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금정구의 버스 회사)] [include(틀:삼성여객(부산) 계열사)] ||<-2> '''삼화PTS 주식회사'''[br]'''Samhwa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c.'''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70년 11월 9일 || ||대표|| 현영희, 이광태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현로]] 121 ([[서동(부산)|서동]]) || ||전화번호|| 본사: 051-523-7211[br]회동 영업소: 051-522-5996 || ||면허대수|| 정규 100대, 예비 7대 || ||자본금|| 4억 8,880만원 (2022.12) || ||매출액|| 290억 2,567만 750원 (2022) || ||영업이익|| -4억 7,064만 6,579원 (2022) || ||순이익|| -1억 4,915만 2,035원 (2022) || ||자산총액|| 219억 4,584만 1,324원 (2022.12) || ||주주|| 삼성여객주식회사: 46.81%[br]삼동버스주식회사: 24.57%[br]기타(5인): 28.62% || ||임직원|| 292명 (2022.12)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부산)|서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버스 회사]]이다. [[연제구]] [[토곡|연산9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삼성여객(부산)|삼성여객]]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1970년 11월 9일 44번(청학동↔서동)의 37대를 삼화운수[* 과거 [[서구(부산)|서구]] [[암남동]]에 있던 시내버스 회사. 1985년에 영신여객 계열이 되면서 영신운수로 사명을 변경했고 1992년에 합병됐다. 현재 영신여객의 본사노선(61, 161)을 이 업체에서 운행했었다.]로부터 인수받아 삼화여객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이듬해 5월 44번의 [[일광여객]] 차량 29대를 모두 인수했다. 삼성여객 계열답게 모든 차량이 현대차량인데, 과거 [[자일대우버스]] 차량을 굴린 적도 있었다. 세신여객을 인수하였을 때 회동동 노선과 차량들을 인수했는데, 이 때 전국적으로도 몇 안되는 BS106 하이파워 인터쿨러를 굴린 회사다. 과거 AM927을 몇대 운행한 적도 있는데, 전부 좌석버스 차량이었다. 2014년에 현 명칭인 삼화PTS로 개명했다. 이렇게 되면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상호 중 '''~여객'''을 사용하지 않는 5개의 업체 중 한 곳이 되었다.[* 다른 4곳은 [[대도운수]], [[산성교통]], [[삼신교통]], [[태영버스]]이며, 그 중에서도 산성교통은 한정면허 업체라 다른 부산 시내버스와 운영 시스템이 다소 차이가 있다.] 부산 시내버스의 유일한 150번대 노선인 [[부산 버스 155|155번]]을 운행중이며 이 노선은 주력/간판 노선이다. == 특징 == 원래 이 회사의 주력노선은 [[부산 버스 89|89번]]이었다. 그러나 1989년에는 148번 신설로 인해 89번과 서동고개~동래시장 구간이 겹치면서 89번의 수요가 악화되자 당시 [[부산 버스 155|155번]] 노선을 서동으로 연장하였고, 이후 155번이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삼화여객의 간판/주력노선이 되었다. 그런데 155번 외의 다른 노선들도 모두가 하나같이 '''도시철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알짜배기 노선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준공영제 전까지만 해도 [[부산 버스 48|구.48번]], 구. 48-1번, 구.79번, 구.79-1번, 구.89-1번, 구.178번 등 [[막장]]노선들이 꽤 많았다. 과거에는 190번에도 참여한 적이 있었다. 155번은 Top5에 들어가는 최상위권이고 42번, 99번, 179번도 155번만큼은 아니지만 최상위권이다. 적자가 나는 노선이 없다. 나더라도 얼마 나지 않는다.] 계열사인 [[삼성여객(부산)|삼성여객]], [[세진여객]]과는 달리 비수익노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삼성여객(부산)|삼성여객]]은 115번과 506번의 승객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운송수입금은 평균 40만원 이상 벌어들이는 노선이며, [[세진여객]]은 [[부산 버스 80|80번]]을 제외하면 40만원 초반대 선이며 [[부산 버스 73|73번]], [[부산 버스 184|184번]], [[부산 버스 188|188번]]의 경우에는 태생적으로 수요가 많이 발생할 수 없는 부산시 정책노선이고 적자가 상당히 심각하다. 