 사람을 우대한다고 한다. 스페인 출신의 flash 애니메이션 전문가 두 명이 일하고 있다.[* 원래는 최은영의 동료였다고 한다.] 하지만 어도비가 디지털 작화의 대세에서 멀어지면서 다른 방향도 모색하고 있다고 한다. 화풍을 가리지 않고 애니메이팅 실력을 중시하는 유아사 마사아키의 의향이 반영되어 꽤나 다양한 나라의 애니메이터를 기용한다. 홈페이지를 보면 영어로도 이력서를 받고 있으며 백인 애니메이터의 사진이 다수 있다. 태국인으로 추정되는 스태프가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다른 제작사가 일본인 외에 한국, 중국 애니메이터 위주로 굴러가는 것에 비하면 특이한 점.[* 사이언스 SARU를 제외하면 [[사테라이트]] 정도가 프랑스 애니메이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한국인과 중국인 애니메이터도 상당 수 있다. 일본어를 못 해도 영어를 할 수 있으면 작업이 가능하게 했다고 한다.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이 [[WEB계 애니메이터]]의 스타일에 관대해서 자주 기용한다. == 관련 인물 == 전속이 확인된 인물은 ★ 표시. * 대표이사 / 프로듀서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 ★ * 프로듀서 사키타 코헤이(崎田康平) - [[헤이케모노가타리/애니메이션|헤이케모노가타리]], [[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애니메이션|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 [[스콧 필그림, 날아오르다!]]의 프로듀서. ★ * 애니메이션 감독 [[유아사 마사아키]] ★ * 애니메이션 감독 [[야마다 나오코]] * 애니메이션 감독 [[야마시로 후가]] ★ * 애니메이션 감독 시모야마 토모히사(霜山朋久) ★ * 애니메이션 연출가 모토하시 마리(本橋茉里) * 애니메이션 감독 [[요코야마 아키토시]] * 애니메이터 [[이토 노부타케]] * 애니메이터 [[마츠모토 노리오]] * 애니메이터 [[코지마 타카시]] * 애니메이터 [[카메다 요시미치]] * 애니메이터 [[나카노 사토시]] * 음악 [[우시오 켄스케]] == 작품 목록 == === [[TVA]] === ||<-4>
[[파일:external/d7993b12d1ee32d05a5229abaf754e9406071adbfcca5922ac4b4c95a31bbe3d.jpg|width=23%]] || ||<-4> '''{{{#ffffff,#ffffff 사이언스 SARU 제작 작품}}}''' || ||
'''{{{#ffffff,#ffffff 년도}}}''' || '''{{{#ffffff,#ffffff 제목}}}''' || '''{{{#ffffff,#ffffff 감독}}}''' || || 2020년 || [[영상연에는 손대지 마!/애니메이션|영상연에는 손대지 마!]] || [[유아사 마사아키]] || ||<-4> || ||<|2> 2022년 || [[헤이케모노가타리/애니메이션|헤이케모노가타리]] || [[야마다 나오코]] || || [[유레이데코]] || 시모야마 토모히사 || ||<-4> || || 2024년 || [[단다단/애니메이션|단다단]] || [[야마시로 후가]] || ||<-4> || === [[WEB 애니메이션]] === ||
'''{{{#ffffff,#ffffff 년도}}}''' || '''{{{#ffffff,#ffffff 제목}}}''' || '''{{{#ffffff,#ffffff 배급사}}}''' || '''{{{#ffffff,#ffffff 감독}}}''' || || 2018년 || [[데빌맨 크라이베이비]] || [[넷플릭스]][*독점]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19년 || [[슈퍼 시로]] || [[ABEMA]], [[TELASA]]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20년 || [[일본침몰 2020]] || [[넷플릭스]][*독점]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21년 || [[스타워즈: 비전스]][* 6화, 9화] || [[디즈니+]][*독점] || [[최은영(애니메이터)|최은영]][br] 아벨 공고라 || ||<-4> || || 2022년 || [[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애니메이션|다다미 넉 장 반 타임머신 블루스]] || [[디즈니+]][*독점] || [[나츠메 신고]] || ||<-4> || || 2023년 || [[스콧 필그림, 날아오르다!]] || [[넷플릭스]][*독점] || 아벨 공고라 || ||<-4> || === 극장 애니메이션 === ||
'''{{{#ffffff,#ffffff 년도}}}''' || '''{{{#ffffff,#ffffff 제목}}}''' || '''{{{#ffffff,#ffffff 감독}}}''' || ||<|2> 2017년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애니메이션)|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 [[유아사 마사아키]] || || [[새벽을 알리는 루의 노래]]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19년 || [[너와 파도를 탈 수 있다면]]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22년 || [[견왕: 이누오]] || [[유아사 마사아키]] || ||<-4> || || 2024년 || [[너의 색]] || [[야마다 나오코]] || ||<-4> || == 기타 == 사명(社名)은 유아사 감독이 즐겨 그리는 [[원숭이]](SARU) 캐릭터에 보다 현명한 원숭이가 되면 좋겠다는 의미에서 [[사이언스]]를 붙여, 본능과 지성을 겸비한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로 지었다. [[부산국제영화제]] 내한 당시 인터뷰에서 유아사 감독은 사이언스(지성)는 유아사 감독 본인을 뜻하며, 본능의 사루(원숭이)는 최은영 씨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어드벤처 타임]]의 미니 시리즈 오프닝과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22기]]의 거대 히로시 로봇 배틀 부분을 제작했다. [youtube(SZBpGm2ug_k)]2023년 2월 4일, 창립 10주년을 맞이했다.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분류:2013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