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원구의 고등학교]][[분류:1937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민정학원]] [[분류:국내 유네스코 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노원구의 고등학교)] ||<-2><#000> '''{{{#white {{{+1 상명고등학교}}}[br]祥明高等學校[br]Sangmyung High School}}}''' || ||<-2> [[파일:상명고등학교 교표.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상명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37년]] || || '''설립자''' || [[배상명]][* [[상명대학교]] 설립자] || || '''재단''' || 학교법인 [[민정학원]][* 1979년 상명학원에서 분리된 학교법인 학원, [[상명학원]]([[상명대학교]])와 같은 역사 공유] || || '''교훈''' || 마음을 열고, 깊이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자 || || '''성별''' || 남녀공학[* 2002학년도까지 여고였다가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전 학년 남녀 합반]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운영 형태''' || [[사립]] || || '''상징''' || 교목: 은행나무[br]교화: 무궁화[br]교조: 큰유리새 ||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 553 상명고등학교 || || '''홈페이지''' || [[https://sangmyung.s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 일과표 == ~07:50 등교[* 2013년 1학기까지는 07시 40분 등교였다.] 08:10~09:00 1교시 09:10~10:00 2교시 10:10~11:00 3교시 11:10~12:00 4교시 12:00~13:10 점심 13:10~14:00 5교시 14:10~15:00 6교시 15:10~16:00[* 상명중학교와의 점심시간 분리 때문에 고등학교가 중학교보다 오히려 5분 일찍 끝난다(!!!)] 7교시 16:00~16:20 청소&종례 16:20~17:40 자기주도학습 17:40~18:30 석식 18:30~19:40 야자 1교시 19:50~20:50 야자 2교시 21:00~22:00 야자 3교시 == 학교 상징 == [[파일:상명고등학교 상징.jpg]] === 교가 === [[파일:상명고등학교 교가.gif]] == 연혁 == * 1937년 12월 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14번지에서 계당 배상명 선생이 상명여자고등기예학원 설립 * 1938년 10월 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311번지 10으로 이전 * 1946년 1월 31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1가 50번지로 교사 이전 * 1951년 9월 1일: 6.25동란으로 피난 중 부산시 동대신동 구덕산록 가교사에서 개교하고 동년 동월 동일 학제 변경에 의하여 상명여자중학교와 상명여자고등학교로 분리 전환 인가 * 1953년 9월 1일: 정부 환도에 따라 부산 본교가 서울로 복귀하여 개교 * 1969년 3월 11일: 상명여자중・고등학교 배현종 교장 취임 * 1979년 12월 29일: 학교 법인 민정학원 배상명 이사장 취임 * 1986년 12월 12일: 학교 법인 민정학원 김병옥 이사장 취임 * 1994년 3월 2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1가 50번지에서 노원구 중계동 515로 교사 이전[* 2005년부터 구 용산교사 부지에는 '용산 GS 파크자이'가 들어섰다.] * 1994년 10월 6일: ‘94 한국 건축 문화 대상 수상 * 2001년 12월 17일: 상명여자고등학교 배용숙 교장 취임 * 2003년 3월 2일: 남녀공학으로 전환, 상명고등학교로 변경 * 2003년 4월 7일: 학교 법인 민정학원 차봉준 이사장 취임 * 2006년 7월 12일: 학교 법인 민정학원 김영선 이사장 취임 * 2012년 2월 14일: 상하이 민립고등학교와 자매 결연 * 2014년 8월 1일: 상명고등학교 이병두[*화학 선생님이었음] 교장 취임 * 2016년 2월 4일: 제1회 ~ 제65회 졸업 (연 47,317명) * 2017년 3월 1일: 상명고등학교 우석관[*영어 선생님이었음] 교장 취임 * 2019년 3월 1일: 상명고등학교 김은숙[*지구과학 선생님이었음] 교장 취임 * 2020년 9월 1일: 상명고등학교 정연진[* 프랑스어(불어) 선생님이셨으며,-- 프랑스에서 햇빛을 보며, 우아하게 커피를 드실 듯한 --우아한 느낌이 있다.] 