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국지 12)] 각 관직들의 역할과 의미에 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blog.naver.com/begagi/220633968152|관직 의미 고찰]] || '''관직명''' || '''지휘병력''' || '''관직효과''' || '''취임조건''' || '''위계''' || || 황제 || 15000 || 통솔 + 10, 무력 + 10, [br] 지력 + 10, 정치 + 10 || 왕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5000이상,[br] 자세력이 한제를 옹립하거나 한제가 생존해 있지 않은 [br] 상태여야 한다. 자세력 지배도시 일정 수 이상. [br] 군주전용 || 10 || || 왕 || 14000 || 통솔 + 9, 무력 + 9, [br] 지력 + 9, 정치 + 9 || 공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4500이상. [br] 군주전용 || 9 || || 공 || 13000 || 통솔 + 9, 무력 + 9, [br] 지력 + 9, 정치 + 9 || 위계9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4000이상. [br] 군주전용 || 9 || || 승상 || 12000 || 통솔 + 9, 무력 + 9, [br] 지력 + 9, 정치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대사마 || 12000 || 통솔 + 9, 무력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대장군 || 12000 || 통솔 + 9, 무력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태위 || 3000 || 지력 + 9, 정치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사도 || 3000 || 지력 + 9, 정치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사공 || 3000 || 지력 + 9, 정치 + 9 || 위계8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500이상 || 9 || || 대도독 || 11000 || 통솔 + 8, 무력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표기장군 || 11000 || 통솔 + 8, 무력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거기장군 || 11000 || 통솔 + 8, 무력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위장군 || 11000 || 통솔 + 8, 무력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태상 || 2000 || 지력 + 8, 정치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광록훈 || 2000 || 지력 + 8, 정치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위위 || 2000 || 지력 + 8, 정치 + 8 || 위계7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3000이상 || 8 || || 정동장군 || 10000 || 통솔 + 7, 무력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정남장군 || 10000 || 통솔 + 7, 무력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정서장군 || 10000 || 통솔 + 7, 무력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정북장군 || 10000 || 통솔 + 7, 무력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태북 || 2000 || 지력 + 7, 정치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정위 || 2000 || 지력 + 7, 정치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대홍려 || 2000 || 지력 + 7, 정치 + 7 || 위계6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500이상 || 7 || || 진동장군 || 9000 || 통솔 + 6, 무력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진남장군 || 9000 || 통솔 + 6, 무력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진서장군 || 9000 || 통솔 + 6, 무력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진북장군 || 9000 || 통솔 + 6, 무력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종정 || 2000 || 지력 + 6, 정치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대사농 || 2000 || 지력 + 6, 정치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소부 || 2000 || 정치 + 6, 지력 + 6 || 위계5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2000이상 || 6 || || 안동장군 || 8000 || 통솔 + 5, 무력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안남장군 || 8000 || 통솔 + 5, 무력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안서장군 || 8000 || 통솔 + 5, 무력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안북장군 || 8000 || 통솔 + 5, 무력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집금오 || 1000 || 지력 + 5, 정치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장작대장 || 1000 || 지력 + 5, 정치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광록대부 || 1000 || 지력 + 5, 정치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상서령 || 1000 || 지력 + 5, 정치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중서령 || 1000 || 지력 + 5, 정치 + 5 || 위계4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500이상 || 5 || || 평동장군 || 7000 || 통솔 + 4, 무력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평남장군 || 7000 || 통솔 + 4, 무력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평서장군 || 7000 || 통솔 + 4, 무력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평북장군 || 7000 || 통솔 + 4, 무력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태자태부 || 1000 || 통솔 + 4, 무력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대장추 || 1000 || 지력 + 4, 정치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중상시 || 1000 || 지력 + 4, 정치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시중 || 1000 || 지력 + 4, 정치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비서감 || 1000 || 지력 + 4, 정치 + 4 || 위계3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명성 1000이상 || 4 || || 전장군 || 6000 || 통솔 + 3, 무력 + 3 || - || 3 || || 후장군 || 6000 || 통솔 + 3, 무력 + 3 || - || 3 || || 좌장군 || 6000 || 통솔 + 3, 무력 + 3 || - || 3 || || 우장군 || 6000 || 통솔 + 3, 무력 + 3 || - || 3 || || 어사중승 || 1000 || 지력 + 3, 정치 + 3 || - || 3 || || 알자복사 || 1000 || 지력 + 3, 정치 + 3 || - || 3 || || 태학박사 || 1000 || 지력 + 3, 정치 + 3 || - || 3 || || 황문시랑 || 1000 || 지력 + 3, 정치 + 3 || - || 3 || || 주목 || 6000 || 통솔 + 3, 무력 + 3 || 주자사의 관직에 오른 상태에서 [br] 자세력의 총병력 10만 이상. 군주전용 || 3 || || 위동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위남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위서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위북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군사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안국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파로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토역장군 || 5000 || 통솔 + 2, 무력 + 2 || - || 2 || || 장사 || 1000 || 지력 + 2, 정치 + 2 || - || 2 || || 사마 || 1000 || 지력 + 2, 정치 + 2 || - || 2 || || 태사령 || 1000 || 지력 + 2, 정치 + 2 || - || 2 || || 태중대부 || 1000 || 지력 + 2, 정치 + 2 || - || 2 || || 주자사 || 1000 || 지력 + 2, 정치 + 2 || 주도(주의 수도)인 도시를 지배. 군주전용 || 2 || || 아문장군 || 4000 || 통솔 + 1, 무력 + 1 || - || 1 || || 호군 || 4000 || 통솔 + 1, 무력 + 1 || - || 1 || || 편장군 || 4000 || 통솔 + 1, 무력 + 1 || - || 1 || || 비장군 || 4000 || 통솔 + 1, 무력 + 1 || - || 1 || || 간의대부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태악령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대창령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무고령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별가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공조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주부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 치중 || 1000 || 지력 + 1, 정치 + 1 || - || 1 || 관직은 부하일 경우에는 군주의 하위 관직을 배분할 수 있으며, 군주는 다음과 같다. 주자사->주목->명성 요구 관직(위계 4부터)->공->왕->황제 명성 요구 관직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군주1이 모든 군주 중 제일 먼저 위계4의 관직에 올랐을 경우에는 맨 위인 평동장군의 자리를 얻게 되고, 군주2가 군주1의 다음 순서로 위계4의 관직에 올랐다면 평남장군이 된다. 이런 순서대로 군주의 관직이 배분되며 주자사, 주목, 공, 왕 등의 군주전용 관직은 중복될 수 있다. 또한 군주1이 사안장군[* 안동, 안남, 안서, 안북]인데 군주2가 사평장군[* 평동, 평남, 평서, 평북]일 경우 군주1이 군주1 자신의 부하에게 사평장군의 관직을 주는 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공, 왕, 황제 즉위시 자세력 무장 모두의 충성도가 오르고, 군주가 있는 도시(수도)에 병력이 약간 생긴다. 삼국지 12에서는 황건적도 관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황건적 군주가 황제가 될 경우 무조건 국호는 '황건' 으로 고정된다. 삼국지 13에서도 12와 동일한 관직들로 나온다. 전작의 명성은 존재감으로 바뀌었고 12에서는 공적에 관계없이 아무장군에게 높은 관직을 줄 수 있지만 13에서는 높은 관직일수록 공적이 많은 상위 품관이 요구된다. 황제가 되려면 존재감 25,000 이상이 되어야한다. [[분류:삼국지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