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射]][[出]] == 한자 그대로 "쏘아보내다"라는 뜻. 주로 화약, 탄환 등을 쏘거나 미사일을 발진시키는 일을 뜻한다. [[사출좌석]]의 사출도 이 뜻이다. 공업용어로 [[금형]]에서 제품을 뽑아내는 공정을 사출이라고 한다. 피탄된 전차 내부에서 적 공격에 피해를 입은 [[유폭|포탄이 내부에서 연쇄 폭발]], 그 폭압을 견디지 못하고 포탑이 차체에서 분리되어 하늘 높이 날아가며 땅에 처박히는 현상을 "포탑사출"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차내 공간이 좁고, 자동 장전장치 구조상 포탑을 포탄으로 두르고 다니는 [[T-64]] 부터 [[T-90]]까지의 소련-러시아 전차들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 내부 승무원에겐 최악의 상황중 하나로, 이렇게 되면 100% 끔살당한다. == [[유희왕]]의 용어 == === 애니에서 === --[[니코니코 유희왕 사전#사☆출!|사☆출]]-- 유희왕에서 몬스터를 제물로 삼아 상대에게 대미지를 주는 것을 지칭하는데 대표적으로 [[중강갑 거북]]이 온갖 몬스터를 쏘아보내며 대미지를 주던 것에서 착안하였으며,[* 국내 방영판에서는 보통 '발사'로 번역되었다.] 보통 [[MAD]]에서 [[무토우 유우기]]의 필살기로 나와 별별 몬스터들을 탄환으로 삼아 대미지를 준다. 어째서인지 매드에선 몬스터 말고 카이바나 모쿠바 같은 사람도 사출하여 공격하는 등 아스트랄함이 극에 달한다. 이 외에 [[오스틴 오브라이언]], [[로튼]] 등도 사출의 대가로 불리지만 무토 유우기 만큼은 활용되지 않는 편. === OCG에서 === 대개 "몬스터를 릴리스하여 효과 데미지를 입히는 카드"를 사출계 카드라고 부른다. 사실 사출계 카드는 그다지 효율적이진 못했는데, 사출시키느니 그냥 그걸로 비트하는게 더 데미지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 함정이 걱정되는거면 그냥 사출계 빼고 [[싸이크론]]같은 걸 투입하는 게 더 낫다. 그러나 [[유희왕/무한 루프|무한 루프]]의 발견으로 상황은 역전되었다. 일부 사출 카드가 1턴에 1번 제약이 없는 것을 이용하여 미친듯이 몬스터의 소환/사출을 반복해서 원턴을 내는게 가능해졌기 때문. 이 덕에 죄없는 몇몇 카드만 [[유희왕/OCG 금지제한|지옥으로 떨어지고]] 아예 흉악한 일부 사출 카드는 금지까지 잡수시는 위엄을 보였다. 이 무한 사출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건 2010년 세계대회에서 [[교체 깨구리]]와 [[매스 드라이버(유희왕)|매스 드라이브]]를 이용한 '''우승자'''가 나왔다는 사건 때문이다. '''동네대회도 아니라 무려 세계대회에서.''' 결국 저 둘은 금지의 나락을 피할 수 없었고, 이후의 사출계 카드에는 거의 1턴에 1번 제약이 붙어있다. [[펜듈럼 소환]]이 나오면서 몬스터의 대량전개가 흔해져서 아직 제재를 먹지 않은 무한 사출계 카드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나 소환이 나오기도 전에 코나미가 [[중강갑 거북]]이랑 [[다크 다이브 봄버]]에 [[에라타]]를 먹여버리면서 고자가 되었다(...) [[링크 소환]]이 등장한 이후 [[식물 링크]]에서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페니키시안 클러스터 아마릴리스]] 루트가 이용되었고 이후 아마릴리스가 금지를 먹고 식물 링크가 몰락하자 [[인페르니티]]와 [[태엽(유희왕)|태엽]] 덱, [[ABC(유희왕)|ABC]] 덱에서 아마릴리스 대신 [[트릭스터 스위트데블]]-[[새크리파이스 로터스]]를 이용한 루트를 활용하거나 [[캐논 솔저]] 시리즈, [[아마조네스]]의 명사수를 이용한 루트를 활용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범용성 좋은 사출계 카드들이 또 다시 연속으로 금지당하게 되었지만, 아직 턴 제약이 없는 사출계 카드가 몇 장 정도 남아 있다. 다만 [[서몬 소서리스]] 또한 금지된 상황이라 예전처럼 사출 루트가 많이 등장하기는 어려울 지도 모른다. 이후 발매된 [[파이어월 드래곤]]과의 연계로 인해 [[캐논 솔저]], 툰 캐논 솔저, 메가 캐논 솔저, 아마조네스의 명사수 등 사출계 카드들이 금지당했고, 결국은 파이어월 드래곤 본체도 금지당하고 말았다. ==== 사출계 카드 일람 ==== 일반적인 사출계 카드는 릴리스해서 데미지를 주는 놈들이다. 