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카드군)] [include(틀: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6><:>'''{{{#!html사일런트 매지션}}}'''||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CkGFQ2-VAAA33L1.jpg|width=100%]][br],,[[사일런트 매지션#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33A2DA 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2A4B8C, #2B558C, #18254F)" '''{{{#!html한국판 명칭}}}'''}}} ||<-5><:>'''사일런트 매지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91B0D9, #2A4B8C)" '''{{{#!html일어판 명칭}}}'''}}} ||<-5><:>'''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BDE3F2, #91B0D9)" '''{{{#!html영어판 명칭}}}'''}}} ||<-5><:>'''Silent Magician'''|| ||<-2><:>'''{{{#!html속성}}}''' ||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33A2DA 빛}}}]] || [[마법사족(유희왕)|{{{#33A2DA 마법사족}}}]] ||<-2> {{{#!folding [ 접기 ] 효과[br]특수 소환}}}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부터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한 카드로, [[무토우 유우기]]와 [[어둠의 유우기]]의 공용 카드가 아닌, 무토우 유우기만의 덱에서만 사용되는 카드중 하나이며, 최종 몬스터. [[토이 매지션]], [[파괴룡 간드라]],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함께 무토우 유우기를 상징하는 카드가 되었다. == 원작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최종 몬스터)] || [[파일:SilentMagician-JP-Manga-DM.png|width=100%]] || [[파일:SilentMagician-JP-Anime-DM.png|width=100%]] || || 원작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한글판 명칭 ||<-4>'''사일런트 매지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마찬가지로 'LV0' 표시가 붙었다.]|| || 일어판 명칭 ||<-4>'''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 영어판 명칭 ||<-4>'''Silent Magici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빛 || 마법사족 || 1000 || 1000 || ||<-5>사일런트 매지션은 상대 플레이어가 카드를 드로우하는 것으로 레벨을 올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lentMagicianLV0-JP-Anime-DM-NC.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lentMagicianLV1-JP-Anime-DM-NC.png|width=100%]]}}} || ||<#334074> {{{#!html레벨 0}}} ||<#334074> {{{#!html레벨 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lentMagicianLV2-JP-Anime-DM-NC.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lentMagicianLV3-JP-Anime-DM-NC.png|width=100%]]}}} || ||<#334074> {{{#!html레벨 2}}} ||<#334074> {{{#!html레벨 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lentMagicianLV5-JP-Anime-DM-NC.png|width=100%]]}}} || ||||<#334074> {{{#!html레벨 5}}} || 원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부터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한 카드로 등장. 원작에서는 마력 카운터 대신 레벨이 올라간다는 설정이며 외형 역시 레벨이 오를 때마다 바뀌었다. 