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A(전반기))]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기B(후반기))] ||<-2>
[[파일:external/culture.joins.com/team_09.jpg|width=130|width=300]] || ||<-2> {{{#ffffff '''상우고등학교 야구부'''}}}[br]{{{#fff '''(Sangwoo High School)'''}}} || || {{{#fff '''창단'''}}} || [[2013년]] [[3월 8일]] || || {{{#fff '''소속 리그'''}}} || 경기권 || || {{{#fff '''감독'''}}} || [[문동환]] || || {{{#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0회 || || {{{#fff '''홈페이지'''}}} || [[http://www.sangwoo.hs.kr/main.php|상우고등학교]] || ||<-2> [include(틀:지도, 장소=상우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ff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 || -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 -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목차] [clearfix] == 연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우고.jpg|width=100%]]}}} || [[2013년]] 고등학교 야구부 창단 붐에 힘입어 [[경기도]] [[의정부시]] [[상우고등학교]]를 연고로 창단했다. 그러나 2013 시즌 [[고교야구 주말리그]] 일정이 [[2012년]] [[11월]]에 모두 확정되어 '''창단을 하고도 주말리그 전반기에 뛰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우여곡절 끝에 후반기부터 출전할 수 있었지만 6전 전패를 기록했고 이어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1회전에서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를 상대로 1-11 대패,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1회전에서 [[중앙고등학교 야구부|중앙고]]를 상대로 2-9 패배라는 초라한 전국대회 성적만을 남기며 첫 사령탑이었던 [[쌍방울 레이더스]] [[1루수]] 출신 유영원 감독은 사퇴한다.[* 현재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고 있다. 2021년 황금사자기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와의 경기에서 심판판정에 불만을 품고 경기 도중 선수들을 그라운드에서 전원 철수시켜 논란을 만들었다. 에이스 좌완투수 이준혁은 강판 이후 덕아웃에서 심판에게 항의하다 퇴장당했다.] 이듬해 [[실업야구|한국실업야구]] [[철도청 야구단]]에서 활약한 [[김인기]] 감독[* [[김인기]] 감독이 지도자 생활을 하며 그의 손을 거친 대표적인 선수로는 [[김경기]], [[금민철]], [[김하성]] 등이 있다.]이 부임해 봉황대기 1회전에서 전통의 강호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동성고]]를 만나 4-3으로 승리하며 전국대회 첫 승을 신고[* 32강에서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를 만나 1-11 패배.], 주말리그 전반기 1승 4패, 후반기 4승 3패로 청룡기 진출권마저 따내며[* 1회전 부전승으로 32강 진출하여 32강에서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고]]를 만나 1-11 패배함.] 전년도보다 확실히 나은 성적을 보여줬다. [[2014년]] 보여준 저력을 발판 삼아 2015 시즌에는 전국대회 4강을 목표로 했으나, 봉황대기 1회전에서 [[안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안산공고]]를 만나 4점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6회말에 무너져 5-10으로 패배하며 대회 마감, 전반기 리그 2승 4패로 황금사자기 출전권을 놓쳤으며 이후로도 어려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새로 창단한 다른 경기도의 팀들과는 달리 스카우트의 열세로 전학생 위주의 팀 구성이 이어지고 있는데다가 2020년에 신입생이 1명도 없는 등 향후 전망이 매우 어둡다.(그나마 2020년 6월에 [[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에서 1명이 전학했다.) 그래도 협회 게시판에 선수 모집 공고를 계속 올리는 것을 보면 팀 운영을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은 듯. 여담으로 상우고등학교 야구부 출신 선수 중에는 중학교 2학년 당시 학교폭력 가해자도 있었다. 그러나 큰 피해가 없었고, 가해자는 야구부 내 학교폭력 피해자라서 학교폭력을 해봤자 다른 야구부들에 의해서 정의구현을 당했기 때문에 상부에 알려지지 않고 결국 묻혔다. 결국 가해자는 드래프트에서 물을 먹고 대학을 갔는데, 대학에서 결국 야구선수를 포기하며 정의구현이 실현되었다. 한승민 선수는 2017년 해에 키 170cm라는 작은 신체조건에도 불구하고 전국 홈런2등을 기록했다. == 사건 사고 == === 선수단 상습 폭행 및 은폐 사건 === || [youtube(lKpX0zyjt_A)] || [[2016년]] [[4월]]부터 시작된 상우고 야구코치의 선수단 상습 폭행 사건.[[https://www.nocutnews.co.kr/news/4842358|#]] 키가 195cm쯤 되어 약칭 '[[터미네이터]]'라고도 불리던 거구의 코치 A는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선수단을 장악한다는 명분]]'''으로 상습 [[폭언]], [[폭행]], [[금품갈취]] 등을 잇따라 행하였다.[* 코치 본인이 말하는 체구조건은 192cm,100kg라고 한다.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시절 동기생 에이스 투수 [[김수경(야구)|김수경]]의 뒤를 받치는 투수였으며 [[현대 유니콘스]]의 지명을 받았으나 [[홍익대학교 야구부|홍익대]]로 진학했고 졸업 후 입단했으나 1년만에 방출당하고 현재는 장타전문 골프선수로 활동중이다. 동기생 유격수 김지완은 [[건국대학교 야구부|건국대]]로 진학해 투수로 포지션 변경에 성공했고 [[SK 와이번스]]의 1차지명을 받았으나 두각을 나타내지 못해 방출당했다.] 허나, 학생들은 이를 누설해 [[대학입시]]에 영향이 갈까 그저 참기를 반복했고, 단기간 내에 3명이 전학을 가는 등 좋지 않은 징조들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래도 일부 선수들과 코치들이 용기를 내어 이를 학교에 알렸지만 학교는 [[묵인]]할 뿐 어떠한 대처도 보이지 않았다. 결국, 일이 커지자 [[교육청]]이 나서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도 학교 측은 몰랐다고 발뺌을 하였고 일명 '제 식구 감싸기'와 같은 행동들을 보여주며 감독이 대표로 [[사퇴]]를 하게 되었다. == 출신 선수 == ||졸업연도 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이승주(1997)|이승주]] || 외야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세계사이버대-원광대-[[kt wiz|KT]](2020) || || [[이재민(야구선수)|이재민]]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9라운드]] ||호원대-[[한화 이글스|한화]](2022~2023) || || [[신정환(야구선수)|신정환]] || 투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4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2~) ||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 [[분류:의정부시]] [[분류:2013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