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include(틀: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의 경비함)] || [[파일:external/www.dokdocenter.org/1310610829-34.jpg|width=100%]] || || [[파일:attachment/삼봉급/5001.jpg|width=100%]] || || 5001함(삼봉) || [목차] [clearfix] == 제원 == || 함명 || 삼봉 || 이청호 || || (만재) 배수량 || 6350 t || 6800 t || || 전장 || 145.5m || 150.5m || || 전폭 |||| 16.5m |||| || 흘수 |||| 5.5m |||| || 최대 속력 || 23노트 || 26노트 || || 항속거리 || 8500마일 || 9000마일 || || 탑승정원 || 97명 || 104명 || || 고속단정 || 10m 1대, 6.5m1대, 5m 2대 || 14m 2대, 10m 2대 || || 추진방식 || [[디젤엔진]] 단일추진방식 || [[선박/추진방식#s-4.2.2|CODLAD]] || || 엔진 || [[MAN]] B&W 18V32/40 (11,790hp) ×2 || [[MTU(기업)|MTU]] 20V 1163 M94(9,750hp) ×4 || || 발전기 || [[커민스]] KTA 19DM1 ×3 || MTU 12V 4000 M23S Genset ×4 || || 무장 || 40mm [[노봉]] 1문, 20mm 발칸 1문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멜라라 76mm]] 1문 [br] 40mm 노봉 1문, 20mm 발칸 1문 || || 제작사 |||| 현대중공업 |||| == 상세 == || [[파일:external/www.jnuri.net/28376_38100_216.jpg|width=100%]] || || 5002함(이청호)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소속의 경비함정이다. 5000톤급으로 단 두 척만 건조되었다. 5000톤급의 필요성은 1996년 국정감사에서 처음 제기되었다. 기상악화 시에도 [[독도]]에서 임무수행이 가능한 대형 함정이 필요했고 특히,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처해야할 해양경찰이 당시 1000톤급 이상 함정을 7척밖에 보유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열세일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1번함인 삼봉함(5001)는 총 439억 원의 예산을 들여 1999년부터 건조를 시작하여 2002년 3월에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해경청]] [[동해시|동해]]해양경찰서에 배치되었다. 2번함인 이청호함(5002)은 2011년 12월 12일 서해상에서 불법중국어선 단속과정 중 사망한 [[이청호 경장 살해사건|이청호 경사의 순직]]을 계기로 단속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2012년부터 건조를 시작하여 약 4년여 만인 2015년 12월 3일 진수하였다.[* 정부합동 「불법조업 근절 종합대책」에 따라 5천 톤급 1척, [[태평양급|3천 톤]] 2척을 도입하여 첫 번째 3천 톤급 1척은 군산(3013함, 15년 11월 취역), 두 번째 5천 톤급은 서귀포(이청호함, ’16년 6월 취역), 세 번째 3천 톤급은 [[서해지방해양경찰청|서해해경청]] 목포해양경찰서(3015함, 15년 12월 취역)에 배치] 삼봉은 독도의 옛 지명이며 --[[정도전|그 분]] 아니다.--[* 하지만 [[독도/역사]] 항목에 서술된 것처럼 성종실록에 묘사된 삼봉도는 독도라기보다는 오히려 [[홋카이도]]나 [[사할린 섬]]에 더 들어맞는 것으로 보인다는게 문제다.~~침략예고~~] 01년 건조된 이후 이청호함이 건조되기 전까지 해상경비, 해상범죄 단속 및 수사, 해난 구조, 해상오염 방지 및 복구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최대 경비함이며 해경의 자존심이었다. 항속거리는 8,500마일 정도이고 분당 600드럼을 발사가능한 화재진압 소화포, 헬기 착륙장과 격납고가 있으며 1만 톤급 선박 예인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 취역 시 [[20mm]] [[발칸포]] 2문을 장착하였으나 화력강화 조치로 2009년 함수 함포를 [[40mm]] [[노봉]] 쌍열포로 교체하였다. 함장은 보통 [[총경]]급으로 임명되나 [[경정(계급)|경정]]이 임명될 때도 꽤 있다. 부장이나 기관장은 항상 [[경감(계급)|경감]]들이 맡는다. 함정 생활 환경은 2002년 취역 기준으로 역대 최고를 자랑한다. 함장 이하 [[경위(계급)|경위]]급 이상은 1인 1실, [[경사(계급)|경사]] 이하 2인 1실, [[해양경찰청 의무경찰|해경 의경]]은 4인 1실 생활을 하는데[* 실상은 [[의무경찰#s-3|일이경]] 2명+[[순경]]([[경장(계급)|경장]]) 1명 1실 & 상수경1명+순경(경장) 1명 1실] 각 방마다 화장실, 샤워시설, TV, 냉장고, 스탠드가 장착된 개인 침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휴게실, 독서실, 런닝머신 등 다양한 운동기구가 배치된 체력단련실과 [[사우나]][* 의경은 점호 전까지, 직원은 24시간 이용 가능.] 시설이 존재한다. 그리고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위성 TV]]가 설치되어 있어 유료성인 채널인 스파이스TV까지 시청이 가능했다.