매지션즈 서클로 특수소환된 뒤, 블랙 매지션의 공격에서 파괴당할 뻔하지만 유우기는 마법의 교과서 카드 효과로 하늘의 선물을 사용하여 레벨 5까지 상승시켜 사일런트 매지션의 공격력을 3500으로 만든다. 이후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의 합동 공격[* 공격력 3000]을 눈빛 하나로 막아낸 뒤 역으로 둘 다 격파해버리며 다음 턴 [[어둠의 유우기]]에게 직접 공격으로 아템과의 듀얼에서 승리하고 왕의 기억편을 마무리 짓는다. 공격명은 '사일런트 버닝(サイレント・バーニング / Silent Burning)'.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마찬가지로 시작 레벨은 0으로, 상대가 카드를 드로할 때마다 레벨이 1씩 늘어나고, 공격력이 500씩 증가하는 식이었다. 또한 레벨에 비례하여 모습도 점차 성숙해져가는 것이 특징. 처음에는 약하지만 조용히 참아가며 기회를 노리면서, 상대를 서서히 압도하는 무토우 유우기 그 자체인 카드. 무토우 유우기의 아이돌 카드라서 그런지 어둠의 유우기의 아이돌 카드인 블랙 매지션 걸과는 대비되는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우선 속성이 어둠과 빛으로 반대다. 그리고 밝고 활발한 느낌의 블랙 매지션 걸과는 반대로 차분하고 쿨한 분위기. 어느 정도 노출이 있는 블랙 매지션 걸과는 반대로 몸매가 부각은 되지만 꽁꽁싸매고 있다. 눈이 크고 동그래서 어려보이는 블랙 매지션 걸과는 반대로 길고 뾰족한 눈매의 전형적인 누님형 외모에 금발과 은발이라는 점도 따지자면 대비되는 부분. == [[유희왕/OCG|OCG]] == === 사일런트 매지션 LV4 === [[파일: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LV4.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일런트 매지션 LV4, 일어판 명칭=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LV(レベル)4, 영어판 명칭=Silent Magician LV4,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가 카드를 드로우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최대 5개까지).,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의 수 × 5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에 5개째의 마력 카운터가 놓여진 다음 자신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마력 카운터가 5개 놓여 있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사일런트 매지션 LV8"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에게 [[마력 카운터]]를 놓는 [[지속효과]], 자신의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지속효과, 패나 덱에서 사일런트 매지션 LV8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①의 효과에 의해 상대가 드로우할 때마다 [[마력 카운터]]가 놓이고, 그 수만큼 ②의 효과로 공격력이 강화된다. 최종적으로는 공격력이 3500으로 도달하며, 동시에 ③의 효과로 사일런트 매지션 LV8을 특수 소환할 준비가 갖춰진다. 하지만 어떻게 마력 카운터를 올려놓아도 공격력 상승 외에는 쓸수도 없고, 소모도 불가능한지라 [[마법도시 엔디미온]]과는 상성이 좋지 않다. 마력 카운터를 5개 올려놓을 때까지 버티는 것은 그야말로 고행 그 자체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상대가 드로우 시 마력 카운터가 1개 상승이니 총 5턴을 일일이 마력 카운터를 쌓아서 진화하는 것보다는 그냥 [[레벨 업!]]으로 한큐에 진화하는게 속편할 것이다. 다른 레벨 몬스터와는 달리 리크루터인 [[샤이닝 엔젤]]로 어떻게 해보기도 뭐하다. 원작에서는 [[하늘의 선물]]로 어둠의 유우기가 카드 5장을 드로우하게 만들어 한큐에 공격력 3500으로 진화했지만, 실제 OCG에서는 몇 장을 드로우하든 1회로 카운트하기 때문에 불가능. 마함을 [[마궁의 뇌물]]로 막은 후 상대가 드로우하는 순간 카운터가 하나 올라가기 때문에 마궁의 뇌물과도 나름 괜찮은 궁합이지만 드로우한 카드가 [[대지 분쇄]]라면 [[지못미]]. 레벨 8은 마법 내성이 있어서 덱에 마법 카운터카드를 넣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레벨 4를 지키기 위해서 [[매직 재머#대항 마술|대항 마술]]을 1장 정도 넣는 것도 좋다. 