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taka_o.jpg|width=100%]]}}} || ||<-2> 이름 || サクラユタカオー[br]Sakura Yutaka O || ||<-2> 출생 || [[1982년]] [[4월 28일]] || ||<-2> 죽음 || [[2010년]] [[11월 23일]] (28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 (栗毛,쿠리게) || ||<-2> 아비 || [[테스코 보이]](Tesco Boy) || ||<-2> 어미 || 안젤리카(アンジェリカ) || ||<-2> 외조부 || 네버 비트(Never Beat) || ||<-2> 생산자 || 후지와라 목장 || ||<-2> 마주 || [[사쿠라 커머스]] || ||<-2> 조교사 || 사카이 카츠타로 (미호) || ||<-2> 성적 || 12전 6승 (6-1-0-5) || ||<-2> 총상금 || 2억 2513만 2400엔 || ||<|3> 주요[br]우승 || G1 || [[천황상 가을|천황상 (가을)]](1986) || || G2 || 산케이 [[오사카배]](1986)[br]마이니치 왕관(1986) || || G3 || 교도통신배 4살 스테이크스(1985) || ||<-2> 주요 수상 || 우준상 최우수고마(1986년)[* 현 최우수 4세이상 수말] || ||<-2> [[#s-4.1|주요 자마]] || [[사쿠라 바쿠신 오]](1989)[br][[유키노 비진]](1990)[br][[사쿠라 캔들]](1992)[br][[에어 지하드]](1995)[br]우메노 파이버(1996)[br]메르시 타카 오(1999)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57(1985) / 63(1986)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2101222/|[[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14510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쿠라 커머스]] 소속의 일본 경주마로, 자신의 성적도 뛰어났지만 역시 뛰어난 자마들을 많이 배출한 종마로도 유명한 말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테스코 보이|Tesco Boy]]'''[br]{{{-2 196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Princely Gift'''[br]{{{-2 195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Nasrullah''' || ||Blue Gem|| ||<|2>Suncourt[br]{{{-2 195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하이페리온(말)|Hyperion]]'''|| ||Inquisition|| ||<|4>안젤리카[br]{{{-2 アンジェリカ}}}[br]{{{-2 1970}}}||<|2>Never Beat[br]{{{-2 196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Never Say Die || ||Bride Elect || ||<|2>스타 하이니스[br]{{{-2 スターハイネス}}}[br]{{{-2 1964}}}||Your Highness || ||[[스타 로치]][br]{{{-2 スターロツチ}}} || ||<-3>* Nasrullah 3×4 18.75%[br]* [[네아르코|Nearco]] 4×5×5 12.5%[br]* Pharos=Fairway 5×5×5 9.375%[br]* Solario 5×5 6.25% || ||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2> [[사쿠라 신게키]]^^(1977년생)^^ || 홋카이도 후지와라 목장은 연간 생산마수 8두 전후라는, 결코 크지 않은 소규모 목장이었지만 1902년 개업부터 1984년까지 클래식 4승 외에 다수의 중상 우승마를 배출한 강소목장이기도 했다. 특히 이 목장의 중심이 되는 크레이그다로치 계통의 코로나-[[스타 로치]]-안젤리카로 이어지는 암말들은 다수의 유력마와 중상 우승마를 배출하는 목장의 기둥들이었고 안젤리카의 2번째 자마인 [[사쿠라 신게키]], 3번째 자마인 사쿠라 스마일([[사쿠라 스타 오]]의 어미)등을 낳으며 승승장구 하였으나, 5번째 교배에선 불수태, 6번째 교배로 낳은 5번째 자마는 어렸을 적에 사망하면서 제대로 된 자마를 배출하지 못하게 되버린다. 이에 목장측에선 7년만에 얻게 된 명마 [[테스코 보이]]의 교배권을 고민끝에 안젤리카에게 주었고, 마침 테스코 보이와 안젤리카 모두 부계에 나스룰러의 피가 섞여있었기에 인브리드 배합 '나스룰러 3X4'라는 '''황금의 혈량'''[* M.A 피츠패트릭과 L.A 러크부란 사람들이 제안한 혈통이론으로, 근친교배의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혈통의 장점은 최대로 끌어내는 최고의 황금비율을 찾다 나온 수치라고 한다.] 