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include(틀:외국 유학 장학금)] [목차] == 삼성그룹에서 장학금을 지원받은 학생 == [[삼성그룹]]에서 학업의 지속적 정진을 위해 성적 우수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삼성장학금]]을 받은 학생들을 삼성장학생이라 부른다. === [[삼성 장학회]] === [[삼성 장학회|해당 문서]] 참조. === 삼성꿈장학재단 === 2006년에 설립되어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주로 중1-고3)을 대상으로 지원해 온 장학재단이다. 2016년 현재 336억원 규모로 장학사업이 진행중이다. 멘토링꿈장학사업, 리더육성장학사업, 배움터교육지원사업, 글로벌장학사업 등으로 세분화해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돕고 있다. 세분화된 사업 내용에 따라 지원대상 및 지원범위, 지원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해당 장학재단의 홈페이지 [[http://www.sdream.or.kr/]] 참조 바람. == [[삼성그룹]]과 정치권, 행정부, 사법부의 유착을 비꼬는 표현 == 삼성그룹이 [[삼권분립]]의 전체인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를 손에 넣고 관리해왔다는 의미. 삼성그룹과 관련한 특혜 의혹이 불거질때마다 개혁진보성향 미디어나 인터넷커뮤니티에서 <삼성장학생>이란 용어가 등장한다. '''삼성공화국'''이란 표현이 나올 정도로 한국 사회내에서 압도적인 삼성그룹의 영향력과 심각한 수준의 [[정경유착]], [[부정부패]]을 대변하는 단어라고 볼 수 있다. 삼성이 정치권 인맥을 어떻게 치밀하게 관리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증언이 있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99872|"노무현의 불행은 삼성에서 비롯됐다"]] 노무현 선거대책본부에 참여했고, 이후 [[열린우리당]] 상황실장을 지냈던 윤석규씨의 증언이다. '''참여정부'''라는 명칭마저 삼성이 지어준 것이라는 증언이다. 그밖에도 삼성 구조본에서 법무 일을 보았던 [[김용철(1958)|김용철]] 변호사의 저서인 [[삼성을 생각한다]]에도 삼성이 사법연수원 시절부터 계속해서 수십만원의 명절 떡값으로 미래의 판검사, 변호사들을 어떻게 삼성의 뒤를 봐주는 사람으로 키우는 지 잘 나와 있다. 삼성은 심지어 이 책이 출간되면서 동시에 이뤄진 [[정의구현사제단]]이 발표할 내용까지 미리 입수하여 엠바고를 걸고 발표되지 않은 기자회견의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는 발표를 하게끔 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이는 [[YTN]] [[돌발영상]] 마이너리티 리포트 편에 잘 나와 있다. 2005년 당시 [[MBC]] 기자였던 [[이상호(기자)|이상호]][* 과거 [[총풍 사건]]을 취재했으며, 최근 [[고발뉴스]]를 진행하는 그 기자 맞다.]기자가 [[국가정보원|국가안전기획부]]의 불법도청 내용을 담은 90여분짜리 테이프를 입수하여 폭로하였다. 이 테이프는 [[삼성그룹]]과 [[중앙일보]]가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김대중]], [[이회창]] 후보에게 자금을 지원[*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삼성그룹이 김대중 후보쪽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것은 [[장성민]] 전 의원이 중앙일보에 기고한 DJ정치비사에도 나오는 이야기다. ]하였으며, 또한 [[검사(법조인)|검사]]들에게 주기적으로 떡값(사실상 [[뇌물]])을 건네면서 검찰을 관리해왔다는 충격적인 대화가 녹음되어 있었다. 삼성그룹과 정치권, 검찰 사이의 유착관계가 폭로되면서 '''정계와 관계에 오랜기간 삼성의 불법적인 돈을 받으면서 삼성을 위해서 일하는 인사들이 다수 존재한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을 진보개혁 언론에선 위의 1번 항목에 빗대서 '''삼성장학생'''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폭로로 터져나온 일명 '''[[삼성 X파일 사건]]'''은 안기부의 불법도청만 처벌되고, 삼성과 정치권, 검찰 사이의 유착관계는 공소시효를 이유로 흐지부지 종결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 사건으로 [[노회찬]] 의원이 의원직을 잃었다. 당사자가 [[대한민국 검찰청]]이라서 처음부터 [[특별검사]] 혹은 [[국정조사]]로 가야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당시 국회 제1당이던 [[열린우리당]], 제2당인 [[한나라당]]이 지엽적인 문제로 시간을 끌다가 무산되었다. 