사실 80번도 공배하기 때문에 반으로 나누면 그 이하일수도 있다. 그리고 80번은 금정공영차고지 연장이후 수요가 예전만큼 나오지 않는다.] [[부산 버스 155|155번]]과 [[부산 버스 179|179번]]은 구간수요가 굉장하며 특히 '''155번은 이 업체의 간판/주력노선'''으로 부산 노선 전체를 통틀어서 수익률 5위안에 드는 흑자노선이다. [[부산 버스 99|99번]]은 [[회동동]]에서 [[연산교차로]], [[서면교차로]]까지 無굴곡노선이라는 점에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을 꽤나 하고 있는 중이고 179번은 [[서동(부산)|서동]]~[[온천장역]] 구간수요가 넘쳐나고 [[당감동]]과 [[부암동(부산)|부암동]] 등지에서 [[양정동(부산)|양정동]]으로 향하는 수요도 상당하여 전체적으로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부산 버스 42|42번]] 같은 경우도 [[안락동]]과 [[토곡]] 등지에서 수영, [[광안동]], 경성대 방면으로 진출하는 유일한 노선인데다 [[광남로(부산)|광남로]]로 다니는 [[부산 버스 41|유이한 노선]]인데다 수영구청 인근에서 [[광안역]] 이북으로 향하는 유일한 노선이라 전체적으로 수요가 상당하다. 그래서 모든 노선들이 대당 운송수입금 57만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2016년 하반기와 2017년 5월 기준으로는 '''모든 노선들이 대당 운송수입금 60만원을 넘겨버렸다.''' 다만 42번의 경우에는 유일하게 20대 미만 노선이라서 배차간격이 아쉽고 늘 혼잡하다. 그래서 실제로 증차요구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하지만 2019년 12월 1일에 42번의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증차 전에 비해 괜찮아졌고, 수요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2021년 5월 1일 국제여객터미널을 경유하면서 배차간격이 다시 늘어났다.] [[금정구]] 기점 노선들 중에서도 삼화PTS 노선들만 유일하게 60만원 이상의 운송수입금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다만 승객수는 약 1만 2천명으로 자사노선들 중에서는 최저치다.(...)[* 다만 대당 승객수는 750명을 넘긴다. 99번은 약 1만 6천명, 179번은 약 1만 8천명이며, 155번은 약 '''2만 3천명'''이다.] '''사실상 이 회사의 모든 노선이 간판/주력이다.''' 알짜배기 노선들로만 구성된 현재와는 달리, 과거 준공영제 이전에는 비수익 노선들에 한해 대놓고 파행운행을 한 전력이 있다. 그것도 삼성여객 계열사들 중에서 정도가 제일 심했었다. [[부산 버스 48]]의 경우에는 삼화 소속 인가대수가 3대였지만 1대(2720호→2736호→2702호)만 굴렸으며 그마저도 배차간격을 준수하지 않았다. 심지어 48-1번은 아예 유령화시켜버렸다.(...) [[부산 버스 178]]도 마찬가지로 인가대수는 3대였지만 소속차량들 중 구.2798호만 정상적으로 다녔던 반면에 구.2721호는 서동차고지에 계속 방치되었다. 심지어 2721호, 2798호를 제외한 나머지 1대는 존재의 여부 조차도 알 수 없었다. [[부산 버스 155]]의 좌석차량(스텐바디)들 대다수를 서동차고지에 방치시키는가하면, [[부산 버스 79]]와 [[부산 버스 89]]는 임의감차까지 단행하여 2004년도부터는 거의 있으나마나하는 수준이었다. 과거 이 회사의 이름이 삼화여객이었지만 2014년 5월에 삼화PTS로 바뀌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34개 업체 중 '''유일무이하게 사명에 영문 알파벳이 들어가게 되었다'''. 물론 [[태영버스]]의 사례도 있긴 하지만 저쪽은 어쨌든 우리말을 공식 사명으로 쓰는 것이므로 사명에 영어 알파벳이 포함된 업체는 이 업체가 유일하다.[*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의 약자. 직역하면 공영교통서비스가 된다. 다만 신도색 차량에는 삼화PTS가 아니라 '''삼화피티에스'''로 표기된다.]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RB520L 일반버스 차량을 운행한 회사이다. 당시 운행하던 노선은 79번과 세진여객과 공동배차하던 190번이다. 또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2006년식을 마지막까지 굴리기도 했다. 2014년에 서동 본사 사옥이 새로 완공되었는데 상당히 혁신적인 건축 디자인으로 2016년 부산다운 건축상을 수상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11/0200000000AKR20161011033700051.HTML?input=1195m|#]] 실제로 가서 보면 버스회사 건물인지 믿기 어려울 정도이며 본사 부지에 카페도 입점해 있다. 