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GX]][[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카드군/서포트 카드]][[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VM JAPAN의 환마, rd1=VM JAPAN/환마)]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6><#6a4b9a> '''{{{#!html삼환마 관련 틀}}}'''||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삼환마)] [include(틀:유벨 덱 관련 문서)] }}}}}} || ||<:><-6>
'''[[삼환마|{{{#!html 삼환마}}}]]'''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mension Fusion Destruction.png|width=100%]][br] ,,[[차원융합살|{{{#6a4b9a 차원융합살}}}]],,}}}|| || '''{{{#!html한국어판 명칭}}}''' ||<-5> '''삼환마''' || || '''{{{#!html일본어판 명칭}}}''' ||<-5> '''[ruby(三幻魔, ruby=さんげんま)]''' || || '''{{{#!html영어판 명칭}}}''' ||<-5> '''Sacred Beast'''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 {{{-2 ([[환마황제 라비엘]])}}}[br][[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 {{{-2 ([[번개황제 하몬]])}}}[br][[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화염]] {{{-2 ([[신염황제 우리아]])}}} ||<-2><^|1> [[악마족]] {{{-2 ([[환마황제 라비엘]])}}}[br][[번개족]] {{{-2 ([[번개황제 하몬]])}}}[br][[화염족]] {{{-2 ([[신염황제 우리아]])}}} ||<-2><^|1> 효과[br][[특수 소환(카테고리)|특수 소환]][br][[융합 소환|융합]]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카드군. [[번개황제 하몬]], [[신염황제 우리아]], [[환마황제 라비엘]], 그들의 융합체 [[혼돈환마 아미타일]]과 이를 지원하는 카드들에 대해 서술한다. 영미권에서는 삼환마를 통틀어서 '''Sacred Beast'''라고 불린다. 이에 따라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가 Sacred Beasts로 번역되었다. 카드군으로 지정되어 있는 "환마" 융합 몬스터는 '''Phantasm'''이라는 이름을 지정하는데, [[환황룡]] 등 영미권에서 이 이름을 가지고 있는 카드들이 있지만 융합 몬스터만을 지정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 원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신염황제 우리아|[[파일:오프닝우리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환마황제 라비엘|[[파일:오프닝라비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번개황제 하몬|[[파일:오프닝하몬.png|width=100%]]]]}}} || || '''[[신염황제 우리아|{{{#!html 신염황제 우리아}}}]]''' || '''[[환마황제 라비엘|{{{#!html 환마황제 라비엘}}}]]''' || '''[[번개황제 하몬|{{{#!html 번개황제 하몬}}}]]''' || [[신의 카드]]인 [[삼환신]]에 반대되는 '''악마의 카드'''에 해당되는 존재.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이들의 모습은 삼환신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이는 코믹스 오리지널 외전인 R에 등장하는 '''[[삼사신(유희왕)|삼사신]]'''과 유사한 컨셉. 애니에서는 카드의 컬러도 효과 몬스터 컬러가 아니라,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삼환신 전용 컬러를 사용하고 있다. 이름의 유래를 살펴보면 [[현자의 돌-사바티엘]]까지 합쳐서 모두 4대 천사인 [[미카엘]][* 사바티엘이 미카엘의 비밀 이름이다.], [[우리엘]], [[가브리엘]][* 하몬은 가브리엘과 동일시된 에녹서의 천사이다.], [[라파엘]][* 다른 이름이 라비엘이다.]을 가리키고 있다. 옛날부터 현 [[듀얼 아카데미아]] 본교 부지인 섬의 지하에 봉인되어 있었다. [[사메지마(유희왕)|사메지마]] 교장이 말한 섬의 전설에 의하면, 삼환마가 지상에 풀려나는 때, 세상은 마로 뒤덮이고, 혼돈이 모든 것을 뒤덮으며, 사람들 속에 숨어있는 어둠이 해방되어 세상이 파멸한다고 한다. GX 1기 후반부는 이 삼환마의 봉인을 풀려는 [[세븐 스타즈]]와 [[유우키 쥬다이]]가 포함된 듀얼 아카데미아 대표 7명의 '칠정문의 열쇠' 쟁탈전이 되었다. 하지만, 세븐 스타즈가 모두 쓰러졌음에도 듀얼 에너지는 충분히 모여있었고, 세븐 스타즈의 배후인 [[카게마루(유희왕)|카게마루]] 이사장이 나타나 삼환마를 접수한다.[* 참고로 카게마루 등장 직전, 만죠메가 아스카에게 고백하려 벌인 뻘짓 때문에 칠성문의 열쇠는 모두 만죠메 손에 있었다가 빼앗겼는데, 사태의 진실을 알자 자기 책임이 아니었다고 안심한다.(...)] 그리고 쥬다이와 듀얼 중 삼환마가 흡수한 정령의 힘으로 젊은 몸을 되찾기까지 한다. 카게마루는 쥬다이의 '정령을 다스리는 힘'을 손에 넣어 삼환마를 완전히 지배하려 했지만, 쥬다이가 [[다이토쿠지(유희왕)|다이토쿠지]] 선생님이 남긴 [[현자의 돌-사바티엘]]을 사용해 카게마루를 쓰러트렸다. 참고로 1기에서는 삼환마가 듀얼 중에 소환되면 대전자 이외의 다른 정령들의 힘을 흡수해서, 카드에 그려진 몬스터 그림이 사라지는 연출이 있었지만, 3기에서 나왔을 때는 유벨의 지배를 받은 상태였는지 적용되지 않았다. 그 후 3기에 듀얼 아카데미아가 이세계로 날아가면서 [[유벨]](이 빙의된 마르탄)이 '''주먹질 한 방으로 봉인을 풀었다.''' 전작에서 상당히 강력하게 연출된 엑조디아를 컨트롤하던 유벨이 듀얼 좀비를 풀어 에너지를 흡수해야 봉인을 풀 수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체면치레는 했다고 볼 수 있을 듯. 그 후 유벨의 소유가 되어 쥬다이 & 요한과의 듀얼 및 아몬과의 듀얼에서 활약한다. 그리고 유벨이 마지막에 쥬다이와 영혼이 융합되는 결말을 맞이한 이후론 전혀 언급이 되지 않는데, 작중 상황을 추측해 보면 쥬다이가 은밀히 갖고 있거나 아니면 듀얼 아카데미아의 원래 봉인 장소에 그대로 갖다 놓았을 듯. 