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성전자]][[분류:2008년 설립]][[분류:일본의 IT 관련 기업]][[분류:일본의 전자제품 제조사]][[분류:한일관계]] [include(틀:삼성전자)] ||<-2>
{{{#373a3c,#dddddd '''{{{+1 삼성전자 재팬 주식회사}}}'''[br]サムスン電子ジャパン株式会社[br]Samsung Electronics Japan Co., Lt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飯田橋グランブルーム.jpg|width=100%]]}}} || || '''{{{#373a3c,#dddddd 종류}}}''' ||주식회사 || || '''{{{#373a3c,#dddddd 설립}}}''' ||[[2008년]] [[10월 1일]] || || '''{{{#373a3c,#dddddd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373a3c,#dddddd 업종}}}''' ||제조 판매업 || || '''{{{#373a3c,#dddddd 사업}}}'''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업[br] 전자제품 사후서비스 || || '''{{{#373a3c,#dddddd 모기업}}}''' ||[[삼성전자]] || || '''{{{#373a3c,#dddddd 최고 책임자}}}''' ||고바야시 켄이치(CMO) || || '''{{{#373a3c,#dddddd 주소}}}''' ||〒102-0071 [[도쿄도]] [[치요다구]][br]후지미 2초메 10-2 [br]이이다바시 그랜드 블룸[br]東京都千代田区富士見2-10-2[br]飯田橋グランブルーム || || '''{{{#373a3c,#dddddd 법인번호}}}''' ||[[https://www.houjin-bangou.nta.go.jp/henkorireki-johoto.html?selHouzinNo=7010001119880|7010001119880]] || || '''{{{#373a3c,#dddddd 연락처}}}''' ||+81-3-6333-2000 || ||<|2> '''{{{#373a3c,#dddddd 링크}}}''' ||[[http://www.samsung.com/jp/|[[파일:삼성 파비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SamsungJP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msungJPN, 크기=15)] | [[https://www.facebook.com/samsungjap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 [[https://www.instagram.com/samsungjp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성전자 재팬(サムスン電子ジャパン)은 [[삼성전자]] DX부문의 일본 법인이다. == 상세 == 삼성전자 재팬의 정식 명칭은 "삼성전자 재팬 주식회사"(サムスン電子ジャパン株式会社)으로, "삼성전자 재팬"(サムスン電子ジャパン) 이라고 불린다. [[삼성전자/제품 목록|삼성전자의 제품]]을 [[일본]]에 판매하고 수리하며 일본에서 영업한다. 일본 시장에서 삼성전자 제품을 수입하는 회사는 2개로 나뉘어 있다. 삼성전자재팬은 삼성전자의 DX부문에서 수입/영업/마케팅하는 회사이다. MX사업부는 한 때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이라는 독자 브랜드로 알려져 있었다. 삼성전자 재팬은 원래 CE부문(가전, [[텔레비전]])의 상품도 DS부문의 상품과 병행하여 수입하였으나, 현재 CE부문은 전면 철수한 상태이며 CE부문의 사후서비스를 삼성전자 재팬의 서비스센터에서 위탁으로 진행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B2B시장으로 VD사업부의 제품인 스마트 사이니지의 판매를 재개하고 있다. [[삼성리서치]] 요코하마, [[삼성리서치]] 오사카, 삼성 디자인 재팬 등의 여러 연구소도 운영하고 있다. 매년 크리스마스 때 [[도쿄타워]]로 이어지는 롯폰기 타워와 그 주변 케야키자카 거리에서 개최되는 점등축제 [[케야키자카 일루미네이션]]을 후원한다. 이외에도 수 많은 일본 행사에 후원하고 있다. === 일본삼성주식회사와 관계 === 일본삼성주식회사(日本サムスン株式会社)와 삼성전자 재팬은 관련이 있지만 법인 자체가 다르니 주의하자. 본사 위치와 법인번호가 다르다. [[https://info.gbiz.go.jp/hojin/ichiran?hojinBango=9010401052283|일본삼성주식회사의 법인 프로필(경제산업성)]] 삼성전자의 DS부문의 제품을 수입하는 회사는 일본삼성주식회사가 담당하고 있다. 일본삼성주식회사는 반도체계열 제품([[DRAM]], [[SD카드]], [[SSD]])을 수입/유통한다. === 역사 === [youtube(vXLMOGI-Zao)] 1995년도 당시 광고 [youtube(xVQJBIhrOoc)] 1996-7년도 당시 광고[* TV, 세탁기는 당시 부부였던 코야나기 루미코와 오오스미 켄야(2000년 이혼)가 출연했다.] ==== 2000년대 ==== 삼성전자가 일본 시장에 휴대폰 보급을 시작한 것은 2006년부터이다.[* 물론 1998년에 NEC N206을 나가노 올림픽 기념으로 OEM 판매를 한적이 있으나 극히 일부 한정판으로 발매하였다] 출시 당시 보급형, 고급형 피쳐폰을 출시했으나 크게 실패를 겪고 2007년 삼성전자 가전 부문의 일본 시장 철수 후폭풍에 휘말려 큰 타격을 입은 바 있었으나, 모바일 사업은 꾸준히 소규모로나마 지속적으로 사업을 이어왔다. 2006년 첫 출시 단말기는 SGH-V804의 보다폰 재팬 모델인 804SS. 