당시 민주노동당을 제외한 나머지 제도권 정치세력인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당 모두가 삼성그룹과 연결점이 존재하기에 이 사건의 실체가 명명백백하게 밝혀지는걸 원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있다. 삼성비자금을 파헤치다 보면 결국은 이들의 불법적인 정치자금까지 딸려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처음부터 안기부의 불법 도청이 핵심이고, 나머지는 곁가지라고 사실상 삼성을 옹호하는 듯한 모양새를 보이면서 논란을 부추겼다. 그런데 이상호 기자의 폭로 2년뒤인 2007년에는 삼성그룹의 법무실장 출신인 [[김용철(1958)|김용철]] 변호사가 삼성의 정관계 로비와 불법 비자금에 대해서 폭로하면서 다시금 삼성장학생이란 용어가 회자되었다. 특히 2005년 X파일 사건, 2007년 삼성비자금 사건 모두 수사를 담당했던 검사들이 오히려 삼성을 두둔하면서 면죄부를 주는 듯한 행보를 보여서 '''삼성장학생'''이란 비판이 나왔다. 특히 2000년대 중반부터 삼성그룹이 [[이재용]] 부회장으로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서 취한 조치들이 매번 편법, 탈법, 특혜 의혹에 시달렸고 그때마다 정치권, 경제부처, 검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법원 가릴 것 없이 삼성장학생들이 판을 치고 있다는 식의 비판 혹은 비아냥이 쏟아졌다. 대표적으로 2009년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편법 증여 사건의 대법원 무죄 판결과 2010년 [[삼성생명]] 주식 상장 특혜 의혹 그리고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결정이다. 특히 제일모직 합병은 추진단계부터 소액주주의 권익을 무시한 처사라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결국 제일모직 지분을 상당량 보유한 [[국민연금]]의 찬성으로 합병은 성사됐지만 2016년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 국민연금의 찬성이 삼성에서 로비를 받은 [[최순실]]의 지시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2017년 현재 [[박영수(법조인)|박영수]] [[특별검사]]의 수사가 진행되었고, 특검 종료후에는 검찰로 넘어갔다. 상기한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발행, 삼성생명 주식상장,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모두 삼성그룹쪽에선 경영상 목적을 이유로 들었지만 친재벌 성향의 [[매일경제신문|경]][[한국경제신문|제]][[머니투데이|신]][[서울경제신문|문]][[파이낸셜뉴스|들]]조차 이재용 [[부회장]] 경영권 승계를 위한 조치라고 기사를 쓸 정도로, 의도가 뻔히 보이는 행태였다. [[경제신문]]들조차 실드치기 어려울 정도의 노골적인 특혜들이 유독 삼성에만 주어진 것이다. 2000년대 중반부터 "[[전경련]]이 아니라 삼경련"라는 식의 비아냥이 다른 재벌들한테서 나온다는 기사가 나올 정도였다. === 여담 === 삼성그룹은 그외에도 [[삼성경제연구소]]를 통한 사회적 의제 제시, 삼성장학재단을 포함한 각종 교육/복지 사업을 통한 이미지 제고와 친삼성 엘리트 그룹의 형성, 광고를 무기로한 언론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국정에 개입하고 있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86470|"상처만 남긴 노무현 정부와 삼성과의 동맹"]] 기사 참조. 이쪽은 그나마 합법적이긴 하지만... 사실 1번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삼성은 '좋은' 삼성 장학금에도 돈을 아끼지 않는다. 여담으로 삼성이 돈을 얼마나 많이 뿌렸냐면, 지방신문(당시에는 1도1사 시절에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이전일 때라 지방신문이라도 힘이 있었다)의 기자도 삼성으로 추정되는 사람에게 상품권을 받았다고. [[추미애]] 전 민주당 대표는 [[이건희]] 회장 본인으로부터 '절대 돈 안 받는 정치인'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추미애는 절대 돈을 안 받으니 상품권 같은 다른 방법을 개발해보라'고 지시한 내용이 공개되었기 때문. == 관련 문서 == * [[삼성그룹]] * [[삼성그룹/비판 및 문제점]] * [[삼성장학금]] [[분류:삼성]][[분류:장학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