교장 취임 * 2021년 3월 1일: 상명고등학교 오광석[* 수학 선생님이었고, 별명이 오빛똘(이름에 빛 광, 돌 석자를 써서)이다.] 교장 취임 == 출신 인물 == * [[김민희(1972)|김민희]] * [[나선화]] : 전 [[문화재청장]] * [[박영아(정치인)]] * [[박주아(배우)]] * [[선우용여]] * [[염정아]] * [[유선목]] * [[이정선(정치인)]] * [[이주연(배우)|이주연]] * [[이선희]] * [[조갑경]] * [[지수원]] * [[차예련]] * [[최윤희]] * [[최은주]]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상명고등학교 정류장: [[서울 버스 1132|1132]], [[서울 버스 1139|1139]], [[서울 버스 1140|1140]], [[서울 버스 1143|1143]], [[서울 버스 1154|1154]], [[서울 버스 1167]] * 상명초등학교/중계3단지목련아파트 정류장: [[서울 버스 100|100]], [[서울 버스 1135|1135]] * 롯데마트 정류장: [[서울 버스 1131|1131]], [[서울 버스 1224|1224]] === 지하철 === *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계역]] [[[[파일:]]]]== 여담 == * 상명고등학교와 상명중학교는 같은 교가[* 교가가 이중창이다. 예비소집일 때 제일 중요하게 가르치는데 실제로 부르는 사람은 몇 안 됨.]를 사용한다. 그리고 교가 말고도 야자실, 고등학교 본관과 중학교 본관을 빼면 거의 모든시설은 [[상명중학교|중학교]]와 같이쓴다. * 학교 홈페이지가 신설됐다.(2017년 8월 기준) 재회원가입을 해야함. * 야자가 굉장히 프리했다가 2017년 갑자기 야자 시스템을 전자화[* RFID카드를 사용한다. 가끔 급하게 지갑에서 교통카드를 꺼내 찍는데, 미등록 카드라고 뜬다.] 하면서 규칙이 여러 번 바뀌어 매 달 할당 시간의 70%를 채우지 못하면 다음 달 야자를 못하게 하는 그런 규칙이 생겼다. 그러다 2018년부터 매 주 할당 시간 이상을 채우지 못하면 다음주부터 한 달간 야자를 못한다. 최근 시행된 리로스쿨 앱을 통해 개인별 자습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추가적으로 1,2,3학년 신청자는 지하 자습실에서 자습을 하며, 3학년 신청자 중 일부는 무궁화홀의 자습실을 이용한다. 학기중 평일에는 오후 11시 30분까지 지하 자습실을 개방하고, 무궁화홀 자습실은 오후 10시까지 개방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지하 자습실만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한다. * 노원구 내 일반계 고등학교 중 드문 남녀공학 남녀합반이다. 노원구 내 일반계 고등학교가 '''19개'''에 달하는 데도 불구하고 이 중 전 학년 남녀합반을 시행하는 일반고는 [[노원고등학교]], [[월계고등학교]], [[염광고등학교]], [[한국삼육고등학교]]와 본교 5개에 불과하다. * 주변에 놀거리가 '''정말''' 없다. 학교에서 10분거리에 은행사거리와 중계역이 있지만 놀고 집에 갈 예정이 아닌 시간때우기용으로는 꽤나 먼거리다. * 2018년 초 상명중학교와 상명고등학교 건물 사이의 공간을 예쁘게 꾸며 "그린공원"을 구축했다. 점심시간이나 방과후 시간에는 이곳 벤치나 바닥에서 편히 앉아 수다를 떠는 학생들이 많다. 근데 지금은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다리를 박살내고 공원 이름을 사색의 공원으로 바꿔버렸다. * 학교 건물은 중학교 건물 1동을 포함하여 총 7동이 있다. 고등학교 본관, 중학교 본관, 호당도서관, 체육관, 식당, 신관(3학년건물)[* 신관이라고는 하지만 본관보다 겨우 몇 년 늦게 지어졌을 뿐이고, 내부 상태가 썩 좋지는 못하다. 