삼화PTS의 서동 본사는 흔히 '''89번 종점'''으로도 불린다.[* 실제로 인근에 있는 공중전화는 아직까지도 전산망에 '''89번 종점 공중전화'''로 등록되어 있다.] 89번은 한때 운송수입금 1위를 찍은 적도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노선이었고 폐선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도 해당 부지를 89번 종점이라고 부르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로 서울 [[신길교통]]의 '''588번 종점''', 대구 [[삼천리버스]]의 '''75번 종점'''과, [[삼진여객]] 화명영업소의 '''32번 종점'''이 있다. 그 외에도 [[세익여객|세익]]&[[일광여객]] 해운대영업소의 '''31번 종점''', [[태화교통]] 하단본사의 '"59번 종점"', 약간 다른 케이스로 [[삼성여객(부산)|삼성여객]] 반여영업소는 '''43번 종점'''으로 불리며, 영업소가 세워진 이후 앞 정류장 이름이 43번 종점이었다. 다만 43번 종점의 경우에는 현재 반석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반대로 회차지인 경우에는 까치고개의 '''87번 종점'''도 있지만 87번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부산 버스 사하14|사하14번]]에서 사용된다.] 경남 거제시의 [[버스 회사]]인 [[삼화여객(거제)]]과는 전혀 다른 버스회사다. 한때 예비차를 제외한 전 노선 정규차량에 돌출형 번호판을 붙이고 운행했는데, 2019년부터 전 노선 정규차량에 붙어있던 돌출형 번호판을 떼고 운행 중이다. 아마도 나중에 대차 예정인 차량이 있어서 그런듯 하다. 부일여객, 삼진여객과 같이 저상차량을 잘 안뽑는 회사다. 2017년에 99번, 179번에 투입한 이후로 계속 일반차량만 뽑고 있다.[* 그래도 삼진여객은 2020년에 저상 신차를 몇대 출고했다.] 그러다가 2021년 2월 초에 ZF사의 [[자동변속기]]가 달린 일반차량을 2대 출고했다.[* 같은 시기에 동원여객, 세진여객, 신한여객, 해동여객도 자동변속기 장착차량을 한 회사당 2대씩 출고했는데 동원여객과 해동여객은 앨리슨이고, 세진여객과 신한여객은 삼화PTS와 같은 ZF이다.] 이후 2023년 1월 저상 의무화로 인해 2023년 2월 말 6년 만에 저상버스를 3대 출고했다.[* 이 차량 3대 중 2대는 개통 이래 단 한번도 저상버스가 없었던 [[부산 버스 155|155번]]에 투입했다.] 대진여객이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를 도입하는 것과 달리 삼성여객과 더불어 [[천연가스버스]]만 계속 도입하고 있다. 이 회사의 모든 노선이 라이프타운, 세웅병원에서 만난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오성여객]]처럼 구도색 차량 중에 전/후면에 회사명을 뗀 차량들이 많이 있었는데[* 나중에는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에도 삼화PTS와 같은 특징을 낳게 된다. 반대로 [[대도운수]],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은 신도색에도 전/후면 회사명 부착.] 2022년 중반기부터 차량 전면에 회사명 스티커를 다시 붙이고 있다. == 차고지 == * 본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현로]] 121 - [[부산 버스 155|155번]] 시종착 * 회동영업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수원지로]]22번길 46 - [[부산 버스 42|42번]], [[부산 버스 99|99번]], [[부산 버스 179|179번]] 시종착 == 면허체계 == * 부산 70 자 '''2701''' ~ '''2799'''호 * 삼화PTS의 주 면허. * 부산 70 자 '''2901''' ~ '''2943'''호 * 구.세신여객 출신 면허. * 부산 70 자 ~~1801호, 1891호, 1896호~~ * [[대진여객]] 출신 면허로, [[부산 버스 73|73번]]을 여러 회사가 돌아가서 운행할 당시 사용했던 면허다. 현재는 모두 말소되었다. * --부산 '''71''' 자 '''21##'''--[* 지금 삼화여객에서는 좌석버스를 운영하고 있지 않지만, 일부 차량은 [[태영버스]]로 매각되어 지금까지 운행되고 있다. 해당 차량은 2107호, 2112호. 2107호는 1005번, 2112호는 58-1번에서 운행중이다. 