비슷한 원리로 상대가 드로우를 하게 하는 페널티를 가진 [[체인소우 인섹트]]와 같이 써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엔 덱의 컨셉이 따로 노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른 카운터 매지션처럼 1번 카운터를 쓰면 자체적 효과로는 다시 얹을 수 없거나 마법 카드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경우와 다르게 상대가 드로우만 하면 카운터가 올라가므로 [[마력 카운터]]와 [[마도기사 디펜더]]의 재활용이 비교적 쉽다. 마력 카운터가 쌓일 때까지 지키는 게 어렵지만. 그런 의미에서 [[칠흑의 파워스톤]]과 같이 쓰면 5턴 걸릴 진화를 3턴으로 줄일 수 있다. 다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게 단점. 전용덱을 짜면 대부분 빛 속성 몬스터들이 들어가므로 약한 공격력을 조금이라도 보완하기 위해 [[샤인 스파크]]를 써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로드 오브 매지션]] || SD16-KR00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MILLENNIUM DECK]] || MB01-KR014 || [[밀레니엄 레어]] || 한국 ||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br]NIGHTMARE TROUBADOUR[* [[닌텐도 DS]]로 발매된 유희왕 게임 중 하나.] 동봉 || NTR-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로드 오브 매지션]] || SD16-JP005 || [[노멀]] || 일본 || || || [[MILLENNIUM BOX GOLD EDITION]] || MB01-JP014 || [[밀레니엄 레어]] || 일본 || || || Yu-Gi-Oh! NIGHTMARE TROUBADOUR 동봉 || NTR-EN001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사일런트 매지션 LV8 === [[파일: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사일런트 매지션 LV8, 일어판 명칭=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LV(レベル)8, 영어판 명칭=Silent Magician LV8, 레벨=8,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35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사일런트 매지션 LV4"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상대의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사일런트 매지션 LV4가 진화한 형태로, 상대의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 [[지속효과]]를 가진 상급 [[특수 소환]] 몬스터. [[푸른 눈의 백룡]]조차 해치우는 공격력을 자랑하며, 마법사족 중에서는 원래 공격력 1위였으나 [[sophia의 네크로즈]](3600)와 [[퀸텟 매지션]](4500), [[드래그마의 알버 조아]](4000) 등장으로 4위가 되었다. 두 카드의 발매 시기를 생각하면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마법사족 깡공의 우두머리 위치에 있었다는 것. 공격력이 무려 3500이고 상대의 마법 효과를 받지 않으나 최근의 카드와 비교하면 좀 어중간한 내성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거기다가 마력 카운터가 없어져서 [[견습 마술사]]로 마력 카운터를 올려주는 것조차도 불가능해졌다. 실용성을 따지자면 [[호루스의 흑염룡]]이나 [[암드 드래곤]]을 쓰는 게 더 유용할 수도 있다. 다만 레벨 4에게 [[레벨 업!]]을 쓰면 순식간에 공격력 3500에 마법 내성이 있는 카드가 튀어나오는 점은 메리트가 있다. 특히 스피드 듀얼 같이 덱 장수가 적은 덱에선 이 카드가 레벨 몬스터들 중 가장 활약이 크다. 드로우, 서치만 잘 되어도 굴리기 쉽기 때문. [[레벨 업!]]을 한번에 2~3장씩 발라야 최종 몬스터가 나오는 암드 드래곤, 호루스의 흑염룡, 얼티미트 인섹트에 비해 패에 레벨 4랑 레벨 업만 있으면 언제든 소환되니 그래서 좋을 때도 많다. 호루스와는 트레이드 인을 공유하기 때문에 같이 넣고 굴려도 좋다. 패에 잡히면 손해인 레벨 8 호루스랑 매지션을 트레이드 인으로 묻은 후 탐욕의 항아리로 드로우도 하면서 다시 덱으로 돌려보낼 수 있다. 