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세계유산)] [[파일:산해관 중국 1.jpg]] {{{#!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gold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ffffff><-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sitchina.or.kr/2011101416181858.jpg|width=100%]]}}} || ||<-3>[include(틀:지도, 장소=山海关古城,높이=250px, 너비=100%)]|| ||<:><|4><#CCC>명칭 || 한국어 || 산해관 || || 간체 || 山海关 || || 번체 || 山海關 || || 영어 || Shanhai Pass || ||<:><#CCC>분류 ||<-2> 고건축 및 역사기념건축물[br](古建筑及历史纪念建筑物) || ||<:><#CCC>시대 ||<-2> [[명나라|명]] || ||<:><#CCC>일련번호 ||<-2> 1-0102-3-055 || ||<:><#CCC>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산하이관구 둥다제1호[br]河北省秦皇岛市山海关区东大街1号 || ||<:><#CCC>등재 ||<-2> [[1961년]] || ||<:><#CCC>차수 ||<-2> 제1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AAA급[* 2015 년 10월 9일 [[중국5A급여유경구|5A급]]에서 탈락하였다가,2018년 11월 23일 회복되었다.] ||}}} [[파일:attachment/Shanhaiguan-002.jpg|width=490]] [[만리장성]] 극동부인 노룡두(老龍頭)의 모습 [목차] [clearfix] == 위치 == [[중국]] [[만리장성]]의 [[관문]] 중 하나로 만리장성의 관문 중 최동단이자 시작점에 위치한다.[* 종점인 최서단은 [[간쑤성]]의 [[가욕관]].] [[허베이 성]] [[친황다오]]시(秦皇島市)의 동쪽 산하이관 구(山海关区)에 있다. 수도 [[베이징]]으로부터는 동쪽으로 300km 거리이고,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징하고속공로|징하고속공로(京哈高速公路)]]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하이 만]] 북쪽의 옌산(燕山) 남쪽에 위치한다.[[https://goo.gl/maps/KSkE7EDu3CK2|구글 지도 참조]] == 형태 == || [[파일:external/pic.pimg.tw/e03753dc83f356ba6fa57ff0dc930e9d.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mjjq.com/1150107008_1843515406.jpg|width=100%]] || ||<-2><:> [[파일:external/story.ugyo.net/diary_img2.jpg|width=100%]] || 산해관은 주변 둘레가 4km에 이르는 사각 요새다. 벽의 높이는 14m에 이르고 두께가 7m이다. 동쪽과 남쪽 북쪽은 깊고 넓은 해자(垓子)가 파져 있고, 도개교(跳開橋)가 설치되어 있다. 산해관의 중앙에는 종탑이 서 있다. 산해관 4면에는 모두 문이 있는데, 동, 서, 남, 북쪽으로 각기 진동문(鎭東門), 영은문(迎恩門), 망양문(望洋門), 위원문(威遠門)이다. 여러 세기를 거치면서 황폐화되어 진동문만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이 중 산해관의 외부로 접한 진동문은 그 위치 때문에 중요한 곳이다. 진동문에 걸린 현판의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은 산해관을 대변하는 이름이다. 산해관 본성 동쪽 4Km에 있는 [[만리장성]]이 [[발해만]](渤海湾)과 접하는 부분은 [[https://goo.gl/maps/kqEWDbiRe6F2|노룡두(老龍頭)]]란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노룡두 자체는 북제 시절부터 있었다고 한다. == 역사 == 산해관은 일찍이 [[수나라]], [[당나라]] 시절에는 임유관(臨渝關), [[요나라]]와 [[금나라]] 때는 천민현(遷民縣)·천민진(遷民鎭) 등으로 불렸다. 수나라 때는 현재보다 약간 서쪽에 위치하였다. 임유관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진 것은 11세기 초 요나라 때이다. [[조선상고사]]에는 [[문제(수)|수문제]] 시절, [[고구려]]의 장군 [[강이식]]이 임유관을 선제 공격하여 수나라를 대파했다는 전승이 인용되어 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이름이 산해관으로 붙게 된 것은 1381년 [[명나라]]의 [[명장]] [[서달]](徐達)이 관문을 개축하고 산과 바다 사이에 위치한다 하여 산해관이라 칭했을 때부터다. 