재미있게도, 결국 GX 애니메이션 내에서 유우키 쥬다이는 삼환마를 온전한 자신의 힘으로 이긴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세븐 스타즈 편에서 카케마루가 썼을 때는 다이토쿠지의 힘으로 만든 카드 '현자의 돌-사바티엘'을 사용했기에 이길 수 있었고, 실제로 3기에서 다시 삼환마랑 싸우게 될 때는 그 힘 없이 이길 수 있을까 걱정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3기에서는 요한 안데르센과 2 대 1 듀얼을 펼쳐서 '''비겼고'''[* 정확히 말하면 몬스터 1장에게 10000 전투 데미지를 주는 [[혼돈환마 아미타일]]과 효과로 공격력을 10000까지 끌어올린 요한의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의 10000 VS 10000 대결로 발생한 듀얼 에너지로 인해 이세계에 있던 듀얼 아카데미아가 원래 세계로 돌아오게 되고 듀얼은 거기서 끝난다.] 마지막으로 삼환마 소유자인 유벨과 싸울 때에는 유벨이 삼환마를 아예 쓰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는 싸우는 일이 없었다.[* 전혀 안 쓴건 아니다. 쥬다이와의 듀얼 때 [[체인 머티리얼]]의 효과로 [[환마황제 라비엘]]을 [[초융합신]]의 융합소재로 쓰려고 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여러 가지 삼환마 전용 서포트 카드가 많아서 삼환마의 사용자들은 대부분 서포트 카드들을 이용해 삼환마를 소환했다. 가령 1장을 발동시키면 같은 이름의 카드를 2장 더 덱에서 발동하는 지속 마법 [[삼환마#s-4.2|트라이앵글 포스]]나 묘지에서 동명 카드 2장을 발동시키는 지속 함정 [[삼환마#s-4.3|델타 배리어]]라든지 필드에서 릴리스하는 것으로 삼환마 3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암흑의 소환신]], 그리고 삼환마를 컨트롤하기만 하면 1턴에 덱에서 2장 드로우할 수 있는 필드 마법 실락원 등 무거운 몬스터들이기 때문에 그만큼 서포트 카드들의 성능도 엄청났다. 이 삼환마의 위용이 어느정도냐면, 쥬다이가 네오스를 획득하기 전에 쥬다이의 에이스로 취급되던 템피스터, 샤이닝 플레어 윙맨, 에릭실러를 한 듀얼에 전부 소환해서 겨우 이길정도였다. 그것도 사바티엘의 효과로 라이프를 세번이나 반감시켜서 융합회수, 융합해제, 미러클 퓨전을 서치해왔고, 마지막에 에릭실러의 공격력을 5배로 뻥튀기하는 사기스러운 효과를 통해 이길 수 있었던거다. 그야말로, 콘택트 융합을 얻기전에 쥬다이의 '융합 히어로덱' 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발휘해서 겨우 이긴것이다. 이후 사바티엘의 마법카드는 소멸한다. 때문에 유벌이 다루는 삼환마와 다시 매치될 때에는 쥬다이도 패배를 각오할 수 밖에 없었고, 요한의 희생으로 듀얼이 도중에 중단되었기 망정이지, 그자리에서 듀얼을 이어갔으면 사바티엘 없이 쥬다이가 유벨을 이기기 어려웠을 것이다. 당장 삼환마를 소환하기 전에도 유벨에게 밀려서 고전하고 있던 것이 쥬다이였기 때문.[* 당장 삼환마를 떠나서 카케마루 이사장보다 유벨의 실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나다. 삼환마 이전에 유벨의 듀얼 실력이 압도적인 것이 문제.]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GX 작중에선 [[신의 카드]]인 [[삼환신]]에 맞먹는 대단한 카드로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소환 조건이 더 까다롭게 하향되고 전원 효과 내성이 없어서 제거되면 타격이 큰지라 삼환신과 마찬가지로 실용성 면에서는 크게 떨어진다. 삼환마가 나온 초기에는 소환 조건이 천차만별이었기에 모아놓고 굴리는 의미가 거의 없었으며 까다로운 소환 조건 때문에 삼환마를 한 번에 굴리는 삼환마 '덱'은 완전히 로망 덱 취급이었다. 대신 각 삼환마는 개별적인 파츠로서 각 덱에서 사용할 수 있어 [[번개황제 하몬]]은 보옥수의 상급 어태커로, [[신염황제 우리아]]의 경우 지속 함정을 최대한 묘지에 쌓아 공격력을 올리는 전용 덱이 있고, [[환마황제 라비엘]]은 따로 소환하는 것 외에 다크 콜링을 사용하는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덱의 악마족 파츠로서 사용되는 정도였다.[* 물론 악마족을 컨셉으로 하는 종족 통일덱에 에이스로 쓰이는일도 있었다.] [[혼돈환마 아미타일]]이 나오며 삼환마를 하나로 묶어 돌리는 의미가 어느 정도 생겼으나 정작 혼돈환마 아미타일은 소환 조건과 성능까지 모든 면에서 삼환마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 로망성이 심했기 때문에 실전성은 거의 없었다. 일단 굳이 혼돈환마 아미타일의 소환을 노리겠다면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와 [[팬텀 오브 카오스]]를 이용하는 전용 덱을 짜면 어느 정도 편하다. [[융합 징병]] 발매 후엔 아미타일의 존재 덕분에 아미타일을 엑스트라 덱에 박아두고 있기만 해도 융합 징병으로 삼환마를 바로 덱에서 서치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애니버서리 팩#s-3|크로니클 팩 1st wave]]에서 암흑의 소환신과 실락원이 원작보다 상향되어 OCG화된 덕분에 셋을 한 덱에 넣어 굴릴 만은 해졌다. 하지만 서로 간의 시너지 효과, 각자 다른 소환 조건으로 인한 패 말림은 해결되지 못했고, 파워 인플레에 밀려 삼환마 덱은 여전히 로망 수준이었다. ==== [[혼돈의 삼환마]] 발매 후 ==== 2019 스트럭처 인기 투표에서 34%의 점유율을 차지한 섀도르 다음으로 높은 33%의 점유율을 보여줘 2등으로 스트럭처를 받는데 성공했다. 상당히 웃긴 이야기지만 환마는 중간 투표 득표순위 10위권에도 못들어가는 랭크아웃 범위였지만 섀도르의 1등을 저지하기 위한 유희왕 플레이어들의 몰표 덕분에 환마는 령수와 충혹마까지 꺾고 2등이라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 2020년에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서 강력하고 유용한 효과를 지닌 서포트 카드들이 대거 등장하여 드디어 삼환마를 전부 넣고 굴리는 환마 덱을 짤만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각 환마를 서포트하는 필살기 카드들과 원작보다 폭풍 상향되어 아미타일의 소환 난이도를 확 내려준 [[차원 융합살]], 삼환마는 물론 삼환마의 카드명이 기재된 소환신이나 실락원 등도 서치가 가능한 암흑의 초래신, 강력한 퍼미션 효과를 지닌 실락의 벽력과 각성의 삼환마까지 수록되어 이제야 실전성이 준수한 덱을 만들 수 있다. '''[[스킬 드레인]]'''과 궁극의 시너지를 발휘하는데, 주요 몬스터인 [[암흑의 소환신]]과 혼돈의 소환신이 모두 릴리스 시 발동되는 효과라서 스킬 드레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효과를 쓸 수 있고, 라비엘과 하몬의 효과 쓸 수가 없지만, 상대도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수 없어, 손해의 정도를 따진다면 삼환마의 공격력 4000은 그대로라 상대가 훨씬 큰 손해를 본다. [[환마황제 라비엘#s-2.1|환마황제 라비엘-천계유린권]]을 곁들이면 라비엘의 타점은 8000까지 상승하여 상대 몬스터들의 효과를 묶어놓고 일방적으로 팰 수 있다. 이 경우 잘하면 [[원턴킬]]도 가능.[* 요즘 같은 메타에서 [[스킬 드레인]]을 치우지 않고 4000의 몬스터를 공격력으로 뚫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여기에 실락원으로 대상 지정 내성/효과 파괴 내성을 얻을 수 있으며 실락의 벽력으로 한 번의 퍼미션도 가능하다. 