종족과 속성이 따로 놀긴 하지만 어차피 호루스로 덱을 짤 경우엔 보통 포고령이나 사령기사처럼 상대 플레이를 방해하는 카드 위주로 만들지 그런 걸 따지진 않고 레벨 서포트를 공유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리크루트 범위를 공유하지 못하는 건 좀 아쉬운 부분이다. 거기에 마법 내성 효과가 함정 내성보다 덜 좋아 보이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특히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그 진가가 나오는데 국민방어기 '''[[에너미 컨트롤러]]''' 등의 카드를 버티는 데다, 3500이란 공격력으로 후려패면 굉장히 아프다. 물론 1000밖에 안되는 수비력으로 마법 내성도 없었으면... 다만 현 메타 최고 사용률을 기록중인 [[교활한 함정 속으로]]에 걸리면 얄짤없이 날라가니 주의하자. 잘만 굴릴 수 있으면 여러모로 좋은 카드. [[레벨 업!]]으로 쉽게 소환하면 소생 제한 때문에 레벨 조정으로 부활이 불가능하지만, LV 4의 효과로 정규 소환에 성공하면 이후 묘지에서 레벨 조정으로 '소환 조건'은 무시하고 살려낼 수 있다. === 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 === [[파일:沈黙の魔術師-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 일어판 명칭=沈黙(ちんもく)魔術師(まじゅつし)-サイレント・マジシャン, 영어판 명칭=Silent Magician,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패의 수 × 5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마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 이외의 "사일런트 매지션"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침묵의 마술사 사일런트 매지션을 특수 소환!''' >---- >듀얼링크스에서 유희(DSOD) 전용 대사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왕의 기억편]]에서 리메이크되었다. [[사일런트 스워드맨]]처럼 그냥 효과 몬스터로 변경되었으며 '사일런트 매지션'이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리메이크 되면서 마술사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마술사(유희왕)|마술사]]의 지원 카드가 펜듈럼 한정이라, [[조율의 마술사]]와 마찬가지로 현 시점에서는 마술사의 지원을 못 받는다. 마법사족을 릴리스하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소환 조건, 자신의 패의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효과]], 마법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하는 [[유발즉시 효과]], 파괴되었을 경우에 같은 이름의 카드 이외의 '사일런트 매지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특수 소환(유희왕)|특수 소환]] 효과 몬스터. 특수 소환 몬스터지만, 소환 조건은 마법사족 몬스터 1장 릴리스라 비교적 가볍다. 마법사족은 특수 소환이 수월하니 마법사족 계통 덱이라면 조건을 갖추기 쉽다. 첫번째 효과인 공격력 증가효과는 기존의 LV4나 원작과는 달라졌는데, 상대의 드로우를 따지던 원작과 달리 [[오시리스의 천공룡]]처럼 자신의 패의 매수를 따지는 효과로 변경되었다. 갑자기 3000 이상의 공격력으로 튀어나오게 됐지만, 조용히 성장한다는 기존의 컨셉은 잃었다. 두번째 효과는 침묵의 검사에도 추가된 1턴에 1번 노 코스트 마법 무효화 효과, 세번째 효과는 상대에게 파괴되면 침묵의 마술사 이외의 사일런트 매지션을 리크루트하는 효과. 기존의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비슷하게 그려졌던 침묵의 검사와 달리 LV8에서 하얀 로브의 앞부분이 가늘어지고 몸매를 드러내도록 바뀌었으며 덕분에 2017년 9월 카드 프로텍터 일러스트 대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kGFQ2-VAAA33L1.jpg|width=500]] 이쁘장한 일러스트 덕분에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현지에서도 구하기 힘들고 비싼 카드가 되었다. 출시 당시에는 사일런트 스워드맨보다 약 3배 더 비싸다. 그러나 현재 사일런트 매지션은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재록됐고 반대로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인기가 없어서 재록이 안 되는 바람에 오히려 스워드맨 쪽이 더 비싸졌다. 