의 배합이 성사된다. 이 비율의 말들로 유명한 말을 꼽아보자면 [[타니노 김렛]](Graustark), [[토쇼 보이]](Hyperion), [[히시 아마존]](Nearctic),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Nijinsky II),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Northern Dancer), [[드림 저니]]와 [[오르페브르]]([[노던 테이스트]]), [[데어링 택트]]([[선데이 사일런스]]), [[토키노 미노루]](The Tetrarch) 외 다수가 존재한다. == 생애 == === 데뷔 전 === 안젤리카의 6번째 자마로 태어나 아명을 '테스코제리카'로 받은 이 말은 등과 배 사이가 짤막하게 꽉 찬 인상을 주는 형 사쿠라 신게키와는 반대로 마체가 꽤 긴 편인 덩치라 유구 평가표에 "마격 웅대(雄大), 품위있는 골격, 부드러운 성격의 '''대물의 상'''"이란 소견을 받는다. 하지만 당시 테스코 보이 산구들은 다들 잘 나가는데 유독 '''갈색마'''만은 제대로 성적을 내지 못해서 "테스코 산구의 갈색마는 못 달린다"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었는데 테스코제리카가 딱 갈색마였기 때문에 불안감도 높아졌다. 덕분에 위의 평가표에 "난감하네요. 털이 갈색입니다"라는 소견을 더해 목장주에게 보고를 올린다. 어쨌든 목장에선 쑥숙 성장을 하는데, 마체가 큰데다 아버지 테스코 보이를 닮아 식욕이 왕성해서 [[오구리 캡|먹이용 건초를 다 먹으면 마방에 깔아놓은 지푸라기까지 먹어치우는 식성]]을 보이며 점점 무거워져서 관절에 부담이 커지게 되었고, 목장측에서 특별관리에 들어가 겨우 체중조절에 성공한다. 2살(현 1살)이 되자 히타카의 2살마 경매에 내보냈는데, 테스코 보이 산구라곤 하지만 평가가 안좋은 갈색마인지라 상당히 낮은 가격인 3천만엔에 경매를 시작하는데, 마침 자리에 참석했던 사쿠라 커머스측에서 형인 사쿠라 신게키의 성적을 믿고 3500만엔에 낙찰을 받아 구입하게 되고 "유타카(豊)에는 부유한(富)이란 뜻도 포함되니, 그런 의미를 담아" 사쿠라 유타카 오라는 이름을 지어주게 된다. === 데뷔 후 클래식 시즌 까지 === 데뷔전에선 2번 인기를 받아, 신마전 치고는 긴 거리인 1800 잔디 코스에서 경기를 진행했는데 강선행으로 부드럽게 달려서 '''2착마와 2마신 반 차이에 해당 경마장의 코스 레코드를 기록하며 압승''', G1 경기인 아사히배 3살 스테이크는 기간이 너무 짧았기에 각부불안을 안고있던 유타카 오를 무리시키지 않기 위해 회피, 아리마 기념과 같은 날에 벌어지는 500만엔 이하 조건전인 만냥상에 참가, 7마신차 압승을 거두며 연승 달성. 그리고 4살(현 3살) 시즌을 맞아 교도통신배(GII)로 첫 중상에 도전을 하는데 처음으로 중마장(비나 눈 등으로 경마장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이었던지라 각부불안이 있던 유타카 오에게는 불리한 상황이었으나 강적 서던 피버와의 일대일을 이겨낸 후 무서운 기세로 맹추격해 온 죠 대쉬에게 끝끝내 버텨내며 3연승 겸 첫 중상 우승을 거머쥐며 클래식 유력 주자로 떠오른다.[* 교도통신배의 전전년도 우승마는 3관마 [[미스터 시비]], 전년도 우승마는 무패삼관의 황제 [[심볼리 루돌프]]와 명승부를 펼친 [[비젠 니시키]]였다. 즉 이 경기를 이기면 클래식에서 활약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뜻.] 마침 같은 사쿠라 군단의 소속마 사쿠라 서니 오도 3연승을 올리며 사쿠라 군단으로 클래식을 재패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떠올랐으나, '''사쿠라 군단의 고질병이자 최대의 적인 부상'''이 유타카 오를 덥친다. 교도통신배 2일 후에 왼쪽 무릅 요골부위 끝부분 골절이 발견되어 봄의 클래식 전선에 불참하게 되는데, 이 기간동안 사쿠라 서니 오는 야요이상에서 2착, 사츠키상에선 [[미호 신잔]]에게 밀리며 3착, 일본더비에선 [[시리우스 심볼리]]에게 밀리며 7착을 기록하는 등 아쉬운 성적을 남기게 된다. 8개월간의 휴양을 거쳐 교토신문배에 도전했으나 이번에도 미호 신잔을 넘지 못하고 4착, 첫 패배를 당하고 킷카상에서도 미호 신잔은 물론 스다 호크, 사쿠라 서니 오에게도 밀리며 다시 4착을 기록한다. 