이처럼 풀 빌드일 경우에는 메타 덱도 뚫기 힘든 견고한 빌드가 된다.] 그런 만큼 [[해피의 깃털]]이나 [[코즈믹 싸이크론]], [[트윈 트위스터]]같은 마함 견제 카드들에게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실락원, 스킬드레인, 각성의 삼환마 등이 날아가면 그냥 비트 덱이 되기 때문에 마함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해문이 속공마법에 짤리면 서치도 못하고 막힐수 있다. 다만 실락원의 매 턴 [[욕망의 항아리]]급 아드 확보 능력이 있어서 최대한 빠르게 실락의 벽력과 [[신의 심판]]을 잡아서 깔아놓아야 한다. 그래서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갑부 고블린]], [[어둠의 유혹]]같은 부스팅 카드들로 덱을 돌리는 것도 방법이다. 마침 하몬,우리아말고는 모두 어둠속성이다. * [[환마황제 라비엘]] 단독으로는 [[번개황제 하몬]]과 공수가 동일한데 라비엘은 실락의 벽력에 대응되지 않는다. 그리고 환마 덱은 주로 [[스킬 드레인]]을 켜두는 덱이라서 본인들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라비엘은 사실상 하몬의 [[하위호환]]이라고 느껴질 정도이다. 그래서 보통 하몬은 반드시 투입되지만, 라비엘은 기호에 따라서 옵션이 되는 경우가 많다.[* 타점승부에 자신이 있다면 [[환마황제 라비엘#s-2.1|천계유린권]]은 1장만 넣는 경우도 많아서 라비엘 자체는 많이 안들어간다. 라비엘을 4장째의 하몬으로 생각하고 쓰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 [[번개황제 하몬]] 삼환마 덱의 에이스 카드이다. 4000 수비력에 공격 유도 효과가 있어 상대방에게 [[액세스코드 토커]] 등 고타점 요원을 꺼내도록 강요하기에 단독으로도 제값을 하며, 실락의 벽력의 퍼미션에 대응되는 유일한 몬스터라서 얘를 공격표시로 필드에 끌어오는게 주활동이 된다. 다만 [[환마황제 라비엘#s-2.1|천계유린권]]에 대응되지 않아서 요즘 환경에서 본인의 4000만으로 전투에서 얼마나 버틸지는 모른다. 그래도 제일 많이 쓰이는 카드가 하몬임에는 변함이 없다. * [[신염황제 우리아]] 혼자서만 타점이 불안정하고 [[스킬 드레인]]을 키면 공격력이 0이 돼 버려서 [[차원융합살]]을 쓸게 아니라면 혼자서만 빠진다. 우리아는 오히려 우리아 전용 덱을 굴리는게 더 낫다. 환마덱에서 우리아를 투입하는 의의는 자신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메타 지속 함정들을 치우면서 소환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아미타일의 소재가 되는 것이다. 하이퍼브레이즈를 병용하면 전투에서도 나름 활약하지만, 라비엘에 [[환마황제 라비엘#s-2.1|천계유린권]]을 던져서 8000으로 만드는게 효율이 훨씬 좋다. 그래도 삼환마인데 혼자 빠지면 폼이 안난다던가... 아미타일 소환을 못한다는 점 때문에 1장은 투입하는 사람들이 많다. 삼환마가 환경권 덱도 아니니까 말이다. 지원 카드들 덕분에 1턴에 환마를 2장까지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암흑의 소환신]]의 공격 불가 디메리트를 생각하면 선공 첫 턴에 전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패 : 암흑의 초래신 또는 칠정의 해문 + 혼돈의 소환신, 암흑의 소환신 중 2장 (혼돈의 소환신& 암흑의 소환의 조합의 경우 칠정의 해문이 필수) * 암흑의 초래신 / 칠정의 해문의 효과로 패에 없는 카드를 서치한다. (암흑의 초래신은 일반 소환한다.) * 암흑의 초래신 효과로 혼돈의 소환신을 추가 일반 소환 후, 암흑의 초래신으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소환한다. * 칠정의 해문의 (2)의 효과로 암흑의 소환신을 패 코스트로 발동하고, 그대로 묘지로 보내진 암흑의 소환신을 소생한다. * 암흑의 소환신의 효과로 삼환마 A를 소환한 후, 묘지에서 제외하여 삼환마 B를 서치한다. * 혼돈의 소환신을 릴리스하고 삼환마 B를 패에서 특수 소환, 묘지에서 제외하고 실락원을 패에 넣는다. * 실락원을 발동하여 효과로 2장 드로우하고 환마들에게 내성을 준다. 여기에 각성의 삼환마가 있다면 LP 회복/상대 한정 [[스킬 드레인]]까지 가능하고, 실락의 벽력까지 있다면 어지간한 덱은 뚫기 힘든 제법 강한 필드가 완성된다.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발매 이후로는 암흑의 초래신 3장과 칠정의 해문 1장만 용병으로 불려나가는 구축이 생겼다.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환마의 소환신이 나와서 암흑의 초래신 또는 칠정의 해문 1장으로 원하는 삼환마 1장 + 차원융합살을 패에 추가하는 원핸드 콤보가 가능해졌다. * 패 : 암흑의 초래신 또는 칠정의 해문 * 암흑의 초래신 / 칠정의 해문의 효과로 패에 없는 반대쪽을 서치한다. (암흑의 초래신은 일반 소환한다.) * 다른 암흑의 초래신 / 칠정의 해문의 효과로 환마의 소환신을 서치한다. (암흑의 초래신은 일반 소환한다.) * 암흑의 초래신으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소환한다. * 칠정의 해문의 (2)의 효과로 환마의 소환신을 패 코스트로 발동하고, 그대로 묘지로 보내진 환마의 소환신을 소생한다. * 환마의 소환신을 릴리스하고 효과로 원하는 삼환마를 서치하고 특수 소환한다. * 묘지의 환마의 소환신을 제외해서 차원융합살을 가져온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솔로모드를 깨는데 적합한 덱이다. 솔로모드의 AI덱은 패트랩이 거의 없고 덱 파워가 약하나, 항복의 선택지가 없기에 LP를 다 깍거나 특수 승리로 이겨야 한다. 요즘의 덱들은 전투력 보다는 퍼미션, 전개력 위주다 보니 AI를 상대로 이기기는 쉬워도 시간이 다소 걸린다. 환마 덱은 공격력 4000짜리가 쉽게 나오며 전개도 매우 간결하다. 천계유린권, 아미타일을 이용한 킬각도 자주 나와 한판에 걸리는 시간도 짧은 편이다. === 장점 === * '''높은 타점''' 라비엘과 하몬의 4000이라는 타점은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우리아도 상황에 따라 변동 폭이 심하지만, 높은 타점을 보여주는 상황이 좀 나온다. 라비엘은 천계유린권으로 8000~16000까지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고, 융합체인 아미타일도 10000이라는 압도적인 타점을 보여준다. * '''실락원을 통한 내성과 어드밴티지''' 쉽게 서치할 수 있는 실락원으로 강한 타점의 환마들에게 내성을 부여할 수 있고, 매 턴 2장 드로우라는 엄청난 어드밴티지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 '''강력한 메타 지속 함정들과의 궁합''' [[스킬 드레인]], [[센서 만별]] 등의 강력한 지속 함정 카드들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그래서 병용하기 쉽고, 전용 서포트로 각성의 삼환마도 존재한다. * '''낮은 엑스트라 덱 의존도''' 삼환마를 직접 소환해서 비트하는 형식이기에, 엑스트라덱은 잘 쓰지 않는다. 