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성 라이온즈)]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2>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250]] || ||<-2> {{{+2 {{{#ffffff '''삼성 라이온즈'''}}}}}} || ||<-2> {{{+1 {{{#074ca1 '''Samsung Lions'''}}}}}} || || '''창단''' || [[1984년]]^^([age(1984-01-01)]주년)^^ || || '''법인 설립''' || [[1982년]] [[3월 5일]]^^([age(1982-03-05)]주년)^^ || || '''법인명''' || [[삼성스포츠|㈜삼성스포츠]] || || '''업종명''' || 스포츠 클럽 운영업 || || '''상장 유무''' || [[비상장 기업]] || || '''기업 규모''' ||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구단명''' || '''{{{#074ca1 삼성 라이온즈 2군}}}''' (1984~ ) || || '''모기업''' || [[제일기획]] || || '''연고지''' || '''[[경상북도|{{{#074ca1 경상북도}}}]]''' '''[[경산시|{{{#074ca1 경산시}}}]]''' (1984~ ) || || '''구단주''' || [[유정근]] || || '''사장''' || [[유정근]] || || '''단장''' || [[이종열]] || || '''감독''' || '''{{{#074ca1 73}}} [[정대현]]''' || || '''소속 리그 변천''' || '''{{{#ffdc00 남부리그}}}''' (1990~2014, 2016~ )[br]~~옐로우리그 (2015)~~[* [[한국야구위원회|KBO]]가 2015 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리그(북부), 레드리그(중부, 신설), 옐로우리그(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중부/남부리그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리그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 || || '''홈구장'''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074ca1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1987~ ) || || '''1군''' || [[삼성 라이온즈]] || || '''워드 마크''' ||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width=125]] || ||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ylDUKsFYORi65pGEmQ1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퓨대기],, | [[https://m.blog.naver.com/kbo_official2|[[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퓨대기 퓨처스리그 대학생 기자단 공식 계정],, || ||<-2> {{{#074ca1 '''퓨처스리그 우승''' ,,(9회),,}}} || || '''남부리그''' || [[1992년]], [[1994년]], [[1995년]], [[1996년]] [br] [[1997년]], [[1998년]], [[2000년]], [[2004년]], [[2010년]] || ||<-2> {{{#074ca1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최고 승률''' || '''0.712''' [br] 1998년 60경기 42승 1무 17패 || || '''최저 승률''' || '''0.333''' [br] 2016년 96경기 30승 6무 60패 || || '''최다 승''' || '''52승''' [br] 2022년 103경기 52승 4무 47패 || || '''최다 패''' || '''61패''' [br] 2023년 98경기 37승 0무 61패 || }}}}}}}}}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www.mbcsportsplus.com/kbo/news/?mode=view&cate=1&b_idx=99996955.000|BB아크, 씨를 뿌리는 사람들]] [[삼성 라이온즈]]의 2군 야구단. [[삼미 슈퍼스타즈]]와 [[OB 베어스]]에 이어 세 번째로 창설한 2군이다. 1990년 [[한국프로야구 퓨처스리그|2군 리그]]가 창단한 이래 계속 남부리그에 속해 있다. == 홈구장 == *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1987~[* [[포항 야구장]] 개장 후 포항을 홈구장으로 쓰려고 포항시와 협약을 맺었지만 삼성 구단과 포항시 모두 협약을 두고 서로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며 갈등을 빚는 바람에 이뤄지지 않았다. 2016년 들어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으로 삼성이 포항 경기를 줄이면서 2군의 포항 이전은 사실상 무산됐다.] == 역사 == === 1980년대 === 1984년에 박창용 전 [[대구 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감독을 2군 감독으로 선임하고 1985년에는 [[천보성]]을 코치로 뒀고, 1988년에는 [[장명부]][*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하라는 투수 육성은 안하고]], 1군 투수 운용에 사사건건 간섭하면서 1년만에 짤렸다.]