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성 라이온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삼성 라이온즈/응원가)] [include(틀:KBO 리그 치어리더)]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목차] == 개요 == * '블루 팅커스'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 소속 치어리더들은 전부 놀레벤트 소속이다. ==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역대 팀장 == ||<-3> {{{#ffffff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역대 팀장''' }}} || || {{{#074ca1 활동년도 }}} || {{{#074ca1 이름 }}} || {{{#074ca1 사퇴이유 }}} || || 2000 ~ 2012 || [[노숙희]] || 은퇴, 현재 이수진 치어리더랑 공동팀장 || || 2013 ~ 2018 || [[이연주(치어리더)|이연주]] || 은퇴 || || 2019 ~ || [[이수진(치어리더)|이수진]] || || ==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명단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응원단)] ||<-4> {{{#ffffff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명단''' }}} || || {{{#074ca1 등번호 }}} || {{{#074ca1 이름 }}} || {{{#074ca1 데뷔년도 }}} || {{{#074ca1 활동기간 }}} || ||<|9> V9 || [[이수진(치어리더)|이수진]] || 2013 || 2013 ~ || || [[권소영(치어리더)|권소영]] || 2014 || 2014 ~ || || [[이소영(치어리더)|이소영]] || 2018 || 2018 ~ || || [[김하연(치어리더)|김하연]] || 2019 ||<|2> 2019 ~ || || [[고정현]] || 2019 || || [[최홍라]] || 2019 || 2020 ~ || || [[정유미(1998)|정유미]] || 2023 ||<|2> 2023 ~ || || [[김가현(치어리더)|김가현]] || 2023 || == 삼성 라이온즈 이적ㆍ은퇴 치어리더 명단 == ||<-7> {{{#ffffff '''삼성 라이온즈 은퇴명단''' }}} || || {{{#074ca1 등번호 }}} || {{{#074ca1 이름 }}} || {{{#074ca1 데뷔년도 }}} || {{{#074ca1 활동기간 }}} || {{{#074ca1 이적ㆍ은퇴년도 }}} || {{{#074ca1 이적팀 }}} || {{{#074ca1 이적소속사 }}} || ||<|3> V7 || [[노숙희]] || 2000 || 2000 ~ 2012 || 2013 || 은퇴 || || || 조정영 || 200x || 200x ~ 2013 || 2014 || 은퇴 || || || 도우정 || 2014 || 2014 ~ 2015 || 2016 || 은퇴 || || || V8 || [[박윤혜]] || 2014 || 2014 || 2015 || 롯데 자이언츠 || RS ENT || ||<|15> V9 || [[서유림]] || 2016 || 2016 ~ 2017 || 2018 || 한화 이글스 || 에스컴 || || 구지연 || 2015 || 2015 ~ 2017 || 2018 || 은퇴 || || || [[황다건]] || 2018 || 2018 || 2018 || 은퇴 || || || 심혜성 || 2018 || 2018 || 2018 || 은퇴 || || || [[박현영]] || 2018 || 2018 ~ 2019.09 || 2020 || SSG 랜더스 || JR 커뮤니케이션 || || [[이연주(치어리더)|이연주]] || 2012 || 2012 ~ 2018 || 2019 || 은퇴 || || || 안지성 || 2015 || 2015 ~ 2019 || 2020 || 은퇴 || || || [[박세아]] || 2020 || 2020 || 2022 || 한화 이글스 || 에스컴 || || [[장혜원]] || 2013 || 2013 ~ 2016, 2019 ~ 2020 || 2021 || 은퇴 || || || 정지현 || 2019 || 2019 ~ 2020 || 2021 || 은퇴 || || || [[이예림(치어리더)|이예림]] || 2019 || 2019 ~ 2021 || || || || [[남민정(치어리더)|남민정]] || 2016 || 2020 ~ 2022 || 2022 || || 투에스 스포테인먼트 || || [[이호정(치어리더)|이호정]] || 2021 || 2021 ||<|2> 2023 ||<|2> 롯데 자이언츠 ||<|2> D&B 엔터테인먼트 || || [[김유정(치어리더)|김유정]] || 2017 || 2021 ~ 2022 || || [[김가영(치어리더)|김가영]] || 2020 || 2020 ~ 2023 || 2023 || 은퇴 || || == 삼성 라이온즈 프랜차이즈 치어리더 == || '''{{{#ffffff No.V7 }}} [[노숙희|{{{#ffffff 노숙희 }}}]]''' [br] '''{{{#ffffff 2000 ~ 2012 }}}''' || || [[노숙희|[[파일:노숙희_20151022_215431000.jpg|width=100%]]]] || || '''{{{#074ca1 한국시리즈 우승 2002, 2005, 2006, 2011, 2012 }}}''' || || '''숙희 이모'''[br] 삼성 라이온즈의 영원한 레전드 치어리더. || ||