기껏해야 전개할 때 알미라지, 융합체인 아미타일 시리즈 정도이다. 그렇기에 남는 칸에는 링크/엑시즈 몬스터들을 다양하게 넣거나, 항아리 카드들을 병용할 수 있다. 당연히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견제하는 카드들에게도 강한 편이다. === 단점 === * '''패트랩에 매우 취약함''' 삼환마는 기본적으로 암흑의 초래신, 칠정의 해문으로 서치와 전개를 많이 의존하고 있다. 그렇기에 여기에 [[하루 우라라]], [[무한포영]]등을 맞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좀 나온다. 대부분의 삼환마 서포트 카드에 '한 턴에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라고 표기되어 있고, 삼환마 서포트 카드는 서로가 서로에게 맞물려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 것을 전제로 두고 있다. 그래서 귀중한 서치 효과가 무효화 되면 힘들어진다. 지명자 카드들이나 카운터 함정으로 대응하면 좋지만 매번 그러긴 쉽지 않기에, 견제 카드들과 [[패트랩]]으로 시간을 버는 수 밖에 없는 슬픈 상황이 나온다. 그래서 패트랩을 다용하는 덱을 상대로는 아무런 전개도 시작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심한 패말림''' 아무래도 일반 소환이 불가능한 최상급 특수소환 몬스터들을 운용하다보니 패에서 놀게되는 경우가 많다. 위의 단점과 더불어 삼환마덱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함정 몬스터와 지속 마법을 사용하는 [[황금향(유희왕)|엘드리치]]와도 섞어 쓰기도 한다. 마침 엘드리치의 황금경의 레벨이 10이라 칠정의 해문과 각성의 삼환마의 샐비지 조건에도 들어간다. 엘드리치는 대량의 지속 함정 카드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아랑 궁합도 좋다. 물론 이 경우엔 그냥 엘드리치를 짜는 게 더 좋다는 난감한 점이 있다. * '''마법/함정 카드 파괴에 취약함''' 삼환마들은 기본적으로 상대를 견제하는 효과는 가지고 있지 않고, 내성도 없다. 주로 실락원, 실락의 벽력, 각성의 삼환마, [[스킬 드레인]], [[센서 만별]] 등으로 상대를 견제하는데, 상대가 마법/함정 카드 파괴를 많이 사용한다면 게임이 어려워진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0 === ==== [[신염황제 우리아]] ==== ==== [[번개황제 하몬]] ==== ==== [[환마황제 라비엘]] ==== ==== [[환마황제 라비엘-천계유린권]] ==== == 융합 몬스터 == || '''{{{#!html한국판 명칭}}}''' || '''환마''' || || '''{{{#!html일어판 명칭}}}''' || '''[ruby(幻魔, ruby=げんま)]''' || || '''{{{#!html영어판 명칭}}}''' || '''Phantasm''' || 원래는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되는 정식 카드군은 아니었으나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서 [[차원 융합살]]이 OCG화되면서 실제 카드군으로 묶이게 되었다. 융합 몬스터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환마황제 라비엘]], 환마의 순교자, 각성의 삼환마는 해당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한국판 한정으론 [[소환수(유희왕)|소'''환마'''술]]같이 낑겨버리는 카드가 발생한다. === 레벨 10 === ==== [[환마 제왕 트릴로지그]] ==== === 레벨 12 === ==== [[혼돈환마 아미타일]] ==== ==== [[혼돈환마 아미타일-허무환영라쇼몽]] ==== == 서포트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혼돈의 소환신 ==== [[파일:混沌の召喚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혼돈의 소환신, 일어판 명칭=混沌(こんとん)召喚神(しょうかんしん), 영어판 명칭=Chaos Summoning Beast,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1장을 패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실락원" 1장을 패에 넣는다.)] [[암흑의 소환신]]과는 달리 패에서만 환마 소환이 가능한 대신, 자신의 몬스터가 공격 선언이 불가능한 디메리트가 없고, 레벨이 낮아 릴리스 없이도 일반 소환하거나 [[원 포 원]]으로 쉽게 소환할 수 있다. 또한 묘지에서 제외해 실락원을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곧바로 소환된 환마에게 내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패 보충도 할 수 있는 좋은 카드. 삼환마의 카드명이 기재된 몬스터이기에 위의 암흑의 초래신이나 후술할 칠정의 해문의 효과로 쉽게 서치할 수 있으며 공/수 0인 악마족이기에 초래신의 효과로 추가 일반 소환하거나 칠정의 해문의 효과로 묘지에서 살려와 재활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묘지의 암흑의 소환신이 있는 상태에서 초래신을 일반 소환. 효과로 이 카드를 서치 및 추가 일반 소환. 묘지의 소환신을 제외하고 환마를 서치해 이 카드의 1의 효과로 특수 소환. 2의 효과로 실락원을 서치하고 발동해 덱에서 2장 드로우할 수 있다. 암흑의 소환신이나 초래신과 마찬가지로 삼환마의 모습을 합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쪽은 융합체인 아미타일의 미니 버전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 SD38-JP004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04 || [[노멀]] || 미국 ||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SD38-JP004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암흑의 초래신 ==== [[파일:暗黒の招来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암흑의 초래신, 일어판 명칭=暗黒(あんこく)招来神(しょうらいしん), 영어판 명칭=Dark Beckoning Beast,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1장\, 또는 그 어느 카드명이 쓰여진\, "암흑의 초래신" 이외의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공격력과 수비력이 0인 악마족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혼돈의 삼환마]]에서 추가된 신규 지원 카드. 