를 투수코치로 영입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다른 팀들은 2군 감독이 아닌 2군 코치가 2군 감독역을 맡고 있었다. === 1990년대 === [[KBO 퓨처스리그|2군 리그]]가 생긴 후 1990년대에서는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1992년 첫 우승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총 5시즌 연속 남부리그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오키나와 리그|일본 마무리 훈련]]이나 미국 교육리그에 선수들을 파견할 정도로 선수 육성에도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95년에는 2군 선수 전원이 단일 팀으로 미국 애리조나 교육리그에 참가하기도 했다.]. [[신동주(야구)|신동주]], [[이동수(야구선수)|이동수]], [[정경훈(야구선수)|정경훈]], [[최익성]] 등이 이 시기에 2군에서 기량을 닦고 1군에 올라와 맹활약한 대표적인 선수들. 그러나 타자에 비해 투수들의 성장은 지지부진했고[* 박용준과 [[최한경]]은 1군에서 혹사당한 탓에 선수 생활이 짧았고, [[이상목]]은 1993년 시즌 중 [[박선일]]과 트레이드돼 [[빙그레 이글스]]로 간 다음 에이스로 성장했고, [[허삼영]]은 허리 부상으로 일찍 은퇴했다. 이밖에 2군에서 활동하다 1군에 올라온 투수는 [[이상훈(우완투수)|이상훈]]과 [[김인철(야구인)|김인철]] 등이 있는데, 그나마 김인철은 어깨 부상으로 결국 타자가 됐다.] 팀은 번번이 [[KBO 한국시리즈]]에서 고배를 마셔, 1990년대 후반부터 삼성 라이온즈는 [[현대 유니콘스]]와 함께 육성보다는 선수를 사들여 팀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2군 운영은 항상 뒷전이었다. === 2000년대 === 2000년, 2004년, 2010년에도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2000년대에도 곽용섭[* 2003년 신인지명 2차 2라운드에서 지명된 좌타자로, 당시 2차 1라운드 지명자였던 [[강명구]]보다 더 많은 계약금을 받고 입단했다. 입단 당시부터 2군 유망주 중 1명으로 손꼽혔지만, 군제대 후 어깨 부상으로 재활하는 사이 포지션이 겹치는 [[채태인]]에게 밀려 2008년에 방출됐고 이후 LG나 두산을 전전했지만 결국 1군에 자리잡지 못했다.], [[박석민]], [[최형우]] 등의 선수가 나왔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2군에 전보다 관심을 덜 가지면서 최형우는 2005년 남부리그 타격 2위를 하고도 방출될 정도로 방만한 운영을 했다[* 다만 2007년까지만 하더라도 2군에 대한 위상은 현저히 낮았다. 특히 삼성의 경우에는 [[2군 본즈]]의 원조인 [[김승관]]의 사례가 있다 보니, 최형우가 2007년 [[경찰 야구단]]에서 타격 7관왕을 했음에도 2008년 시즌 전까지는 최형우의 1군 활약에 대해서 부정적인 전망이 더 많았다.]. 또한 2군 중심타자였던 곽용섭과 [[박석민]]이 입대했을 때인 2006년과 2007년에는 젊은 유망주 기근에 시달리기도 했다[* 그나마 2004년부터 1군 주전이 된 [[조동찬]]과 2005년 입단한 [[조영훈]]이 있었지만, 2007년에 각각 부상과 부진으로 조평신 1, 2호기라는 별명만 얻었다. 이 둘을 빼면 당시 삼성 1군에서 서른을 눈 앞에 둔 [[박한이]]가 제일 어린 선수였다.] === 2010년대 === 그래서 2010년대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운영 방침이 선수를 육성해서 키우자!로 바뀌게 되었고 2군에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두산 베어스]] 못지 않은 [[화수분]] 야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이는 구단의 언플이고 화수분 정도는 아니고 매년 1~2명 정도 1군으로 올라오는 수준.]. 지원도 빵빵해서 한국프로야구 2군팀 중 유일하게 2012년부터 매년 해외 전지훈련을 실시하고 있다[[http://www.leopalaceresort.co.kr/board/press_view_d.php?no=22&PHPSESSID=18281dacd0285e4c988c84cd3d8e262a|#]]~~역시 돈 없는 구단~~ 하지만 2군 지원과는 별개로 1군이 잘 나가다 보니 신인 지명에서 좋은 유망주 수급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다 [[KBO 리그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의 시행으로 그나마 있는 유망주들이 거의 다 빠져나가거나 하는 이유 등으로 팀 성적은 퓨처스리그 전체에서 중하위권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해보고자 BB 아크도 만들었지만 이 역시 신통치 않은 상황[* 그도 그럴 것이 [[류중일]] 감독이 BB 아크 설립 당시 코칭스태프의 확충도 요구했지만 새로운 코치 영입 없이 기존에 있던 코치들을 지도위원으로 임명했고, BB 아크의 시설도 기존 역사관을 리모델링한 거라 따로 훈련하는 장소가 없다. 설립 취지는 좋았지만 실적을 내기에는 그 여건 자체가 안 좋다.]. 2015시즌 부터는 옐로우 리그에 소속될 예정이었으나, 편의 때문에 북·중·남부리그로 이름을 바꾸면서 남부리그 소속으로 남았다. 2016년 3월 9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개장 첫 경기를 했다. 