이후 일단 재정비를 위해 그레이드를 낮춰 GIII 더비경 챌린지에 도전하나 [[스즈 퍼레이드]]의 맹추격을 떨쳐내지 못하고 2착 패배하며 클래식 시즌을 마감한다. === 깨어난 고마 시즌 === [include(틀:1986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5살(현 4살) 시즌이 되어 맞이한 첫 경기는 산케이 오사카배(GII)였으나, 이동 거리간의 문제와 날씨불량 등으로 컨디션이 대폭 저하해 조교 중에는 연습경기에서 선두마에게 20마신 이상의 차를 보이며 패배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 너무나 나쁜 컨디션에 출주 회피까지 고민하는 지경에 빠졌지만 그나마 점점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기에 끝까지 믿어보기로 하고 출주 강행, 3번인기로 도전한다. 이 경기에서 나쁜 컨디션에 중간에 사행으로 벌금을 무는 등 약간의 문제는 있었지만, 맹추격해 결국 따라붙은 스다 호크와의 일대일 대결에서 버텨내며 머리차 승리를 거두며 중상 2승째를 거둔다. 그리고 도전한 봄의 천황상에선 여러가지 불리한 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14착으로 굉침, 그 충격으로 마주 전역식은 입원을 하고 목장주 후지와라도 대폭 컨디션이 나빠질 정도로 당황했다는 썰이 돌아다닐 정도였다.[* 마이니치 왕관배 즈음엔 다들 건강해 졌다는 후문이 있는 걸 보면 패배의 충격이든 다른 병이었든 입원 자체는 사실인 듯.] 결국 각부불안 해소를 위해 장기휴양을 거친 후 가을 전선부터 복귀, 천황상(가을)의 트라이얼인 마이니치 왕관배(GIII)에 도전하는데, 이 경기에는 무려 [[미호 신잔]], [[닛포 테이오]], 윈저 놋트, [[스즈 퍼레이드]], 야쿠모 디자이어, 스다 호크, 스즈 마하 등 강적들이 총출동 한다. 하지만 4번 인기로 도전한 유타카 오는 추격하는 미호 신잔을 뿌리치고, 마일의 제왕이라 불린 선행마 닛포 테이오마저 제치고 2마신 반 차이에 코스 레코드(+일본 레코트)를 세우며 우승한다. 진영 측에선 천황상 가을도 기대를 해 봄직 했지만, 안그래도 이런저런 징크스에 약한 모습을 보인 사쿠라 유타카 오건만 "트라이얼에서 이긴 말은 정작 본전에선 죽을 쑨다" "레코드 승리를 올린 말은 다음 경기에서 부진에 빠진다"[* 사실 단순 징크스가 아니라, 전초전 승리마에겐 견제가 쏟아지기 때문에 승리 확률이 줄어드는데다 레코드 승리를 올렸다면 그만큼 전력을 다했단 뜻이기 때문에 본전까지 회복이 덜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긴 인식들이며, '''실제로 상당수 그 징크스 대로의 결과가 나왔다'''.]라는 인식 때문에 불안감도 사게 된다. 게다가 본선에선 최외각인 8조 16번을 받아들게 되었는데, 기수인 [[코지마 후토시]]가 "무의식 중에 혀를 찼다"라고 회상했을 만큼 불리한 위치였다.[* 도쿄 경마장 특성상 외각으로 갈수록 불리해 지는데 평균적으로 16번이면 시간으로 1초, 마신 차이로는 6마신 정도의 불리함을 앉고 싸우는 것이라고 한다.] 그나마 유타카 오에게 유리한 점은 마장 상태는 썩 나쁘지 않았기 때문에 각부불안이 있는 유타카 오도 충분히 전력질주가 가능했고, 천황상 가을에선 이상하게도 1번 인기마가 이기지 못하는 징크스가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에(미호 신잔의 아비인 신잔때부터 '''18년 연속''' 이어지고 있는 징크스라고...) 2번 인기였던 유타카 오에게도 기회는 있다고 보여졌다. [youtube(jJ9DSgyeVQ8)] 결국 미호 신잔이 아버지 이후의 연패 징크스를 깨느냐, 유타카 오가 트라이얼 우승마의 패배+레코드 우승마의 패매 징크스를 깨느냐에 관심이 모아졌고 도주마 윈저 놋트의 뒤를 유타카 오, 미호 신잔, 갤롭 다이너(전년도 우승마)등이 따르는 상태에서 최종직선에 돌입, 기수 코지마가 18회 연타라는 미친듯한 채찍질로 유타카 오를 고무하고 이에 전력을 다한 유타카 오는 다른 말들을 모두 따돌리며 결승선을 통과, '''갈색털의 테스코보이 산구 최초의 G1 우승''', '''전년도 우승마 갤롭 다이너는 물론 동일거리의 하코다테 경마장에서 닛포 테이오가 세운 기록을 동시에 갈아치운 코스 레코드+일본 레코드 갱신 우승'''을 거두며 2개의 징크스를 동시에 깨부수고 중상 2연속 레코드 승리라는 기록까지 세운다. 덤으로, 사쿠라 커머스가 거둔 첫 천황상 승리였다.[* 이런 쾌거를 이뤘다보니 우승 순간에는 경영중인 파친코점에 있던 전 고객에게 파친코다마 800개를 뿌리고 소유중인 슈퍼등의 각 점포에서 일제 세일에 들어갔다고(...)] 이후로는 재팬 컵에 3년연속 일본마 우승의 기록을 위해 도전했으나 6착 패배, 외국 원정도 기획중이었으나 종마로서의 수요가 높아지자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원정 포기, 연내 은퇴가 결정되며 아리마 기념을 은퇴 레이스로 결정하나, 다시 6착 패배하며 유종의 미는 거두지 못하고 경주마생은 종료한다. === 은퇴 후 === 홋카이도 시즈나이 스탤리온에서 종마생활을 시작하는데, 1회 1천만엔에 50회 한정으로 총 5억엔 짜리라는 당시로선 꽤나 파격적인 금액이 책정된다. 