아미타일, 암흑의 소환신, 혼돈의 소환신과 마찬가지로 삼환마를 합쳐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인간형인 모습과 달리 이쪽은 와이번의 형태를 하고 있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시, 덱에서 삼환마 1장 또는 삼환마의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 1장을 서치해 주는 효과. 덕분에 드디어 [[암흑의 소환신]]이나 실락원 등을 쉽게 서치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차원융합살]] 등 같은 스트럭처 덱에 추가된 다른 서포트 카드들도 쉽게 서치 가능. ②의 효과는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일반 소환에 더해 1번 더 공격력 / 수비력이 0인 악마족 몬스터를 일반 소환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 암흑의 소환신과의 연계를 노린 효과로 1번 효과로 서치해온 암흑의 소환신을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곧바로 어드밴스 소환해 효과를 쓸 수 있다. 또한, 혼돈의 소환신, [[팬텀 오브 카오스]] 등 공/수가 0인 악마족 몬스터를 추가로 일반 소환해 효과를 쓰거나 링크 소재 등으로 쓰는 것도 가능하다. 강력한 서치 및 전개 효과로 인해 삼환마 덱은 물론이고 각종 덱에서 링크 소환 보조 카드로 쓰인다. 칠정의 해문과 이 카드 중 한 장을 패에 잡으면 그 효과로 다른 한쪽을 서치, 서치해 온 카드로 혼돈의 소환신을 소환하는 것으로 몬스터 2장이 모이며, 혼돈의 소환신을 [[링크리보]] 등의 링크 소재로 쓰고 칠정의 해문으로 다시 소생시키는 것으로 카드 1장으로 링크 3 몬스터까지 소환할 수 있다. 정말 유능한 몬스터지만, 단점은 기본 공격력의 부실함.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나 [[무한포영]]에 당하면 난감해진다. 효과를 사용한 후에는 알미라지 등으로 바꿔먹는 게 편하다. 2레벨이라 뜬금없이 [[스프라이트]]가 칠정의 해문과 함께 용병으로 써먹는다.2레벨 용병은 이것저것 있긴 하지만,칠정의 해문의 소생효과가 일소권 몬스터를 자르면 전개가 멈추는 스프라이트의 약점을 커버쳐주기 때문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card_search.action?ope=1&sess=3&page=1&stype=1&atkfr=0&atkto=0&othercon=2&rp=10|일반 소환 할 수 있는 공격력/수비력 0의 악마족 몬스터 목록(공식 DB)]]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 SD38-JP003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03 || [[노멀]] || 미국 ||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SD38-JP003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카오스 코어]] ==== === 레벨 5 === ==== [[암흑의 소환신]] ==== === 레벨 7 === ==== 환마의 소환신 ==== [[파일:幻魔の召喚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환마의 소환신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幻魔(げんま)召喚神(しょうかんしん), 영어판 명칭=Phantasmal Summoning Bea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7,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1장을 자신의 덱 / 묘지에서 패에 넣는다. 그 후\, 공격력과 수비력의 수치가 같은 화염족 / 번개족 / 악마족 레벨 10 몬스터 1장을 패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직접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차원 융합살" 1장을 패에 넣는다.)]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등장한 소환신. 환마의 순교자 토큰과 각 삼환마의 특징적인 모습을 적절히 섞은 외형을 하고 있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삼환마를 서치하거나 샐비지한 뒤, 공격력과 수비력의 수치가 같은 화염족 / 번개족 / 악마족 레벨 10 몬스터 1장을 패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다. 이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는 이 턴에 직접 공격할 수 없다. 서치 및 샐비지하는 카드는 삼환마로 명시되어 있지만 소환하는 카드는 "공격력과 수비력이 같은 화염족 / 번개족 / 악마족 레벨 10 몬스터"라는 복잡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데, 같은 팩에서 지원을 받은 [[유벨(유희왕/카드군)|유벨 테마]](유벨과 스피릿 오브 유벨)와의 시너지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소환 조건을 무시하기 때문에 조건만 맞으면 의식 몬스터도 소환이 가능하며, 이 카드가 발매된 2023년 시점에서 이 조건을 만족하는 의식 몬스터로는 종언의 패왕 데미스와 데블리철의 창조주 크리얼터가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차원 융합살]]을 서치하는 효과다. 암흑의 초래신에 이어 삼환마 덱에서 차원 융합살을 서치할 수 있는 두 번째 수단이다. 일반 소환해야 하고 다른 전개 카드가 우선되는 암흑의 초래신과 달리, 묘지에서 제외라는 더 간편한 조건 덕에 차원 융합살을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다. ①의 효과를 발동한 뒤 연달아 발동한다면 환마 중 하나가 필드에 있는 관계로 차원 융합살의 체인 불가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도 좋은 점이다. 암흑의 소환신의 상위호환이나 다름없는 삼환마 소환 효과에 더해 차원 융합살 서치 효과까지 갖췄지만, 자체 특수 소환 수단이 없는 최상급 몬스터라 삼환마 덱에서는 칠정의 해문의 도움이 없으면 사용하기 난감하다. 또한 상술했듯 유벨 몬스터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긴 하나, 해당 효과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삼환마를 서치하거나 회수해야 하는 관계로 덱에 삼환마 중 어느 하나가 있어야 한다. 