상대는 [[kt wiz 2군]] [[http://www.tbc.co.kr/tbc_news/n14_newsview.html?p_no=160308039|관련 기사]] 2016년에는 남부리그 꼴찌에 2005년도의 역대 최저 승률을 갱신하며 최악의 성적까지 기록했는데, 시즌 후 올라온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389645|삼성 2군 관련 기사]]에 따르면 스카우트 실패, 어차피 떠날 거라 자기는 상관 없다는 무책임한 일부 코치, 노후화된 시설, 부진한 성적 탓에 고참급은 [[똥군기|군기를 잡는]] 등,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감독 교체의 여파로 2군 코칭스태프도 물갈이되면서 2017년에는 예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2018년 시즌이 끝난 후에 1군 준주전과 백업, 2군 주전들[* 안성무, 황수범, 김기태 등은 삼성 2군에서 가장 이닝을 많이 먹은 투수 3명이다.]을 포함 방출하고 이후에 2018년 드래프트와 육성선수로 들어온 15명 전부를 구단 최초로 재계약하면서 2군에도 대대적인 선수 세대교체가 일어나고 있다. * [[삼성 라이온즈/2군/2010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1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2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3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4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5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6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7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8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19년]] === 2020년대 === * [[삼성 라이온즈/2군/2020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21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22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23년]] == 역대 감독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ffffff '''삼성 라이온즈 No.'''}}} || ||<-2> '''{{{+2 [[정대현(1978)|{{{#074ca1 정대현}}}]]}}} [br] {{{#074ca1 鄭大炫 | Chong Tae-Hyon [br] (2024~ )}}}''' || == 역대 성적 == ||
'''{{{#white 연도}}}''' || '''{{{#white 소속 리그}}}''' || '''{{{#white 팀명}}}''' || '''{{{#white 순위}}}'''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비고}}}''' || || {{{#074ca1 1990년}}} || '''{{{#ffffff 단일리그}}}''' ||<|34> '''삼성 라이온즈 2군''' || 5위/8팀 || 62 || 29 || 5 || 28 || 0.509 || || || {{{#074ca1 1991년}}} ||<|24> '''{{{#000000 남부리그}}}''' || 4위/4팀 || 36 || 12 || 6 || 18 || 0.417 || || || {{{#074ca1 1992년}}} || '''1위/4팀''' || 36 || 18 || 6 || 12 || 0.583 || || || {{{#074ca1 1993년}}} || 2위/4팀 || 36 || 16 || 15 || 5 || 0.514 || || || {{{#074ca1 1994년}}} || '''1위/4팀''' || 36 || 19 || 6 || 11 || 0.633 || || || {{{#074ca1 1995년}}} || '''1위/4팀''' || 60 || 33 || 6 || 21 || 0.611 || [* 해태와 공동 1위] || || {{{#074ca1 1996년}}} || '''1위/4팀''' || 60 || 31 || 6 || 23 || 0.574 || || || {{{#074ca1 1997년}}} || '''1위/5팀''' || 76 || 45 || 5 || 26 || 0.634 || || || {{{#074ca1 1998년}}} || '''1위/4팀''' || 60 || 42 || 1 || 17 || 0.712 || || || {{{#074ca1 1999년}}} || 3위/4팀 || 60 || 25 || 4 || 31 || 0.446 || || || {{{#074ca1 2000년}}} || '''1위/4팀''' || 60 || 37 || 4 || 19 || 0.661 || || || {{{#074ca1 2001년}}} || 3위/4팀 || 60 || 30 || 5 || 25 || 0.545 || || || {{{#074ca1 2002년}}} || 3위/4팀 || 60 || 24 || 6 || 30 || 0.444 || || || {{{#074ca1 2003년}}} || 4위/4팀 || 66 || 24 || 7 || 35 || 0.407 || || || {{{#074ca1 2004년}}} || '''1위/4팀''' || 72 || 37 || 6 || 29 || 0.561 || || || {{{#074ca1 