원래는 GSM만 지원하나 WCDMA를 같이 지원하도록 업그레이드 되었다. [[피처폰]]으로 출시할 당시에는 [[소프트뱅크]](구,[[보다폰]]재팬) 독점발매였다. 일본발매 모델은 한국발매모델 처럼 [[펫네임]]이 따로 없이 휴대폰 주요성능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하였으나 일본에서 한창 터치스크린 지원 피쳐폰이 출시하던 시기부터 각 모델 마다 펫네임이 붙여서 마케팅을 하게 된다. 또한, 일본 내수용 삼성 피처폰은 삼성전자의 기기보다는 전형적인 일본제 휴대전화에 더 가까웠다. 당시 한국에서 사용하던 풀터치 스크린피쳐폰의 펫네임인 [[애니콜]] "[[햅틱]]"대신 삼성의 [[윈도우 모바일]]브랜드인 [[옴니아]]를 차용해서 펫네임을 사용하게 되었다. 일본에서 발매하는 피처폰 기종 중에 한국에서도 발매하였던 기종이 있는데 한국에서 고아라폰으로 유명한 [[707SC]]가 있다. ==== 2010년~2014년 ==== 2010년 이후로 삼성전자가 본격적인 스마트폰 제작을 시작한 이후 [[갤럭시 S 시리즈]]와 [[갤럭시 노트 시리즈]]을 일본 시장에서 판매했다. 2010년 말 삼성전자가 [[갤럭시 S]]로 일본의 스마트폰 시장에 처음 진출할 당시, 삼성전자의 일본 시장 제1 파트너인 [[NTT 도코모]]의 제안으로 일본 내 마케팅 전략을 세계 판매 1위의 삼성전자가 제조한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잡았다. 실제로 [[갤럭시 S]]부터 2013년 [[갤럭시 S4]]와 [[갤럭시 노트3]]까지는 SAMSUNG이라는 브랜드 네임을 휴대전화에 각인하여 판매하였고, 스마트폰을 통해 가전 시장에서의 마케팅 실패와 일방적 철수로 크게 악화된 일본 시장에서 타격을 입은 SAMSUNG 브랜드 이미지를 회복하겠다는 전략을 수립하기도 했었다. 2013년 말 가전 사업 부문이 추가 철수했다. 2014년 말 삼성전자의 유일한 일본 내 잔존 메이저 사업 분야를 담당하는 모바일 사업부 브랜드의 명칭을 SAMSUNG에서 Galaxy로 바꾸기 시작했다. 이미 2014년 출시한 갤럭시 S5의 [[KDDI]]향 제품과 [[갤럭시 노트 엣지]]의 NTT 도코모향 제품에서 SAMSUNG 타이틀을 뺐다. ====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 현재 ==== 2020년 결상공고 기준, 매출이 1970억 4200만엔(약 2조 2,000억원)으로 전년대비 2.36 % 올랐으며, 영업이익은 44억 3600만엔 (+41.27 %), 그리고 순이익 29억 1800만엔 (+44.53 %)으로 총 자산만 2.59% 오른 839억 9200만엔(약 9,500억원)을 달성하며 흑자매출을 달리고 있는 기업이다. == 스토어 == === [[갤럭시 하라주쿠]]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갤럭시 하라주쿠)] == 제품[* 아래의 제품들은 삼성 로고가 붙기 시작한 삼성전자 재팬으로 리브랜딩한 모델부터 시작한다.] == === [[삼성 갤럭시]] === ==== [[삼성 갤럭시/스마트폰|스마트폰]] ==== * [[갤럭시 S 시리즈]] * [[갤럭시 S23]] | [[갤럭시 S23 Ultra|Ultra]][*S23+ 갤럭시 S23+는 출시 하지 않았다.] * [[갤럭시 S23 FE]][* 일본 갤럭시 S 시리즈 최초로 FE모델이 출시 되었다.] * [[갤럭시 Z 시리즈]] * [[갤럭시 Z 폴드5]]|[[갤럭시 Z 플립5|플립5]] * [[갤럭시 A 시리즈]] * [[갤럭시 퀀텀4|갤럭시 A 54 5G]] ==== [[갤럭시 탭 시리즈|탭]] ==== * [[갤럭시 탭 S 시리즈]] * [[갤럭시 탭 S9]] | [[갤럭시 탭 S9+]] | [[갤럭시 탭 S9 Ultra]] * [[갤럭시 탭 S9 FE]] | [[갤럭시 탭 S9 FE+]][* 일본 갤럭시 탭 시리즈 최초로 출시된 FE 모델.] * [[갤럭시 탭 A 시리즈]] * [[갤럭시 탭 A9+]] ==== [[갤럭시 워치 시리즈|워치]] ==== * [[갤럭시 워치6]] | [[갤럭시 워치6 클래식]] ==== [[갤럭시 버즈 시리즈|버즈]] ==== * [[갤럭시 버즈 FE]][* 일본 갤럭시 버즈 시리즈 최초로 출시된 FE 모델.] == 여담 == * 과거 일본에서는 삼성전자 해외법인 중 유일하게 삼성닷컴 도메인인 'https://www.samsung.com/(국가)'가 아닌 독자적으로 [[https://galaxymobile.jp]]라는 도메인을 사용했다. 물론 [[https://www.samsung.com/jp]]로도 접속이 가능하나, 접속 시 [[http://galaxymobile.jp]]로 [[리다이렉트]]됐다. 현재는 갤럭시 로고 대신 삼성전자 로고가 반기는 [[https://www.samsung.com/jp]]로 변경됐으며, 과거와 반대로 [[http://galaxymobile.jp]]로 접속 시 [[https://www.samsung.com/jp]]로 [[리다이렉트]]된다. * 일본의 이동통신사중 하나인 [[NTT 도코모#삼성전자 재팬과의 관계]]와의 협력관계가 그야말로 엄청나다. === 관련 문서 === * [[삼성전자]] * [[삼성 갤럭시]] === 외부 링크 === * [[https://catr.jp/settlements/bb327/143671|삼성전자 재팬 주식회사 제12기 결산공고]] - (2020년 03월 26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version=121)][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version=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