이 두 테마의 궁합이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이 카드의 활용성 또한 불투명한 상태다. GX 원작의 [[암흑의 소환신]]은 소생 제한 룰을 무시하고 묘지에서 직접 삼환마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였는데, 이 카드로 원작의 상황을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원작에서처럼 삼환마 3장을 한꺼번에 끌어오지는 못한다)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 목록 *'''삼환마 전원 & [[환마황제 라비엘-천계유린권]]''' *[[유벨]] & [[스피릿 오브 유벨]] *[[다크니스 네오스피어]] *[[The supremacy SUN]]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DD(유희왕/카드군)#DD 마도현자 갈릴레이|DD 마도현자 갈릴레이]] *[[데블리철#데블리철의 창조주-크리얼터|데블리철의 창조주-크리얼터]] *[[사신 드레드 루트]][* 특소 불가 몬스터지만, 재정상 소환 조건 무시하고 특수 소환은 가능하다.] *[[인페르노이드#인페르노이드 네헤모스|인페르노이드 네헤모스]] *[[종언의 왕 데미스#종언의 패왕 데미스|종언의 패왕 데미스]] 여담으로 ①의 효과에 소환 조건 무시가 달려있어 꽤 많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삼환마나 유벨 외에도 애니메이션의 최종보스몹인 다크니스 네오스피어나 코믹스의 최종보스몹인 The supremacy SUN 같은 유희왕 GX의 보스 몬스터들을 대부분 소환할 수 있는 점도 재밌는 점.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14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서포트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 [[환마의 순교자]] ==== ==== [[차원 융합살]] ==== 원작에서는 아미타일 전용 융합 카드로,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서 OCG화되었다. === 지속 마법 === ==== [[실락의 벽력]] ==== 하몬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 서포트 카드. ==== 칠정의 해문 ==== [[파일:七精の解門.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칠정의 해문, 일어판 명칭=七精(しちせい)解門(かいもん), 영어판 명칭=Opening of the Spirit Gate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1장\, 또는 그 어느 카드명이 쓰여진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공격력과 수비력이 0인 악마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환마 덱에서 중요한 서치 역할을 하는 키 카드. 발동 시 효과의 처리로서 삼환마 중 1장, 혹은 삼환마의 카드명이 기재된 몬스터를 서치하는 카드. 암흑의 초래신과는 달리 마/함은 서치 불가능하지만 일소권을 쓰지 않으며 초래신 자체도 이걸로 서치가 가능하기에 크게 문제는 되지 않는다. 다만 이 효과가 강제 효과이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에 맞기 쉬우며 덱에 서치할 카드가 남아있지 않으면 아예 발동할 수 없는 것에 주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패 1장을 코스트로 묘지의 공/수 0 인 악마족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암흑의 소환신]], 혼돈의 소환신, [[팬텀 오브 카오스]] 등 환마와 함께 쓰기 좋은 몬스터들을 부활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다. 당연히 [[혼돈환마 아미타일]] 역시 공/수 0의 악마족이기에 이 카드로 되살려 올 수 있지만 소생 제한을 만족시켜야 하기에 한번 정규 소환 후 묘지로 간 후에야 가능해서 그다지 실용성은 없다. 전용 융합인 [[차원 융합살]]이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것이기에 더더욱 어려운 편. 당연하게도 묘지에 공/수 0인 악마족이 없으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패를 먼저 묘지에 보내고 발동하기 때문에, 공수 0의 악마족을 코스트로 쓴다면 버리자마자 꺼내와서 코스트 없는 특소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할 때 묘지의 지속 마법 1장을 샐비지하는 효과. 이 카드 자신도 지속 마법인 만큼 하몬의 소환 코스트를 마련하는 용으로 쓸수도 있으며 실락의 벽력 등 강력한 지속 마법을 재사용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발동 외에는 딱히 명칭 제약이 없기에 2장이 나와있다면 2,3번 효과를 2번씩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티브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본편의 [[듀얼 아카데미아]] 본교에서 삼환마가 봉인된 장소인 칠정문의 기둥. 모티브처럼, 환마 전개에 있어 포석 역할을 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 SD38-JP020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20 || [[노멀]] || 미국 ||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SD38-JP020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필드 마법 === ==== [[실락원(유희왕)|실락원]] ==== == 서포트 함정 카드 == === 지속 함정 === ==== [[하이퍼브레이즈]] ==== 우리아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 서포트 카드. ==== 각성의 삼환마 ==== [[파일:覚醒の三幻魔.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각성의 삼환마, 일어판 명칭=覚醒(かくせい)三幻魔(さんげんま), 영어판 명칭=Awakening of the Sacred Beast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의 종류의 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2=●1종류 이상: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때마다\, 자신은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만 LP를 회복한다., 효과3=●2종류 이상: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4=●3종류: 상대 묘지로 보내지는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효과5=②: 자신 턴에 1번\, 자신 필드에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필드위에 존재하는 삼환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카드. 1종류 이상 시는 상대의 소환에 대응하여 그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 LP를 회복하는 [[하나 미즈키]] 같은 효과. 