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常]][[勝]] == '항상 이김'이라는 의미의 단어. 한국에서는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일본에서는 종종 수식어로 쓰이곤 한다. 예를 들어 [[슬램덩크]]에서 [[해남대부속고]]의 응원단이 걸어놓은 플랜카드의 문구가 '상승(常勝)'이었으며, [[은하영웅전설]]의 주인공 중 하나인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의 별명 또한 '상승(常勝)의 천재'이다. == [[上]][[昇]] == 올라감. 반의어는 하락({{{+1 [[下]][[落]]}}}). == Raising == 영어 [[통사론]]의 '상승' 현상을 다룬다. 이에 관여하는 동사들은 raising verb(상승 동사)라 한다. 목적어-주어 상승은 It 가주어 구문, 수동태 구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1) It is hard to break __a diamond__. 2) A diamond is hard to break ___. 3) 심층구조: [be cast __the die__] 4) 표층구조: The die is cast ___. 주어-목적어 상승 5) I see __my zealots__ suffer on the battelfield. VP suffer on the battlefield의 주어는 my zealots이지만, 앞 서술어 see의 목적어로 쓰였기에 주격을 갖지 못하여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확대투사원리)에 부합하지 못한다. 이에 Exceptional Case Mark(예외적 격표지)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주어-목적어 상승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주어 my zealots가 see의 목적어로 상승했다는 것이다. 주어-주어 상승: be prohibit의 주어 drugs가 be told의 주어 자리로 상승. 6) It is told that drugs are prohibited in Korea. 7) Drugs are told to be prohibited in Korea. == [[대한민국 육군]] [[제61보병사단]] 상승부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61보병사단)]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