심지어는 라이벌인 샤다이 스탤리온마저 구입을 희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고 14년간 총 573두의 자식을 두었고 이 중 14마리가 평지중상 우승을, G1 우승마를 6두나 배출한다. == 주요 산구 == === G1 우승마 === * 1989년산 * '''[[사쿠라 바쿠신 오]]''' - 크리스탈 컵(1992),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1993, 1994)''',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1994), [[스완 스테이크스]](1994) * 1992년산 * [[사쿠라 캔들]] - [[퀸 스테이크스]](1995), '''[[엘리자베스 여왕배]](1995)''', [[후추 암말 스테이크스]](1996) * 1995년산 * '''[[에어 지하드]]''' - [[후지 스테이크스]](1998), '''[[야스다 기념]](1999), [[마일 챔피언십]](1999)''' * 1996년산 * 우메노 파이버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케이오배 3세 스테이크스]](1998), '''[[우준 빈마|오크스]](1999)''', [[퀸 컵]](1999) * 1999년산 * 메르시 타카 오 - [[나카야마 대장해]](2004) === 중상 우승마 === * 1988년산 * 다이너마이트 대디 - [[케이세이배]](1991), [[나카야마 기념]](1992), [[케이오배 스프링 컵]](1992) * 히가시 마요르카 - [[하코다테 기념]](1992) * 1989년산 * 사쿠라 세카이 오 - [[엡섬 컵]](1993) * 시스티나 - [[교토 암말 스테이크스|교토 암말 특별]](1995) * 1990년산 * [[유키노 비진]] - 퀸 스테이크스(1993), 1993년 [[오카상]], [[우준 빈마|오크스]] 2착 * 호마레 오칸 - [[아이치배]](1993) * 1991년산 * 텐잔 유타카 - 사파이어 스테이크스(1994), 아이치배(1994) * 오스미 맥스 - [[코쿠라대상전]](1997) * 1995년산 * 투난테 - 아이치배(2000), [[키타큐슈 기념]](2000), [[마이니치 왕관]](2000) === BMS === * 1997년산 * 다이타쿠 리바 (아버지 [[후지 키세키]]) - [[신잔 기념]](2000), [[스프링 스테이크스]](2000), [[나루오 기념]](2000), [[교토 금배]](2001, 2002) * 1998년산 * 다이타쿠 버트람 (아버지 [[댄스 인 더 다크]]) - [[한신대상전]](2003), 키타큐슈 기념(2004),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2004) * 1999년산 * '''타무로 체리''' (아버지 Secreto)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01),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2001)''' * 사쿠라 빅토리아 (아버지 [[토니 빈]]) - [[간토 오크스]](2002) * 2001년산 * 다이아몬드 더스트 (아버지 Lively One) -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5px]]]]코미티즈 프라이즈(2006) * 2003년산 * '''로직''' (아버지 [[아그네스 타키온]]) - '''[[NHK 마일 컵]](2006)''' * 타가노 바스티유 (아버지 [[브라이언스 타임]]) - [[팔콘 스테이크스]](2006) * 2004년산 * '''[[퀸 스푸만테]]''' (아버지 [[정글 포켓]]) - '''[[엘리자베스 여왕배]](2009)''' * 마이네르 레니아 (아버지 [[그래스 원더]])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2006), [[스완 스테이크스]](2008) * 토호 레이서 (아버지 Chief Bearhart) - [[뉴질랜드 트로피]](2007) * 2005년산 * 마이네 레이첼 (아버지 [[스테이 골드]]) - [[필리즈 레뷔]](2008), [[로즈 스테이크스]](2008) * 이퀄 파트너 (아버지 Charismatic) - 도쿄 하이 점프(2010) * 2006년산 * 베스트 멤버 (아버지 [[맨해튼 카페]]) - [[교토신문배]](2009) * 2009년산 * 어스 소닉 (아버지 [[쿠로후네(말)|쿠로후네]]) - [[케이한배]](2013) * 2011년산 * 윈 풀 블룸 (아버지 [[스페셜 위크]]) - 교토 금배(2015) * 2017년산 * 윈 그레이티스트 (아버지 [[스크린 히어로]]) - 스완 스테이크스(2023) == 기타 == 레코드 승리를 연발할 만큼 빠른 스피드를 가지고 있었으나 중마장에 약하다[* 이런 특징은 후배인 사쿠라 호쿠토 오가 이어받는데, 그나마 약해지는 정도인 유타카 오와는 달리 호쿠토 오는 거의 "다른 말이 되어버린다"라고 할 정도로 극단적으로 성적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약점에 더해 사쿠라 군단 특유의 각부불안 덕분에 3번이나 장기 휴양에 들어갔던 전력이 있으며 이런 특징은 자식들에게도 유전되어 상당수의 후손들이 각부 문제로 은퇴하곤 했다. 