턴 제약이 없기에 여러 번 특수 소환하는 요즘 환경상 LP를 상당히 회복할 수 있다. 2종류 이상 시의 효과가 상당히 강력한데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한다. 필드 한정이기에 엘드리치 등은 무효로 할 수 없지만 대체로 강력한 효과. 3종류가 모였을 경우에 발동하는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같은 효과 역시 매우 강력. [[스킬 드레인]]과는 조금 판정이 달라서, 필드를 벗어나서 발동하는 효과도 필드에서 발동하였을 경우엔 무효화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레벨 10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턴에 묘지의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 효과. 묘지의 지속 함정을 재활용하여 하이퍼브레이즈는 물론 [[대대적 체포작전]] 같은 범용 지속 함정도 샐비지할 수 있다. 우리아의 소환 보조도 가능하지만 우리아가 이미 존재할 때 이 효과를 쓰면 우리아의 공격력이 떨어지는 점은 주의. 강력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지만 단독으론 아무것도 못 한다는 점, 상대를 제압하는 효과는 2장 이상이어야만 적용되는 등 적용 난이도도 있고, 그냥 [[스킬 드레인]]을 키는게 편해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일단 암흑의 초래신으로 초동에 서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서 1장 정도 병용하는 사람도 있다. 엉뚱하게도 엘드리치 덱이 [[황금경 엘드리치]]가 레벨이 10이라서 ②의 효과를 매턴마다 발동이 가능하다. 일러스트는 삼환마의 첫 데뷔전인 vs 카게마루전에서 삼환마들이 듀얼 몬스터의 정기를 흡수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정기를 흡수하는 능력이, 자기의 라이프를 올리는 능력과 상대 몬스터를 무효화하고, 또 제외하는 효과로 구현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혼돈의 삼환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 SD38-JP035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혼돈의 삼환마|Structure Deck: Sacred Beasts]] || SDSA-EN035 || [[노멀]] || 미국 || || || [[혼돈의 삼환마|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 SD38-JP035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유벨]]에게 빙의된 [[암흑사도 요한]]이 사용한 카드들. 각각 [[번개황제 하몬]]과 [[신염황제 우리아]]의 소환 조건을 완화시키기 위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하몬과 우리아의 소환 난이도를 완화시켜 주긴 하지만 아무래도 직접적으로 삼환마 관련 카드는 아니다 보니 [[차원융합살]], [[카오스 코어]]와는 달리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에서도 OCG화되진 않았다. === [[환마의 문]] === 카게마루나 마르탄, 요한, 유벨이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삼환마를 부활시키려는 [[세븐 스타즈]]의 [[카뮬라]]가 사용했으며, 이름에 환마가 들어간다. === 트라이앵글 포스 === [[파일:TriangleForce-JP-Anime-GX.png]] || 한글판 명칭 ||'''트라이앵글 포스'''|| || 일어판 명칭 ||'''トライアングル・フォース'''|| || 영어판 명칭 ||'''Triangle Force'''|| ||<-2> 지속 마법 || ||<-2>이 카드를 발동한 후, 덱에서 "트라이앵글 포스" 2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아몬 가람]]과의 듀얼에서 [[번개황제 하몬]]의 소환용으로 사용되었다. 성능은 단순히 필드의 지속 마법 세 장을 놓는 효과. 덱 압축용으로 사용은 가능하겠지만, 필드의 마함 존을 세 칸이나 차지한다는 게 부담이다. 일러스트는 [[마그넷 워리어|마그넷 워리어 α, β, γ]]. === 델타 배리어 === [[파일:DeltaBarrier-OW.png]] || 한글판 명칭 ||'''델타 배리어'''|| || 일어판 명칭 ||'''デルタ・バリア'''|| || 영어판 명칭 ||'''Delta Barrier'''|| ||<-2> 지속 함정 || ||<-2>이 카드가 발동했을 때, 묘지에 있는 같은 이름의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의 카드가 필드 위에 3장 있을 때, 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 이 카드 이외의 "델타 배리어"의 효과를 발동할 수는 없다.|| [[아몬 가람]]과의 듀얼에서 [[패 좌절]]의 효과로 2장을 묻은 후 나머지 1장을 세트.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에게 하몬이 공격받자 발동하여 하몬을 지켜내고 다음 턴 [[신염황제 우리아]]의 소환용으로 사용되었다. 제대로 사용하라면 묘지에 우선 두 장을 묻어야 하고, 발동을 하더라도, 세 장 모두 마함 존에 있어야 한다. 이런 번거로운 조건이 있음에도 실질적인 효과는 한 번의 전투 데미지를 무효화하는 것. 이보다 [[공격 무력화|상위]]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호환인]] [[방어막(유희왕)|카드]]들이 너무 많다. [[매직 플랜터]]로 잡아먹는 용도로 사용할수 있기는 하나 굳이 이런 방법을 쓰지 않아도 지속 함정이 많아서 필요없다.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몬스터는 [[스피릿 오브 파라오]].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피리 레이스의 지도(유희왕)|피리 레이스의 지도]] LP 코스트는 크지만, 암흑의 초래신을 바로 서치할 수 있는 중요한 초동 카드. 초동이 중요한 삼환마 덱에선 필수 카드다. 상황에 따라선 소환신, 우리아를 바로 서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 소환에 성공하지 않으면 바로 효과를 쓸 수 없다는 점에 주의. * [[원 포 원]] 패에서 환마들을 꺼내 줄 혼돈의 소환신을 뽑아올 카드. [[암흑의 소환신]]을 버리고 혼돈의 소환신을 일반 소환하면 정말 이상적이지만, 어드밴티지 소모가 심하므로 취향이 갈린다. *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 무슨 덱이든 거의 들어가는 카드지만 패 트랩에 매우 취약한 삼환마 덱에서는 필수 카드다. 