[* 전 채널 시청은 함장만 가능하고 부장 이하 총원은 그냥 통신실에서 틀어주는 대로 봐야한다. 보통 [[지상파]] 3사, [[YTN]], 영화채널 한 개, 함 외부 CCTV를 중계하는데 의경 여러분은 [[당직]]관이 젊은 취향이길 바라보자. 뜬금없이 [[당구]] 방송(...) 같은 걸 보고싶지 않다면... ~~아니면 [[USB]] 사서 [[외출]][[외박]][[휴가]] 나가서 재밌는 거 다운받아오면 된다. 물론 감찰이나 지도관, 부장 등에게 적발되면 뒷감당은 알아서~~] 참고로 함정안의 화장실 개수만 총 72개. ~~ 덕분에 30명 조금 넘는 의경들의 일과는 청소로 시작해서 청소로 끝이 났다 ~~ ~~세상에 30명이라니.. 요즘은 총원 10명인데..~~ 시사교양프로인 다큐멘터리 3일에서 삼봉호를 대상으로 촬영하였으며, 방송일자는 2019년 3월 24일로 572회차 분이다. 해당 방송에서 삼봉호 내부 선실 구조가 자세히 나온다. 삼봉호는 2014년 12월 1일 러시아 [[베링해]]에서 [[501오룡호 침몰사고|침몰한 501 오룡호]] 실종자 수색에도 동원되었다. 동년 12월 5일 모항인 동해를 출항한 삼봉호는 12월 13일 베링해 사고해역에 도착했으며 1월 5일 복귀지시까지 38일간 수색구조활동을 진행했다. 삼봉호는 한겨울 북극권 해역의 장기간 열악한 기상 여건 속, 극한의 수온으로 인해 기관장비에 일부 이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자체 수리요원들이 긴급 정비를 실시하였다.[* 그정도 추운 극지방에서는 경유의 성분인 [[파라핀]]이 굳어서 찐득찐득한 젤상태가 되고 그걸 먹은 디젤엔진은 퍼져버린다. 그래서 극지방을 운행하는 배들은 동파 방지를 위해 온도가 떨어지면 안되는 배관에는 보온장치를 한다.] 결국 삼봉호는 실종자 수색을 마치고 바로 추가정비를 위해 부산의 해경 정비창으로 복귀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극지방 항해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은 삼봉호를 파견한 것은 승조원들의 안전을 등한시 한 것이라고 비판하였지만 한국에서 극지항로 해역 운용을 고려해 건조한 배는 [[남극]][[세종 과학기지|기지]] [[장보고 과학기지|전담]] [[쇄빙선]]인 [[아라온호]] 한 척뿐인데 남극에 있는 배를 보낼 수는 없는 일이었다. 2015년 12월 3일에는 두 번째 5000톤급 경비함인 이청호함이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다. 2013년 1월 건조를 시작하여 3년 3개월간의 건조기간을 거쳤으며 건조비용으로 785억원이 소요되었다. [[한강급 |옛 1005함]]에 장착되었던 [[오토멜라라 76mm 함포|76mm 함포]]가 이설되어 해경 경비함중 최강의 화력을 갖추었으며 그외에도 --그놈의-- 40mm 노봉 1문과 20mm 발칸 1문을 탑재하였다. 선체 길이는 삼봉호(5001함) 대비 4m가 길어진 150.5m이며, 폭은 16.5m이다. 함체 디자인은 삼봉호보다 유려하여 현대의 구축함처럼 [[스텔스]]성이 강화된듯한 형태지만 다수의 창문형 구조물과 현측의 돌출된 라인등으로 인해 실질적 스텔스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대속력은 시속 26노트(약 시속 48km)로 104명의 승조원이 승선 가능하고, 경제속도 15노트로 운항시 별도 유류수급 없이 9,000마일(약 16,700km, [[하와이]]까지 왕복 가능) 연속항해가 가능하다. 유류절감을 위해 동력원은 디젤엔진과 전기모터를 이용한 최신형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적용하였다. 총 39,000마력의 추진력을 낼 수 있으며 엔진은 9,750마력 4기를 장착하였다. 또한 35노트(약 시속 65km) 이상으로 고속운항이 가능한 길이 14m와 10m [[고속단정]]을 각 2대씩 탑재하여 불법조업 어선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는 기동력을 확보하였다. 이청호함은 내부공사와 해상시운전을 마치고 2016년 5월 27일 [[이어도]] 경비임무를 위해 [[제주지방해양경찰청|제주해경청]] [[서귀포]]해양경찰서에 배치 되었으며, 6월 23일 취역식을 거행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sid1=102&oid=079&mid=shm&aid=0002843246&mode=LSD&nh=20160611074732|기사]] 이후 2018년 12월 20일 오후 3시에는 동해상의 북한 어선에 대한 구조 활동을 하던 대한민국 해군 [[광개토대왕함]]과 대한민국 해양경찰 삼봉급 5001함(삼봉함)에 일본 [[해상자위대]]의 [[P-1]] [[대잠초계기]]가 정찰 비행을 하는 상황에서, 광개토대왕함이 STIR-180 레이더를 조사했다며 일본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면서 한일 레이더(혹은 레이더) 갈등이라고 부르는 [[일본 해상초계기 저공위협 비행 사건]]이 발생했다. == 관련 문서 == * [[P-정]]: 50톤이 주력, 30톤도 소수 있음 * [[해누리급]]: 100톤급 * [[해우리급]]: 300톤급 및 250톤급 * [[태극급]]: 500톤급 * [[한강급]]: 1000톤급 * [[제민급]]: 1500톤급 * [[태평양급]]: 3000톤급 * [[원양초계함]] * [[일본 해상초계기 저공위협 비행 사건]]: 5001함(삼봉호)가 당시 현장에 있었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분류:경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2002년 출시]][[분류:2016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