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영국 함선)]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샌다운급 소해함.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다운급은 [[영국 해군]]의 소해함이다. == 제원 == ||<-3> {{{+1 {{{#white '''샌다운급 소해함'''}}}}}}[br]'''{{{#white ''Sandown''-class minehunter}}}''' || ||<-2> '''이전급''' ||톤급 || ||<-2> '''배수량''' ||600톤 || ||<-2> '''전장''' ||52.5m || ||<-2> '''전폭''' ||10.9m || ||<-2> '''흘수''' ||2.3m || ||<-2> '''승조원''' ||34 ~ 40명 || ||<-2> '''최고 속력''' ||13노트 (약 24km/h) || ||<|3> '''동력''' ||<|2> '''기관''' ||1,523SHP급 팍스만 발렌트라 6RP200E [[디젤 엔진]] || ||100kW급 전기 모터 || || '''추진''' ||보이스 슈나이더 프로펠러 || ||<-2> '''레이더''' ||1007형 I밴드 레이더 || ||<-2> '''소나''' ||2093형 || ||||<|3> '''무장''' ||DS30M Mk.2 30mm 기관포 × 1문 || ||[[M134 미니건]] × 3 || ||[[다목적 기관총]] × 2 || == 기타 == 2021년 6월, [[45형 구축함]] D36 디펜더가 [[오데사]]를 방문할 때 영국에서 2척의 샌다운급을 [[우크라이나 해군]]에 판매하기로 했다. 체르카시(Черкаси, Cherkasi)급[* 2014년 [[돈바스 전쟁]] 시기 크림 반도 남쪽 해상에서 우크라이나 해군 소속 '''"U311 체르카시"''' [[나티아급 소해함]]이 러시아 해군한테 뺐길 운명에 처해지자[* 다른 함정들도 마찬가지로 러시아 해군한테 뺐기게 된다. 이런 식으로 하는 이유는 골칫거리를 제거할 겸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함이다.(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에서 조지아 해군에게 한 방식과 비슷함) 우크라이나 해군에 있어서 적국한테 강제로 자국 해군을 해체시키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엄청난 굴욕이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 해군에게 제대로 고전을 면치 못할 정도 필사적으로 저항하였지만 결국 전황이 불리해져 항복하고나서 [[노획|그 소해함은 러시아 해군 소속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매스컴으로 통해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그냥 내주는 다른 함정들 비해 필사적으로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덕에 체르카시함 승무원들은 국민 영웅이 되었고 U311 체르카시함은 우크라에 있어서 저항의 상징이며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즉 체르카시함을 부활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로 명명되었으며 아직 러시아군의 공격에 대비해 공여를 하고 있지 않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에스토니아 함선)]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소해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영국군/군함]][[분류:우크라이나군/군함]][[분류:198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