또한 말살의 지명자는 [[스킬 드레인]]이나 [[센서 만별]]등의 자신에게도 영향이 가는 지속 함정 카드들의 효과를 1턴 무효화하여, 암흑의 초래신 등의 효과를 써먹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 [[센서 만별]] 소환신/초래신과 라비엘은 악마족, 하몬은 번개족, 우리아는 화염족으로 종족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센서 만별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소환신/초래신을 뽑은 상태면 라비엘을 못 뽑거나, 반대로 라비엘이 있으면 소환신과 초래신은 소환할 수 없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테마 덱 대부분이 종족과 속성을 통일해서 내기 때문에 이게 깔리면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지속 함정이라 우리아의 소환에 도움을 주는 것도 장점이다. * [[스킬 드레인]] 말이 필요 없는 파워 카드. 내성은 필드 마법인 실락원이 보완하고, 기본 타점이 4000인 환마에게 효과 무효화는 큰 문제가 아니다. 공격력 0/0이 되는 우리아의 경우 난감하지만, 소환 과정에서 스킬 드레인을 먹고 나오는 것으로 해결할 수는 있다. 단, 각환마와 역할이 겹치는 부분도 있고 미리 켜뒀다가 환마가 철거당하면 공격력 0짜리 초래신이 먹통이 될 가능성도 있기에 사용하지 않는 구성도 있다. *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링크리보]] [[무한포영]]을 맞았을 때 0/0의 약골 몬스터로 남는 소환신과 초래신을 바꿔 먹을 수 있는 링크 몬스터들. 알미라지의 경우에는 링크 소재로 0/0의 악마족을 묘지로 보내는 역할을 하여 칠정의 해문의 효과를 발동하기 편하게 해주고 실락원이 없을 때 파괴로부터 환마를 지키는 역할도 한다. * [[펜테스태그]] 라비엘의 향상된 비트 능력과 호궁합이다. 상대가 수비 위주로 나올 시 유용한 카드. 천계유린권과 병행하면 상대 수비 몬스터가 많은 상황, 또는 전투 내성이 있는 몬스터로 방어할 경우에도 상대에게 많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소환 조건 역시 간편하기에 충분히 채용할 만한 카드. * [[카이저 콜로세움]], [[서몬 리미터]] 환마 덱은 떡대들을 하나씩 꺼내는 덱이라 전개와는 영 거리가 멀다. 반대로 말하면 카이저 콜로세움/서몬 리미터를 세우기에는 최적의 카드라는 것. 이걸 깔아두면 전개 덱들이 답답해 죽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황금향(유희왕)|황금향]] 마법/함정 카드 위주로 굴러가는 데다 [[황금경 엘드리치]]의 레벨이 10이라 칠정의 해문 등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둘을 섞은 덱도 존재한다. 환마덱에서 가장 강력한 구축 중 하나이지만 엄청난 시너지보다는 엘드의 깡파워로 업혀 가는 느낌이고, 무엇보다 엘드리치 입장에서는 더 좋은 구축이 많다보니 선호하지 않는 유저도 많다. *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삼환마는 특성상 알미라지나 환마 융합 몬스터를 제외하면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가 낮으므로 궁합이 좋다. 단점은 발동 턴 실락원의 드로우를 봉인한다는 점. *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 [[초노급포탑열차 저거너트 리베]] 배틀 페이즈가 종료 후 상대 LP가 2000 이하로 남았을 때의 끝내기 몬스터. 레벨 10 몬스터가 많은 삼환마의 특성상 소환이 용이하다. 저거너트의 경우는 구스타프 위에 겹쳐 소환할 수 있으며, 간혹 상대가 초고타점의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 여의치 않으면 돌파 내지 전체 공격으로 피니시 각을 볼 때 사용 가능하다. * [[인스턴트 퓨전]],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패 트랩에 매우 약한 삼환마 덱에서 패 트랩을 막을수 있는 밀레니엄 아이즈와 궁합이 좋다. 인스턴트 퓨전은 일반 소환권도 사용하지 않아서 전개시에 일소를 무조건 하는 삼환마 덱과는 잘어울린다. 단, 피리 레이스의 지도와 같이 패에 잡혔을 경우에는 피리 레이스의 지도부터 먼저 사용하는 것을 권장. * [[드래그마]]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낮고 함정을 주력으로 삼는 메타비트 덱이라는 점에서 궁합이 좋다. 특히 초래신에 패 트랩을 허용했을 때, 알미라지를 내고 에클레시아를 내면 다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 [[금지령(유희왕)|금지령]] 비록 지정된 카드 뿐이지만 환마에게 매우 취약한 패 트랩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피의 깃털]]을 선언해 환마에게 매우 중요한 실락원 및 지속 마법, 함정들 또한 지킬 수 있다. 평범하게 상대가 무슨 덱을 쓰는지 파악해 중심이 되는 카드를 막는데도 쓰인다. 일반적인 덱에서 쓰는 것과 달리 지속 마법이라 [[번개황제 하몬|하몬]]의 제물로도 사용 할수 있으며, 파괴되도 '칠정의 해문'으로 다시 패로 되돌리 수 있어 환마덱과 시너지가 매우 잘 맞으며 이러한 이점을 가진 카드가 무제한에 턴제 제한이 없는건 매우 휼륭하다. * [[신의 심판]] 필드, 지속 마법 함정 의존도가 높은 덱들의 영원한 친구. 마함이 쓸려나가면 상당히 아프기 때문에 메인 내지 사이드에 충분히 채용할 가치가 있다. * [[천옥의 왕]] 함정을 많이 투입하는 이 덱에선 세트 카드를 지키는 효과도 좋고, 특수 소환 후 덱에서 칠정의 해문 등을 세트하여 다음 턴에 전개를 노릴 수 있다. 타점도 괜찮고 레벨도 10이라 유사시에는 [[차원융합살]]로 트릴로지그의 융합 소재로 써먹을 수 있다. == 기타 == 일단 설정상 지위는 높은 카드이다 보니 [[NDS]]용 유희왕 게임 시리즈에서는 이 카드들이나 혼돈환마 아미타일을 소환하면 전용 등장 이펙트와 함께 전용 BGM이 깔리는 등 대우가 좋은 편이다.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는 원작대로 카게마루가 사용하며 시간이 흘러 태그 포스 6에서는 야스다 우리아(安田宇里亜)라는 캐릭터가 삼환마를 전부 사용한다. 근데 로리 흠좀무. 원래는 태그 포스 4~5에서도 등장했지만 이때는 우리아만 단독으로 사용하다가 6에서부터 삼환마를 전부 사용. 엑스트라 덱에는 혼돈환마 아미타일까지 있으며 [[팬텀 오브 카오스]]와 각종 지속 마법, 함정들로 삼환마 소환을 노리는 덱이다. OCG에서의 취급은 좋지 않았지만 애니메이션의 활약상이나 멋진 비주얼, 삼환신의 대척점이라는 멋드러진 설정들 덕분에 큰 인기를 끄는 카드들로 2019년에 이루어진 스트럭처 덱 테마 투표에서는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최종적으로 2위를 차지했는데, 1위인 [[섀도르]]와의 차이는 불과 1%. 덕분인지 1위를 하지 못했음에도 전용 스트럭처 덱이 나왔다. 그뿐만 아니라 판매량도 섀도르보다 높은 상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환마, version=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