2005년}}} || 4위/4팀 || 76 || 25 || 8 || 43 || 0.368 || || || {{{#074ca1 2006년}}} || 4위/4팀 || 78 || 25 || 13 || 40 || 0.385 || || || {{{#074ca1 2007년}}} || 3위/4팀 || 90 || 34 || 9 || 47 || 0.420 || || || {{{#074ca1 2008년}}} || 2위/4팀 || 90 || 39 || 10 || 41 || 0.488 || || || {{{#074ca1 2009년}}} || 4위/4팀 || 90 || 42 || 4 || 44 || 0.467 || [* 무승부를 패전으로 간주해 계산된 승률이다.] || || [[삼성 라이온즈/2군/2010년|{{{#074ca1 2010년}}}]] || '''1위/5팀''' || 102 || 51 || 6 || 45 || 0.531 || [* 원래 2009년과 2010년에는 무승부를 패전으로 간주해서 당시 승률은 0.500였다. 이후 2020년대 들어 KBO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예년처럼 무승부를 제외하고 승률을 계산해 KBO 홈페이지에서는 0.531로 나온다.] || || [[삼성 라이온즈/2군/2011년|{{{#074ca1 2011년}}}]] || 2위/5팀 || 102 || 48 || 8 || 46 || 0.511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2년|{{{#074ca1 2012년}}}]] || 4위/6팀 || 100 || 38 || 11 || 51 || 0.427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3년|{{{#074ca1 2013년}}}]] || 3위/6팀 || 100 || 48 || 8 || 44 || 0.522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4년|{{{#074ca1 2014년}}}]] || 4위/6팀 || 89 || 37 || 10 || 42 || 0.468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5년|{{{#074ca1 2015년}}}]] || '''{{{#000000 옐로우리그}}}''' || 3위/4팀 || 102 || 44 || 6 || 52 || 0.458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6년|{{{#074ca1 2016년}}}]] ||<|8> '''{{{#000000 남부리그}}}''' || 6위/6팀 || 96 || 30 || 6 || 60 || 0.333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7년|{{{#074ca1 2017년}}}]] || 5위/6팀 || 94 || 40 || 6 || 48 || 0.455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8년|{{{#074ca1 2018년}}}]] || 6위/6팀 || 94 || 33 || 8 || 53 || 0.384 || || || [[삼성 라이온즈/2군/2019년|{{{#074ca1 2019년}}}]] || 5위/6팀 || 99 || 40 || 5 || 54 || 0.426 || || || [[삼성 라이온즈/2군/2020년|{{{#074ca1 2020년}}}]] || 5위/6팀 || 81 || 36 || 5 || 40 || 0.474 || || || [[삼성 라이온즈/2군/2021년|{{{#074ca1 2021년}}}]] || 3위/6팀 || 88 || 41 || 6 || 41 || 0.500 || [* NC와 공동 3위] || || [[삼성 라이온즈/2군/2022년|{{{#074ca1 2022년}}}]] || 3위/6팀 || 103 || 52 || 4 || 47 || 0.525 || || || [[삼성 라이온즈/2군/2023년|{{{#074ca1 2023년}}}]] || 6위/6팀 || 98 || 37 || 0 || 61 || 0.378 || || == 역대 개인 기록 == 커리어 전체가 아니라 삼성 소속일 때만의 기록으로, 상무나 경찰 같은 군경팀 시절 기록도 제외했다. 단, 투수의 사사구와 타자의 득점 기록은 2006년 이후 기록 한정이다. 2군 기록의 경우 KBO는 2005년까지 연감에 각 투수의 사사구와 각 타자의 득점을 표기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과거에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상대적으로 경기가 적어서 투수의 평균자책점이나 타자의 타율 정도를 제외하면 경기수가 많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누적 기록이 상위일 수밖에 없다. === 통산 === ||<-4>
'''{{{#ffffff 투수}}}''' || || '''{{{#074ca1,#5ea2f8 부문}}}''' || '''{{{#074ca1,#5ea2f8 이름}}}''' || '''{{{#074ca1,#5ea2f8 기록}}}''' || '''{{{#074ca1,#5ea2f8 삼성 소속 시즌}}}''' || || 등판경기 || [[임현준]] || 194경기 || 2011~2021 || || 평균자책점[* 300이닝 이상 기준. 