각주가 붙은 놈들은 릴리스가 아닌 묘지로 보내는 놈들. ☆는 금지 카드, ◇는 에라타로 효과가 변경된 카드이다. 효과 몬스터 * '''[[캐논 솔저]]'''☆: 몬스터를 1장을 릴리스하고 500 데미지를 준다. * [[툰]] 캐논 솔저☆: 캐논 솔저와 동일 * 메가캐논 솔저☆: 몬스터를 2장을 릴리스하고 1500 데미지를 준다. * [[중강갑 거북]]◇: 1턴에 1번[* 에라타 이후],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 데미지를 준다. * [[아마조네스의 명사수]]☆: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1200 데미지를 준다. * [[앤틱 기어#s-2.2|앤틱 기어 캐논]]: 자신을 릴리스하고 500 데미지를 준다. 부가 효과로 배틀 페이즈 중 서로의 함정 발동을 봉쇄한다. * [[EM 활메뚜기]]: EM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릴리스한 몬스터의 레벨 × 100 데미지를 준다. * [[디포머#s-5.2.1|D·클락큰]]: 자신을 릴리스하고 이 카드의 디포머 카운터의 수 × 1000 데미지를 준다. * [[디포머#s-5.3.2|D·토치]]: 1턴에 1번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라이프에 600 데미지를 준다. * [[묘지기(유희왕)#s-3.2.5|묘지기의 대포병]]: 자신 이외의 [[묘지기(유희왕)|묘지기]]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700 데미지를 준다. * [[잎의 요정]]: 장착 마법을 1장을 묘지로 보내고 500 데미지를 준다. * [[대공방화]]: 곤충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800 데미지를 준다. * [[투인 트롤]]: [[일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800 데미지를 준다. * [[화염의 마정령 이그니스]]: 화염 속성 1장을 릴리스하고 묘지에 존재하는 화염 속성 몬스터의 수 × 100 데미지를 준다. * [[프리스티스 옴]]: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800 데미지를 준다. * [[캐슬 게이트]]: 1턴에 1번, 이 카드가 필드에 공격 표시로 존재할 경우 레벨 5 이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준다. * [[초전도 티라노]]: 1턴에 1번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1000 데미지를 준다. * [[파이어 트루퍼]]: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기 자신을 묘지로 보내고 1000 데미지를 준다. * [[C(체인)#s-2.1.1|C·슈터]]: 릴리스가 아닌 묘지로 보내고 데미지를 주는 효과. [[C(체인)|체인]] 몬스터 한정인데다가 1턴에 1번만 가능하다. * [[초열혈 야구소년]]: 자신의 메인 페이즈 한정. 이 카드 이외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500 데미지를 준다. 싱크로 몬스터 * '''[[다크 다이브 봄버]]'''◇ * [[중강갑 워리어]] 마법 카드 * '''[[매스 드라이버(유희왕)|매스 드라이버]]'''☆ * [[엑토플라즈머]] * [[리니어 캐논]] 함정 카드 * [[령술#s-2.3|화령술-「홍」]] ==== 사출계 카드에 의해 피해를 본 카드 ==== 사출계 카드의 탄환 내지 보조로 쓰이다가 덩달아 금제 리스트에 올라간 카드들. 여담이지만 굳이 사출계가 아니더라도 사기적인 카드가 많다. 애초에 사출이 쉽도록 무한으로 몬스터를 뽑아내는 카드들이니까. * [[마도 사이언티스트]] * [[교체 깨구리]] *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 [[여섯 무의 문]] * --[[파이어월 드래곤]]--[* 이쪽은 피해를 본 쪽이 아니라 오히려 가해자다.] * --[[댄디라이언]]--[* 사출계에서도 유능하지만, 이 카드의 진짜 금지 이유는 링크 소재로의 악용으로 보인다.] [[분류:유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