그나마 [[사쿠라 바쿠신 오]]는 큰 부상이 없긴 했지만, 바쿠신 오도 선천적인 각부 불안을 지고 있었다. 부상이 없었던 것은 마방 스태프의 지속적인 관리와 행운이 따라준 덕이라고 한다. 담당 조교사는 "(사쿠라 군단의 말 중) 내가 손 댔던 아이들 중엔 [[사쿠라 로렐]]이 가장 강했지만, 양마장의 2000m 거리라는 제한을 둔다면 유타카 오가 가장 강했다"라고 평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그레이드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84년 {{{-1 (3세, 현 2세)}}} || || 1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3세 신마 || || 잔디 1800m || 5.0 || 2 || '''{{{#red 1착}}}''' ||<|2> [[코지마 후토시]] || (템포 하야테)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만료(万両)상 || 400만 || 잔디 1800m || 2.0 || 1 || '''{{{#red 1착}}}''' || (셰르부르 퀸) || ||<-10> 1985년 {{{-1 (4세, 현 3세)}}} || || 2.10 || [[도쿄 경마장|도쿄]] || 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3.1 || 1 || '''{{{#red 1착}}}''' ||<|2> 코지마 후토시 || (조 대시) || || 10.20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신문배 || GII || 잔디 2200m || 11.0 || 2 || 4착 || [[미호 신잔]] || || 11.10 || [[교토 경마장|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20.1 || 6 || 4착 || 이와모토 이치조 || [[미호 신잔]] || || 1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GIII || 잔디 1600m || 2.6 || 1 || 2착 || 코지마 후토시 || [[스즈 퍼레이드]][* 1987년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마다.] || ||<-10> 1986년 {{{-1 (5세, 현 4세)}}} || || 3.30 || [[한신 경마장|한신]] ||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 || GII || 잔디 2000m || 7.5 || 3 || '''{{{#red 1착}}}''' ||<|6> 코지마 후토시 || (스다 호크) || || 4.29 || [[교토 경마장|교토]] || [[천황상 봄|천황상(봄)]] || '''GI''' || 잔디 3200m || 5.5 || 2 || 14착 || [[쿠시로 킹]] || || 10.5 || [[도쿄 경마장|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4.5 || 4 || '''{{{#red 1착}}}''' || ([[닛포 테이오]]) || || 10.26 || [[도쿄 경마장|도쿄]] || '''[[천황상 가을|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4.3 || 2 || '''{{{#red 1착}}}''' || (윈저 노트) || || 11.23 ||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4.1 || 1 || 6착 || 주피터 아일랜드 || || 12.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7.0 || 3 || 6착 || [[다이나 걸리버]] ||}}}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 [include(틀:오사카배,sankei=1,grade=GII)] ---- [include(틀:교도통신배,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2년 출생/경주마]][[분류:2010년 죽은 동물]][[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테스코 보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