그러나 덱을 짜는데 스스로가 서포트가 부족하고 다른 덱에 공간을 차지하는지라, 개인의 능력에 비해 실전에서는 위력을 많이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많은 이들이 기대했던 사일런트 팔라딘의 효과가 영 좋지 못해, 덱을 구성하는 난이도가 한층 더 뛰어 올랐다. 2018년 6월 15일자로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등장했다. 사일런트 매지션을 테마로 한 스트럭쳐 덱에 울트라 레어로 수록.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이 카드 3장과 사일런트 매지션 LV8 1~2장이면 충분히 활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법사족 덱에서 용병으로 활약중이다. 특히 기존 1.5티어 덱이었던 불안정한 [[마도서(유희왕)|마도서]] 덱을 더욱 더 강하게 만들어 안정적인 1티어로 올려놓았다. 그 외에도 비티어덱인 블랙 매지션, 묘지기, 엑조디아 등에서도 쏠쏠하게 쓰이다 지속적인 견제로 티어덱에선 내려왔다. 오히려 비티어덱인 블랙 매지션이 티어덱이 되었다. ===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사일런트 매지션 제로|사일런트 매지션 제로]] === == 관련 카드 == === 사일런트 버닝 === [[파일:サイレント・バーニン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사일런트 버닝, 일어판 명칭=サイレント・バーニング, 영어판 명칭=Silent Burning,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사일런트 매지션"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의 패가 상대보다 많을 경우\,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양쪽 플레이어는\, 각각 패가 6장이 되도록 덱에서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사일런트 매지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사일런트 매지션의 [[필살기 카드]]. 조건만 맞춘다면 원작판 [[하늘의 선물]]을 시전할 수 있다. 애니판의 마법의 교과서 - 하늘의 선물 연계를 속공 마법으로 표현한 듯 하다. 다만 원작 재현은 안되는데, 자신의 패가 상대보다 많아야 한다는 조건과 더불어 침묵의 마술사의 효과가 원작과 달라진 결과 공격력이 3500을 넘어 4000이 되어 버리고, LV.8은 아예 공격력 변동이 없기 때문이다. 침묵의 검이 [[시간의 비약 -턴 점프-]]를 잘 재현한 걸 생각해보면 아쉬운 부분. 아무 제약이 없을 경우 사일런트 매지션과 이 카드만으로 무차별로 드로우할 수 있기에 밸런스 조정을 위해 제약을 건 셈지만 반대로 너무 쓸모가 없어졌다.[* 반면에 이 카드와 비슷한 맥락을 지닌 [[소생하는 천공신]]의 경우 완벽하게 원작 재현이 가능하다.][* 대신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사일런트 매지션 제로|사일런트 매지션 제로]]랑 연계하면 원작재현은 된다.] 실제 성능은 나쁘다. 까다로운 발동 조건과 상대도 드로우한다는 점이 문제. 상대보다 패가 많아야만 발동되기 때문에, 사용한 턴 안에 못 끝내면 무조건 상대가 이득보는 교환이다. 질질 끌었다간 6장 패의 압박을 처절하게 느낄 것이다. [[생명 단축의 패]]를 사용해 필드가 거의 가득 찬 상대 턴에 사용해주면 상대가 눈물을 흘리며 패를 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인페르니티]] 덱을 상대로도 꽤나 쓸만하다. 다만 필드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쓰면 자살 행위인것은 똑같다. 차라리 이 카드를 투입하려면 드로우 효과를 보고 투입하는 것 보다, 2번 효과에 주목해서 [[어리석은 부장]]과 같이 투입하는 경우도 있다. === [[침묵의 마도검사-사일런트 파라딘]] === == 참고 카드 == * '''[[레벨 업!]]''' 침묵의 마술사 효과로 파괴되는 즉시 LV8을 불러올 수 있기에, 말림패 가능성이 높은 LV4와 레벨 업!은 없어도 그만이기 때문에 투입량이 많지 않다. 그러나, 보통 침묵의 마술사는 마법 1회 무효 효과가 메인이고, 특소 효과는 후속을 위한 일종의 보험처럼 운영되는 데에 반해, 능동적으로 LV8을 빠르게 부를 수 있는 방법이라서 투입 시 활약은 충분히 할 수 있다. *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 & '''[[검은 숲의 마녀]]''' 전개 및 서치 요원. 소환승은 불필요하게 패에 남은 [[레벨 업!]] 