건물 곳곳에 균열까지 가있다.], 무궁화홀[* 사실 무궁화홀은 고등학교 본관과 합쳐져 있지만 몇년 전 신축하여 본관에 이어붙인 것이고 출입하는 문도 아예 다르다]이 있다. 중학교 본관, 고등학교 본관, 그린공원, 도서관, 체육관이 모두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 ~~비 오는 날 체육관에서 교실까지 비 한 방울 맞지 않고 갈 수 있다~~ 도서관 지하에는 자습실, 체육관 지하에는 레슬링장, 야구부실, 샤워실 등이 있다. 또한 중고등학교 본관 지하에는 매점, 컴퓨터실, 탁구실, 시청각실이 있다. 이 모든 곳이 밖에 한 번 나가지 않고 교실에서 직행할 수 있는 곳이다. 고등학교 학생들은 고등학교 본관으로 돌아가기 귀찮아서 중학교 본관으로 들어가 매점으로 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 학교 행사에 대해서 소개하자면, 10월 일단 가장 큰 축제인 "상상제"는 근처 학교 중 유일하게 비공개 축제이다. 2년마다 한 번씩 가요제까지 같은 날 개최한다. 2016년까지는 7월에 개최했다. 원래 외부찬조가 올 수 없었으나, 2018년에는 외부찬조를 받았다. 5월에 열리는 체육대회는 특이하게도 1,2,3학년 모두가 참가한다. ~~3학년은 마지막 교내행사인 만큼 죽기살기로 참여한다~~ 학년별로, 성별로 종목이 다르며 축구, 농구, 탁구, 발야구, 피구가 있다. 공통종목으로는 계주, 50m 달리기, 줄다리기가 있다. 우수한 반에게는 상과 포상을 준다. 상명고의 특이한 행사로는, 연말에 1학년 수화문화제와 2학년 드라마 페스티벌이 있다. 반대항으로 개최된다. 1학년은 각 반별로 2곡 정도의 수화와 안무 등을 창작하여 발표하고, 2학년은 각 반별로 15분 내의 연극을 펼친다. 1학년과 2학년은 매주 정규수업으로 수화와 연극 수업을 받는다. * 과거에는 무려 [[고양시]]에서 기차로 통학하는 경우가 있었다. * 상명여고 시절인 1999년, [[도전 골든벨]]에 출연하였고, 변보영 학생이 6대 골든벨을 울렸다. * 인근 학교 중 유일한 [[남녀공학]]인데다 수행평가 비중도 높아 내신 성적을 노리고 지원하는 여학생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에 반해 남학생들의 선호도는 상당히 낮은 편. *상명고는 경비실 옆에 개를 키운다. 이름은 달래. *달래는 2023년 기준 12살. 2016년경 달래는 같이 지내던 진돗개 나리와 살고있었다. 달래는 학교에서 데려온 수컷 강아지와 눈이 맞아 강아지들을 낳았다. 행복도 잠시 달래의 딸 토끼를 제외한 강아지들이 분양을 가버리고 달래와 토끼는 2021년도까지 행복하게 잘 살고 있었다. 2021년, 개념 말아먹은 학생이 토끼에게 초코과자를 줘버려 토끼가 사망한다. 사고 이후 먹이를 주지 말라는 경고판이 있다.. *달래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개설되었다.[[https://instagram.com/mungmungiii_jo_a?igshid=Yms4bHVhbGRsaG9i]] 여담으로 달래의 인스타그램 계정주는 학생이다. == [[상명대학교]]와의 관계 == * 상명대학교와 역사를 공유하지만, 재단은 엄연히 분리되어 있다. [[상명학원]](상명대학교와 그 부속학교)와 민정학원(상명고등학교와 상명중학교)로 나뉜다. 참고로, 지금의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도 민정학원 소유의 학교였다. 당시 학교명은 '''상명공업고등학교'''. * '상명여고'는 원래 노원의 상명고등학교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2003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여자고등학교'를 가리키게 되었다. * '상명초등학교~상명중학교~상명고등학교~상명대학교' 루트를 타면, 종신 상명인(.....)이 될 수 있다 [[카더라]]. ~~덤으로, '상명대학교 부속 행복어린이집~부속 유치원~부속 초등학교~부속 여자 중학교~부속 여자 고등학교~상명대학교~상명대학교 대학원~상명대학교 평생교육원' 루트를 타면 요람부터 무덤까지 상명인으로 살 수 있다!~~ * [[상명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설립자 [[배상명]]의 동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