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시성(섬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섬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섬서성)|{{{#000,#ddd 산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商洛, ruby=Shāngluò)][ruby(市, ruby=Shì)]}}}'''[br]상뤄시 | Shangluo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商洛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상뤄시 상저우구 민주루1호[br]陕西省商洛市商州区民主路1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19,587.3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6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026,800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03명/km² || ||<-2> '''{{{#ffff00 서기}}}''' || 자오징(赵璟) || ||<-2> '''{{{#ffff00 시장}}}''' || 왕칭펑(王青峰)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99억 3,100만 ^^(2015)^^ || || '''{{{#ffff00 1인당}}}''' || $4,218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개나리]] || || '''{{{#ffff00 시목}}}''' || [[호두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陕H'''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商'''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1'''1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14''' || ||<-2> '''{{{#ffff00 우편번호}}}''' || '''726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N-10''' ||}}}}}}}}} || ||<-3> [[http://www.shangluo.gov.cn/index.jsp|홈페이지]] || || [[파일:중국 상뤄.jpg|width=100%]] || || 도교 성지이자 주요 관광지인 탑운산관(塔云山观).[br]근데 여기는 사실 [[안캉시]]에서 더 가깝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섬서성]] 동부의 [[지급시]]. [[시안시]]에서 동남쪽 70km 떨어진 협곡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24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60만이 거주한다. [[관중]] 분지에서 [[난양]]과 형주 방면으로 나가기 위한 진출로 상에 입지하며, 시가지는 [[한수이]] 강의 최대 지류인 단쟝강 협곡에 위치한다. 지명은 동쪽 단펑현 방면에 있는 상산(商山)에서 유래되었다. 유구한 역사를 지녔고, 한대에 상락이라 불린 후로 비슷한 한자([[雒]]과 [[洛]])를 두고 3차례 지명이 변하였다. 현재는 약초 재배와 목재 생산 및 임업이 발달하였다. 중국의 '[[소록도]]'로 불리는 [[한센병]] 환자 시설인 상뤄 인애원이 위치한다. == 역사 == 과거 [[진나라]]의 개혁을 이끈 [[상앙]]의 영지였고, 현재에도 상앙 광장과 동상이 있다. [[전한]] 시기 [[사례교위]] 휘하 홍농군에 속했으며, 상락현(上雒縣)이 설치되었다. [[신나라]]에 대한 반란 시에 [[경시제]]의 군대가 이곳을 거쳐 장안으로 진격하였다. [[후한]] 대에 들어 경조윤으로 이관되었고, [[삼국시대]]에는 한중군에 속하였다. [[위(삼국시대)|위나라]]에 들어 [[조비|위문제]]는 상락의 락을 雒에서 洛으로 개칭하였고, [[서진]]의 [[사마염|진무제]]는 그를 중심으로 한 상락군을 설치하였다. [[북위]] 시기 인 489년에 낙주(洛州)의 중심이 되었다가, [[북주]] 시기인 578년 낙주는 상주(商州)로 개칭되었다. 이 명칭은 현 상저우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송대에도 영흥군로 상주에 편성되었다. [[명나라]] [[태창제]] 시기, 태창제의 휘인 주상락(朱常洛)의 피휘를 위해 다시 洛에서 雒로 개칭되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인 1964년 봉건 왕조의 흔적이라며 다시 洛으로 돌아갔다. 1988년 현급시를 거쳐 2001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 교통 == 현재 공항은 없지만 가칭 시안 상뤄 공항(西安商洛机场)이 건설중에 있으며, 국내선 전용으로 개항 예정이다. 철도의 경우, 다음과 같은 주요역과 노선이 존재한다. * 상뤄역(商洛站): 닝시철도(宁西铁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