카드를 처리하기 좋고, 사일런트 꼬맹이를 빠르게 필드로 불러와 진화시키는 데에 유용하다. [[검은 숲의 마녀]]는 그 자체로 사일런트 매지션 몬스터들을 전원 서치할 수 있는 효과 범위에, 소환승의 효과로 튀어나올 수 있는 점을 꼬맹이와 공유한다. 이 둘은 또한 어둠 속성으로, 카오스 몬스터의 운영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다. 다만, 소환승은 침묵의 마술사 소환을 위해 릴리스할 수 없다... 뒷면 표시라면 다르지만. 소환승의 효과로 패에서 사일런트 버닝을 버리고 검숲마 소환, 검숲마 릴리스 후 침묵의 마술사 소환, 묘지의 사일런트 버닝 효과까지 쓰면 덱에서 총 3장의 몬스터(소환승으로 1, 검숲마로 1, 사일런트 버닝으로 1)를 서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패 1장 감소로 덱 3장 압축 & 몬스터 2장 전개라는 것. * [[인스턴트 퓨전]] 침묵의 마술사 소환을 위한 제물 마련의 용도로 투입되지만,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계열을 소환해 단독으로도 강력한 제거카드 기능을 수행한다. * [[마법족의 마을]] & [[왕궁의 포고령]] 마법 내성 기믹을 강화해서 봉쇄형으로 밀고나가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두 조합은 확실히 강력하긴 하지만... 사일런트 매지션은 덱 회전력이 좋은 테마가 아니다보니, 저 조합으로 빌드를 짓기는커녕 침묵의 마술사 1장도 제때 나와주지 않아서 낭패인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마도(유희왕)|마도]], [[섀도르]], [[얼터가이스트]] 등 강력하고 메이저한 마법사족이 등장하면서 마법족의 마을은 메인보단 서브웨폰 정도로나 쓸만한 상태. * [[수호신관 마나]], [[매지션 걸#키위 매지션 걸|키위 매지션 걸]] 사일런트 매지션 LV 8이 마법 효과에 강한 반면, 함정, 몬스터 효과에 대한 내성이 없으므로 이 카드를 투입하면 사일런트 매지션 LV 8을 최소한 파괴 효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수호신관 마나의 보호 효과보다 더 강한 키위 매지션 걸이 몬스터 존에 있다면 상대의 효과 대상이 되지 않고 상대 효과로 파괴 되지 않는다. 이 점이 수호신관 마나와 함께 매지션 걸 몬스터와 활약이 가능하다. * 각종 마력 카운터를 올리는 카드 [[흑마력의 정제자]], [[마법초 만드라고라]], [[크루세이더 오브 엔디미온]], [[마력장악]] 등의 카드로 굳이 상대방이 일일이 드로우하게 둘 것 없이 빠르게 마력 카운터를 쌓아주는 방법도 써볼만하다. *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 == 기타 == 오리지널 [[무토우 유우기]]의 덱에 들어있는 유일한 여성형 몬스터이다 보니 유우기의 영혼의 카드 & '''유우기의 진히로인''' 취급을 받는다. 이건 대부분 유희왕의 주역들의 진히로인 취급받는 히로인들이 죄다 카드 몬스터이기 때문에 일어나게 된 것인데 대표적으로 유명한건 [[카이바 세토]]-[[푸른 눈의 백룡]][* 일단 용 그 자체로써는 반쯤 개드립성이지만, 공식적인 의인화버전이 있기 때문에 진짜 진히로인 취급을 받는다.], [[어둠의 유우기]]-[[블랙 매지션 걸]]. 게다가 마침 사일런트 매지션 LV8의 경우 여동생&노출&발랄함&어둠 속성의 블랙 매지션 걸과 상반되는 누님&노출 없음&점잖음&빛 속성으로 뭉쳐져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비교가 될 수밖에 없다. [[사일런트 스워드맨]]과 엮여서 [[무토우 유우기]]를 지키는 모습으로도 자주 등장한다. 의외로 [[푸른 눈의 백룡]]과도 엮이는데, 이건 정확히 따지자면 은발벽안이 [[키사라(유희왕)|키사라]]와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 OCG 등장 이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등장한 모습은 현 OCG판과 배색이 다르다. OCG는 머리와 눈색에 맞춘 새하얀 색인 반면, 여기서는 유우기 교복에 맞춘 듯 붉은색과 어두침침한 흙색이라 머리카락과 벽안이 더 튀어보인다. 애니메이션의 흙색이 칙칙하다보니 일러스트로는 OCG가 더 맘에 든단 의견이 대다수. 원화집인 DUEL ART에서는 애니메이션과 TCG 일러스트를 합친 듯이 [[http://livedoor.4.blogimg.jp/maxut/imgs/6/0/60a6a08f.jpg|하얀색과 붉은색]]으로 나왔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 다시 그린 원작의 최종결전 장면에서는 OCG 컬러로 나왔다. == 관련 문서 == * [[사일런트(유희왕)]] * [[유희왕/레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