이후 산해관을 관리하는 산해위를 두었으며, [[척계광]](戚繼光)이 요새화를 시작하고 산해관의 동쪽, 남쪽 그리고 북쪽에 도시와 요새를 건설하면서 산해관을 군사도시로 만들었다. 그래서 산해관은 [[중국]]에서 가장 견고한 요새의 하나가 되었고 오늘날에도 [[만리장성]]에서 가장 잘 보전된 관문들 중 하나로 남아있다. [[파일:external/1832.img.pp.sohu.com.cn/12a68c12dc8g215.jpg|width=500]] [[명나라]] 후기에 이르러 산해관은 더욱 중요해졌는데 [[후금]]을 세운 [[만주족]]이 명으로 들어가려면 반드시 산해관을 공략해서 넘어가야 했기 때문이다. 한쪽 면은 바다라 제대로 된 해군이 없으면 돌파가 불가능하므로 물과는 상극인 유목민족이 써먹을 방법이 못 되고[* 후금이 [[조선 수군]]을 몹시 탐낸 이유가 이것 때문이다.] 나머지 한 쪽은 흥안령 산맥이 있기 때문에 대군이 지나갈 길은 발해만과 접한 해안가 부분밖에 없었다. 열심히 산을 넘어도 만리장성과 함께 [[거용관]] 등 역시 난공불락의 주요 관문이 있어서 차라리 산해관을 뚫는 쪽이 수월할 지경. 아예 만리장성을 크게 우회해 몽골 고원을 통과, 오르도스 초원 쪽으로 내려오는 방법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보급로가 길어져서 베이징 공략은 어렵고 약탈이나 할 수 있을 뿐이다.[* 실제로 [[홍타이지]]는 이 방법을 택해 우회하여 베이징 인근을 약탈하는 전법으로 상당한 성과를 올렸다. 물론 전황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지는 못했지만, 이것이 명 조정 내에서 [[원숭환]]을 불신하는 원인이 되어 그가 처형당하는 빌미가 된다.] 이렇듯 최선의 방법은 뭐니뭐니해도 산해관 방면이었기에 [[누르하치]]는 죽어라 산해관을 공격했지만 [[홍이포]]로 무장한 [[원숭환]]에게 번번히 참패를 당하며 살아생전 산해관에 들어가보지도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파일:attachment/Shanhaiguan-003.jpg|width=500]] 결국 누르하치의 후계자 홍타이지는 오르도스 루트를 통해 베이징을 적당히 약탈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고, 명나라 조정이 [[원숭환]]을 제 발로 처형시키고서야 산해관을 접수할 수 있었다. 이것도 산해관을 직접 점령한 것이 아니라 명나라가 [[이자성의 난]]으로 망하고 산해관 장령(將領)에 있던 [[오삼계]]가 [[이자성]] 측이 오삼계의 아버지를 고문했다는 소식을 듣자 격노, 청의 섭정인 [[아이신기오로 도르곤|도르곤]]에게 항복하는 바람에 드디어 청군이 [[입관]]하게 된 것이다. 산해관 전투에서 청군과 오삼계군은 이자성을 털어버리며 결국 청나라가 중국을 지배하게 되었다. [[청나라]] 시절에도 중요도는 떨어지지 않아서, 선양과 베이징 사이에 위치한 산해관은 신구 수도를 잇는 요충지 중의 요충지가 되었다. [[아편전쟁]] 때도 산해관에서 전투가 일어났으며, 심지어 중일전쟁 시기에 일본군도 산해관을 공격했다. 일본군은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국]]을 수립한 후 하북 방면으로 계속 공격을 시도해 [[1933년]] [[1월 30일]]에 산해관을 함락했다. 산해관의 함락으로 베이징 공략의 길이 열린 셈이었다.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인 1961년, 산해관은 만리장성의 주요 관문 중 하나인 [[가욕관]](嘉峪關)과 [[거용관]](居庸關)과 함께 전국 중점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른다. == 기타 == 위치 탓인지 한국에서는 다른 만리장성의 관문 중 압도적으로 유명한데, 한국에서 거용관과 가욕관은 그냥 듣보잡이지만 산해관은 [[함곡관]], [[호로관]] 등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요새들과 비슷한 인지도가 있다. 덕분에 OO반점 시리즈와 자금성, 만리장성과 함께 동네 중국집 이름으로도 널리 쓰인다. 게임 [[컨커러스 블레이드]]에서 원정대 맵으로 등장한다. == 갤러리 == [[파일:중국 산해관 2.jpg]] [[파일:중국 산해.jpg]] [[파일:중국 산해관 3.jpg]] [[파일:산하이 중국 1.jpg]] [[파일:산하이 중국.jpg]] [[파일:산해관 중국 3.jpg]] [[파일:산해관 중국 2.jpg]] [[파일:중국 산하이관.jpg]] [[파일:중국 산해관.jpg]] [[파일:산해관 중국 4.jpg]] [[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만리장성]][[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