'''{{{#ffffff No.V9 }}} [[이연주(치어리더)|{{{#ffffff 이연주 }}}]]''' [br] '''{{{#ffffff 2012 ~ 2018 }}}''' || || [[이연주(치어리더)|[[파일:external/t1.daumcdn.net/20160818191548976xymt.jpg|width=100%]]]] || || '''{{{#074ca1 한국시리즈 우승 2012, 2013, 2014 }}}''' || || '''삼성여신'''[br] 2010년대 초중반기 전성기 보낸 인기 치어리더. || ||
'''{{{#ffffff No.V9 }}} [[이수진(치어리더)|{{{#ffffff 이수진 }}}]]''' [br] '''{{{#ffffff 2013 ~ }}}''' || || [[이수진(치어리더)|[[파일:이수진(치어리더).jpg|width=100%]]]] || || '''{{{#074ca1 한국시리즈 우승 2013, 2014 }}}''' || || '''진슈'''[br] 현재 팀장이자 에이스. || ==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역사 == === 1세대 (노숙희 팀장 체제) === 삼성 라이온즈 전성기 였던 21세기 이후 2002, 2005, 2006, 2011, 2012년 우승을 겪었지만 인지도가 높지 않아 팬들 사이에 치어리더 뽑을때 SSAT로 뽑는 게 아니냐는 농담이 나오던 시기였다. === 이연주 팀장 체제 & 이수진의 등장 === 2013 시즌 SSAT로 뽑는다고 비난을 받을 타이밍에 여신급 치어리더가 영입 됐을 때 반응은 핫 했으며 TV 방송 진출 까지 이바지를 하였다. 그 이후로 인기를 얻으면서 2013, 2014 우승을 경험을 하였다. 2016 시즌부터 암흑기 야구를 겪었으며 시즌이 지날 수록 세대 교체가 진행이 되었다. === 2018년 황다건 성희롱 및 치어리더 성상품화, 치어리더 폐지 논란 === 2018 시즌 [[박현영]], [[황다건]], 심혜성 등 미래를 책임질 에이스급 치어리더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2018년 12월 [[황다건]]은 일베사이트에서 자신을 성희롱하는 게시글을 본인의 SNS에 직접 캡쳐해 올리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직후 심혜성도 본인의 SNS에 장문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심혜성은 "어떠한 인권도 없는 우리일지도, (중략) 어떤 의견도 내지 못하는, 어리고 조신하지만 너희들의 성욕은 채워줘야 하는 직업일지도"며 직설적이고 격한 반응을 보였다. 이어 [[박현영]]도 이에 동조하며 가세했다. 이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다시 한번 [[치어리더]]의 [[성 상품화]] 논란이 일었고, 치어리더를 폐지해야 한는 여론이 높아졌다. 이 사건 이후 황다건과 심혜성은 은퇴를 하였다. 박현영은 당장 은퇴하지 않았으나 2019년 도중에 부상과 스트레스를 이유로 은퇴했다가 몇 개월 후 은퇴를 번복하고 SK 와이번스 치어리더가 되었다. === 이수진 팀장 체제 === 2019 시즌 팀장이였던 [[이연주(치어리더)|이연주]]는 은퇴를 하고 이수진 체제로 진행을 하였다. 그러나 [[박현영]]의 시즌 중 은퇴로 앞서 내용과 같이 미래를 책임질 에이스 치어리더들이 전멸을 하게 되어 멘붕에 빠뜨렸다. 하지만 동일한 해 [[이예림(치어리더)|이예림]], [[고정현]], [[김하연(치어리더)|김하연]] 치어리더가 데뷔하면서 삼성을 이끌고 있다. 2020년에는 위너스 출신 [[남민정(치어리더)|남민정]] 치어리더가 들어왔었는데, 시즌 도중에 결혼했었지만 팬들은 대부분 축하해주는 분위기였다.[* 현재는 남민정 치어리더는 삼성을 떠났다.] 또한 [[김가영(치어리더)|김가영]] 치어리더가 합류하였고, [[최홍라]] 치어리더도 정식으로 삼성에 입단하였다.[* 정식이란 말이 붙은 이유는 최홍라 치어리더는 2020년 전에도 드문드문 응원단상에서 모습을 비추었기 때문이다.] 2023시즌부터는 대구경북 출신 치어리더들만 활동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김가현(치어리더)| 김가현]] 치어리더가 합류했다.[* 2022년 말에 남민정, 2022 시즌 종료 후에는 김유정이 삼성을 그만두게 되었으며, 삼성에서 관뒀었던 이호정 또한 김유정과 함께 롯데로 이적했다.] [각주] [[분류:치어리더]] [[분류:삼성 라이온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