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DfGNyCxUEAItN9b.jpg |width=1000%]] || ||<:> '''{{{+5 {{{#2056c9 <王道の変態> [br] [ruby(佐藤, ruby=さとう)] [ruby(光留, ruby=ひかる)] / Hikaru Sato}}} }}}''' || ||<-3>
[[파일:왕도의 변태.jpg |width=100%]] || ||<-2> {{{#080808 '''PANCRASE'''}}} {{{#080808 '''MISSION'''}}} || || 링네임 || '''사토 히카루(佐藤 光留)''' || || 본명 || 사토 히로아키 ([ruby(佐藤, ruby=さとう)] [ruby(弘明, ruby=ひろあき)]) || || 생년월일 || [[1980년]] [[7월 8일]] || || 출신지 ||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 신장 || 172cm || || 체중 || 90kg || ||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www.sherdog.com/fighter/Hikaru-Sato-1716| 54전 24승 26패 4무]] || || 승 || 3KO, 12SUB, 9판정 || || 패 || 11KO, 4SUB, 11판정 || || 링네임 || アキバ系パンクラシスト[* 아키바계 펑크래시스트] [br] 全身変態プロレスラー[* 전신 변태 프로레슬러] [br] '''왕도의 변태(王道の変態)''' [br] メイド服ファイター[* 메이드복 파이터] [br] Uの末裔[* U의 후예]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주요 커리어 ||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AJPW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4회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4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5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6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19년) [br] [[주니어 태그 BATTLE OF GLORY]] 우승 (2020년) [br]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2회 [br]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십|KO-D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br] KO-D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시 오브 재팬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지유가오카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UWA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 3회 [br] 월드 사토 챔피언 1회 [br] 스피릿 오브 간바레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천룡 프로젝트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도쿄 구렌타이 도쿄 인터컨티넨탈 태그팀 챔피언 2회 [br] 류큐 드래곤 프로레슬링 소류오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유니온 맥스 챔피언 1회 [br] 텐류 프로젝트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텐류 프로젝트 유나이티드 내셔널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앵클 홀드''' [br] '''크로스 암브레이커''' [br] 버즈소 킥 [br] 닐 킥 || || 테마곡 || PIANO Renovation [br] 恋しさと せつなさと 心強さと [br] サバンナ・チャンス [br] エレクトロワールド [br] MOONLIGHT [br] 蒼い夕陽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 == 종합격투기 전적 == * 주요 승: [[쵸난 료]], [[후케 타카쿠]], 에드가르 폰소스, 나카무라 다이스케, [[시부야 오사미]], [[섀넌 리치]], [[김두환(종합격투기)|김두환]] * 주요 패: [[네이트 마쿼트]], [[미사키 카즈오]], [[야마미야 케이치로]], [[오카미 유신]], [[사쿠라기 유지]], [[타케우치 이즈루]], [[후쿠다 리키]], 허민석, [[타카야마 요시히로]], [[사쿠라이 류타]] * 무승부: 야마사키 스스무, 사사키 쿄스케(2), 사토 타케시 == 커리어 == === 프로레슬링 === 스즈키 미노루를 통해 터득한 기술들을 사용하지만 기본적으로 정통 타격, 관절기, 던지기 기술만으로 밀고나가는 실력자로 신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익혀둔 기술 위주로 밀고나간다. 2008년에 프로레슬러로 데뷔하면서 Hard Hit에서 [[이시카와 슈지]]를 때려잡는 모습을 보여 인상을 남기게 되고, 이후부터는 타이엔타이-도조, [[DDT 프로레슬링]], [[대일본 프로레슬링]](BJW)에도 출연하며 레슬러가 된지 얼마안된 상황에서도 이겨나가는 상황을 만들고, IGF Genome9에 출연해서는 [[스즈키 히데키]]와의 경기에서 시간경과로 인한 무승부까지 기록한다. 2009년에 DDT 프로레슬링에서 [[남색 디노]] & [[타카나시 마사히로|타카나시 마사]]와 팀을 이뤄 안토니오 혼다 & [[딕 토고|프란체스코 토고]] & 피자 미치노쿠를 꺾고 UWA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프로레슬링 첫 챔피언 커리어를 만들게 된다. IGF Genome에도 출연하다가 2010년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 ZERO1에 출연하면서 여기서도 활약하고, 2011년부터 독일의 유명단체인 wXw에도 출연하면서 해외진출에도 성공한다. DDT 프로레슬링에서 챔피언 경력을 늘리다가 2013년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야마토 히로시]]와 같이 [[다나카 미노루]] & [[카네모토 코지]]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다른단체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들기 시작하고, 2014년부터 [[아오키 아츠시]]와 같이 주니어 태그 배틀 글로리에 참가하면서 2016년까지 3년연속 우승을 차지하고 2016년 & 2017년에 아오키 아츠시와 같이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2차례 등극하면서 통산 3회 챔피언이 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활약이 많아지면서 아오키 아츠시를 꺾고 AJPW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도 등극하지만 [[타카오 소마]]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7년에 이시이 케이스케를 꺾고 통산 2회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오르나 [[타지리]]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Evolution 멤버로 계속 활동하면서 파트너인 아오키 아츠시가 사고로 죽으면서 2019년에는 오카다 유스케와 팀을 이뤄 주니어 태그 배틀 글로리에 우승하고, 2020년에는 [[타무라 단]]과 참가해 우승하게 된다. 2022년에 스기를 꺾고 통산 3회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타무라 단과 같이 [[VOODOO-MURDERS]]([[고노 마사유키|토시조]] & 미노루)를 꺾고 통산 4회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다른 단체에서도 각각 싱글 및 태그팀 챔피언 벨트를 따내고 다니다가 타무라 단과 팀으로 다니는 일이 많다. === 종합격투기 === 프로레슬러로 활동하기 이전에 2000년에 일찍이 MMA무대에서 활동했고, 2017년까지 활동했다. 전적은 51전 24승 23패 4무를 기록했다. 그 밖에 그래플링에도 2번 출전했지만 1패 1무를 기록했고, [[조쉬 바넷]]과의 경기에서 패배했다. == 기타 == * [[스즈키 미노루]]의 제자이다. * 아마추어 레슬링 & 스모 & 포환던지기 & 종합격투기를 배운 경험이 있다. * [[히로스에 료코]]의 광팬이다. * 가끔씩 경기에 출전할 때 여성 메이드복을 입고 경기를 가지는 우스꽝스러운 모습도 나온다. * 빵 클래스의 대회에서는 링 아나운서도 한적이 있다. * 인터넷상에서 칼럼 연재를 여러개 안고 있으며, 이 밖에도 팬클럽용 원고나 단발 업무 등을 포함하면 매주 방대한 양의 원고를 써 격투기와 함께 마감에 쫓기는 나날을 보내고 있다.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0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오카야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