2103호는 말소되었다.] * 구 번호판 : 부산 '''5'''자 '''31##''', '''50##'''(구 신진여객), '''40##'''(구 금동여객) == 차량운용대수 == * 시내버스 * 42번: 17대 * 99번: 23대 * 155번: 33대 * 179번: 27대 * 예비차: 7대 * 도합: 107대 == 운행 노선 == === 서동 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55|{{{#3399ff 155}}}]]''' || 서동 || 서동고개 - 명장정수사업소 - [[혜화여자고등학교(부산)|혜화여고]].[[충렬고등학교|충렬고]] - 왕자맨션 - 선수촌아파트 - 반여3동 - 동부지청 - 해운대경찰서 - [[벡스코역|동해선벡스코역]] - [[센텀시티역]].[[BEXCO]] - 수영교차로.[[수영역]] - [[경성대학교]] - 부경대용당캠퍼스 || 용당동 || 5~7 || === 회동 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42|{{{#3399ff 42}}}]]''' || 회동동 || 금사공단 - 명장정수사업소 - [[충렬사역]].서원시장 - 동래한전 - 토곡한양아파트 - [[망미주공아파트]] - 수영교차로.[[수영역]] - [[광안리해수욕장]] - [[경성대학교]] - 문현교차로 - [[부산진시장]] - 범일5동주민센터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10~13 || || '''[[부산 버스 99|{{{#3399ff 99}}}]]''' || 회동동 || 금사공단 - 명장정수사업소 - [[충렬사역]].서원시장 - [[연산교차로]] - 부산시청 - [[부전시장]] - [[서면]] - 중앙시장 || [[부산진시장]] || 5~6 || || '''[[부산 버스 179|{{{#3399ff 179}}}]]''' || 회동동 || 금사공단 - 서동고개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교대역(부산)|교대역]] - [[연산교차로]] - 부산시청 - 하마정 - [[부산시민공원]] - 당감시장 || 국제백양아파트 || 5~6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29]] (남산동 ↔ 서동고개 ↔ 연산6동)[* 1995년도에 계열사 [[세진여객]]으로 양도하였다.] * [[부산 버스 29-1]] (남산동 ↔ 거제리 ↔ 안창마을)[* 1995년도에 계열사 [[세진여객]]으로 양도하였다.] * [[부산 버스 48]] (청룡동 ↔ 구만덕 ↔ 세산삼거리)[* [[삼신교통]]과 다르게 노포동터미널이 아닌 청룡동에서 출발하였 [[세진여객]]본사인 남산동에서 주차 하였다.] [* 당시 최장거리 시내버스 노선 이였다.] ※ [[삼신교통]]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48#s-3.2|부산 버스 48-1]] (남산동 ↔ 충렬사 ↔ 북구청) * [[부산 버스 73]] (서동 ↔ 예림마을) [* 2009년 8월 25일 자로 [[삼성여객]]으로 이관했다.] * [[부산 버스 79]] (회동동 ↔ 거제리 ↔ 신암) * [[부산 버스 79-1]] (회동동 ↔ 거제리 ↔ 전포시영아파트) * [[부산 버스 89]] (서동 ↔ 연산토곡 ↔ 청학동) * [[부산 버스 89-1]] (서동 ↔ 진양교차로 ↔ 서부터미널) * [[부산 버스 99-1]] (회동동 ↔ 충렬사 ↔ 양정청소년수련관) ※ [[세진여객]]과 공동배차[* 2011년 6월에 42번 3대 증차로 철수했다.] * [[부산 버스 103-1]] (망미2동 ↔ 대청공원) * [[부산 버스 115]] (반여4동 ↔ 무정리 ↔ 망미2동)[* 2008년 7월 2일에 기점이 연산9동으로 변경되면서 철수했다.] * [[부산 버스 135-1]] (서동 ↔ 반여1동 ↔ 동부터미널) * [[부산 버스 178]] (회동동 ↔ 서동 ↔ 브니엘고)[* 2007년 8월 중에 [[세진여객]]으로 이관되면서 기종점이 맞바뀌었다. 2008년 7월 2일 부로 폐선되었다.] * [[부산 버스 190]] (청학동 ↔ 부산역 ↔ 남부민동) ※ [[세진여객]]과 공동배차[* 2007년 2월 10일에 42번 공동배차로 철수했다.] * [[부산 버스 304]] (서동 ↔ 태종대) ※ [[신한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305(폐선)|부산 버스 305]] (반송 ↔ 청학동) ※ [[대진여객(부산)|대진여객]]과 공동배차[* 1988년도에 대학병원까지 단축되면서 철수했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F|새한/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인터쿨러형은 구.세신여객 출신 차량이었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최초기형으로 세신여객 시절에 뽑은 최후의 대우차량이며 단 2대뿐이었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927 디젤]][* 좌석형만 운행했다.] == 관련 문서 == * [[삼성여객(부산)]]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0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