참고로 이 기준을 만족하는 역대 삼성 2군 투수는 [[곽동훈(야구)|곽동훈]], [[구준범]], [[김기태(1987)|김기태]], [[라형진]], [[이동걸]], [[이수민(야구선수)|이수민]], [[정성훈(1977)|정성훈]], [[정인욱]], [[황수범]] 등 9명이다.] || [[정성훈(1977)|정성훈]] || 2.76 || 1996~2002 || || 승리 || [[김기태(1987)|김기태]] || 43승 || 2007~2018 || || 패전 || [[김기태(1987)|김기태]] || 34패 || 2007~2018 || || 세이브 || [[홍정우]] || 25세이브 || 2015~현재 || || 홀드 || [[임현준]] || 30홀드 || 2011~2021 || || 이닝 || [[김기태(1987)|김기태]] || 593⅔이닝 || 2007~2018 || || 피안타 || [[김기태(1987)|김기태]] || 632개 || 2007~2018 || || 피홈런 || [[황수범]] || 36개 || 2011~2018 || || 탈삼진 || [[김기태(1987)|김기태]] || 387개 || 2007~2018 || || 사사구 || [[황수범]] || 296개 || 2011~2018 || ||<-4> '''{{{#ffffff 타자}}}''' || || '''{{{#074ca1,#5ea2f8 부문}}}''' || '''{{{#074ca1,#5ea2f8 이름}}}''' || '''{{{#074ca1,#5ea2f8 기록}}}''' || '''{{{#074ca1,#5ea2f8 삼성 소속 시즌}}}''' || || 출장경기 || [[김정혁]] || 503경기 || 2011~2017 || || 타율[* 1000타석 이상 기준. 참고로 이 기준을 만족하는 역대 삼성 2군 타자는 [[김성표]], [[김승관]], [[김정혁]],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모상기]], [[문선엽]], 박규대, [[백상원]], [[백승민]], [[손주인]], [[송준석(야구선수)|송준석]], [[우동균]], 이태호, [[정형식]] 등 14명이다.] || [[김정혁]] || 0.336 || 2011~2017 || || 출루율 || [[김정혁]] || 0.398 || 2011~2017 || || 장타율 || [[문선엽]] || 0.517 || 2010~2017 || || 타석 || [[모상기]] || 1849타석 || 2006~2014 || || 타수 || [[모상기]] || 1574타수 || 2006~2014 || || 안타 || [[모상기]] || 460개 || 2006~2014 || || 2루타 || [[김승관]] || 99개 || 1995~2004 || || 3루타 ||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 23개 || 2007~2012 || || 홈런 || [[김승관]] || 64개 || 1995~2004 || || 타점 || [[모상기]] || 340타점 || 2006~2014 || || 득점 || [[모상기]] || 255득점 || 2006~2014 || || 도루 || [[정형식]] || 95개 || 2009~2014 || || 사사구 || [[모상기]] || 250개 || 2006~2014 || || 삼진 || [[모상기]] || 294개 || 2006~2014 || === 단일 시즌 === ||<-4>
'''{{{#ffffff 투수}}}''' || || '''{{{#074ca1,#5ea2f8 부문}}}''' || '''{{{#074ca1,#5ea2f8 이름}}}''' || '''{{{#074ca1,#5ea2f8 기록}}}''' || '''{{{#074ca1,#5ea2f8 시즌}}}''' || ||<|2> 등판경기 || [[양지훈]] ||<|2> 48경기 || 2010 || || 두영진 || 2013 || || 평균자책점 || [[김현욱(야구)|김현욱]] || 1.42 || 1993 || || 승리 || [[곽동훈(야구)|곽동훈]] || 11승 || 2010 || ||<|2> 패전 || 정홍준 ||<|2> 10패 || 2009 || || [[정광운]] || 2019 || || 세이브 || [[홍정우]] || 15세이브 || 2019 || || 홀드 || [[임현준]] || 10홀드 || 2011 || || 이닝 || [[정성훈(1977)|정성훈]] || 130이닝[* 참고로 이 당시는 팀당 60경기였다. 팀 이닝의 1/4 가량을 정성훈 혼자서 책임진 셈.] || 1996 || || 피안타 || 강유삼 || 138개 || 2005 || || 피홈런 || [[백준영]] || 13개 || 2005 || || 탈삼진 || [[정성훈(1977)|정성훈]] || 106개 || 1996 || || 사사구 || [[황수범]] || 99개 || 2011 || ||<-4> '''{{{#ffffff 타자}}}''' || || '''{{{#074ca1,#5ea2f8 부문}}}''' || '''{{{#074ca1,#5ea2f8 이름}}}''' || '''{{{#074ca1,#5ea2f8 기록}}}''' || '''{{{#074ca1,#5ea2f8 시즌}}}''' || || 타율 || [[김정혁]] || '''0.418'''[* 남부리그 단일시즌 최고타율.] || 2011 || || 안타 || [[정형식]] || 105개 || 2010 || ||<|2> 2루타 ||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2> 26개 || 2010 || || [[이성규]] || 2016 || || 3루타 ||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 10개 || 2010 || || 홈런 || [[모상기]] || 21개 || 2011 || || 타점 || [[모상기]] || 83타점 || 2011 || || 득점 || [[정형식]] || 74득점 || 2010 || || 도루 || [[정형식]] || 39개 || 2010 || || 사사구 || [[백상원]] || 64개 || 2010 || || 삼진 || [[이태훈(야구선수)|이태훈]] || 74개 || 2021 || == 관련 문서 == * [[KBO 퓨처스리그]] * [[삼성 라이온즈]] [[분류:삼성 라이온즈/2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