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밀양시의 읍]] [include(틀:밀양시의 읍면동)] ||<-2> '''[[파일:밀양시 CI.svg|height=15]] [[밀양시|{{{#000000,#dddddd 밀양시}}}]]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삼랑진읍}}}'''[br]三浪津邑 | Samnangjin-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밀양시 삼랑진읍&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밀양시 || || '''행정표준코드''' || 5360030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31행정리 86반 || || '''면적''' || 78.31㎢ || || '''인구''' || 6,348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81.0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3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조해진]] ,,(3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예상원]] ,,(3선),, || ||<-2> '''밀양시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현우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조영도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허홍]] ,,(5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외송중앙길 6 (송지리 409-1) || || [[https://www.miryang.go.kr/twn/index.do?mnNo=10000&owd=samrangjin|삼랑진읍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밀양시]] 동남부에 위치한 [[읍(행정구역)|읍]]. == 역사 == 이 읍의 명명 과정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좀 특이하다. 원래는 철도가 지나갈 시 그 [[읍(행정구역)|읍]]/면의 이름을 따서 역의 이름을 짓는데, 삼랑진읍은 반대로 이 곳을 지나는 [[삼랑진역]]의 역명을 따 [[1928년]] 하동면에서 삼랑진면으로 개칭되었다.[* 비슷한 경우로 [[곤지암IC]]의 이름을 따라 개칭된 [[광주시]] [[곤지암읍]]이 있다.] 이 후 [[1963년]] 삼랑진읍으로 승격되었다. == 교통 == [[경부선]], [[경전선]] [[삼랑진역]]이 이 곳에 위치하며, [[경부선]]과 [[경전선]]이 분기하는 역이다. [[대구부산고속도로]] [[삼랑진IC]]도 이 곳에 있다. == 관할 리 == * 송지리: 삼랑진읍의 중심지. [[삼랑진역]], 삼랑진읍사무소 등이 위치한다. 또한 삼랑진초등학교, 삼랑진중학교, [[삼랑진고등학교]]도 이 곳에 있다. * 삼랑리: 삼랑진역, 그리고 이 읍의 어원. 송지리의 서남쪽에 있다. * 검세리: 송지리의 동쪽에 있다. 사실상 송지리와 맞닿아 있는 리 서쪽을 제외하면 개발이 되어 있지 않다. * 임천리: 농업자원관리원이 위치해 있다. * 청학리: [[부산대학교/밀양캠퍼스|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가 이 곳에 있다. 주변 개발도 좀 되어 있는 편. * 미전리: [[미전신호소]]가 있다. 이 역에서 [[미전선]]이 분기한다. 주변에는 조그마한 농공단지(미전농공단지, 대미농공단지)가 있으며, [[오순절평화의마을]] 삼랑진시설이 존재한다,그리고 2019년 사망한 향년 26세 여배우 [[설리(1994)|설리]]의 무덤인 삼랑진 추모공원 역시 미전리 소속. * 용전리: 삼랑진읍의 중앙부에 있다. 리 중앙에 공장이 조금 있다. 만어산 자락에 만어사가 있다. [[만어사]]에는 큰 돌을 깎아 만든 불상이 있는데 원래는 그 위로 누각이 지어져 있었다고 한다. 절 자체보다는 절집 바로 아래에 있는 거대한 너덜바위 지대가 유명하다. [[빙하기]]에 돌들이 풍화되어서 쌓여 만들어진 지대이다. 만어산 곳곳에 이런 너덜바위 지대가 있다. 태초에 만어산까지 바닷물이 차 있었을 적에 살던 물고기들이 굳어져서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또한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 최초의 순교자로 인정받은 김범우 토마스가 귀양와서 살다가 사망한 장소가 이 용전리에 있는데, 해당 장소에는 [[천주교]] 측에서 이를 기념하는 성당을 건립했다. 김범우의 무덤도 인근에 있다. * 우곡리 * 안태리: 삼랑진읍의 유일한 호수 안태호가 있다. 안태호 남부는 개발이 약간 되어 있다. * 숭지리 * 행곡리: 마을로는 숭촌, 행촌, 남촌 마을이 있다. * 용성리 == 관련 문서 == * [[읍(행정구역)/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