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
[[파일:external/8ed19c87f5119fa95b5e0dd2f8bdfb4ce57cc9141fa31d1359bbaa196d6f69d3.jpg|width=100%]]|| ||[[파일:external/www.jeffhead.com/sanantonio-19.jpg|width=100%]]|| || {{{#white '''San Antonio-class amphibious transport dock'''}}} || [목차] == 개요 == [[미 해군]]이 2006년부터 운용을 시작해 2020년 현재 11척을 보유 중이다. 원래 12척이 계획되었으나 11척으로 1척이 취소되었다가 미국의 전략 변화로 2020년 기준 2척이 추가 건조되어 13척이 진수되었다. 또한 Flight II로 개량된 LPD-30 Harrisburg 및 LPD-31 Pittsburgh의 2척이 건조 중이다. 앞뒤로 통하는 비행갑판이 없는, 상륙용주정등의 수송 및 운용능력을 강화한 [[LPD]](Landing Platform Dock) 형태의 [[상륙함]]이다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같은 LHD(Landing Helicopter Dock),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과 같은 LHA(Landing Helicopter Assault) 등의 [[강습상륙함]]와 비교된다. 평갑판이 아니므로 STOL 항공기를 운용하지는 않지만, 뒷갑판은 상당히 넓다. UH-60, CH-46, MV-22 4대를 동시에 계류하고 순차 이륙시킬 수 있다. 갑판을 반으로 나누어 2대분인 뒷부분을 이착륙용으로 사용하면서 앞부분은 헬리콥터 몇 대를 로터를 접어 밀어두고 계류장으로 쓰는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MV-22 오스프리는 4대를 계류하되, 2대는 날개를 완전히 펼치고 2대는 날개를 접는 식이다. == 제원[* Flight I 기준] == ||
<-3> {{{#fff {{{+1 '''샌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br]''San Antonio-class amphibious transport dock''}}} || ||||<|3> '''이전급''' ||[[오스틴급 수송상륙함|오스틴급]] ||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 ||[[위드비 아일랜드급 상륙선거함]] || ||<-2> '''다음급''' ||미정 || ||<-2> '''계획''' ||26척[* Flight I 13척 + Flight II 13척] || ||<-2> '''만재배수량''' ||25,300톤 || ||<-2> '''전장''' ||208m || ||<-2> '''전폭''' ||32m || ||<-2> '''흘수''' ||만재 시 7m || ||<-2> '''출력''' ||41,600SHP || ||<-2> '''최고 속력''' ||22노트 (약 41km/h) || ||<|2> '''동력''' || '''기관''' ||콜트-피엘스틱 [[디젤 엔진]] 4기 || || '''추진''' ||2축 [[프로펠러]] || ||<|2> '''탑승''' || '''승조원''' ||[[장교]] 28명[br][[수병]] 333명 || || '''상륙부대원''' ||장교 66명[br][[병사]] 633명 || ||<|2> '''레이더''' || '''대공''' ||LPD 17 to 28 AN/SPS-48G[* 향후 개수 후 통합마스트를 철거하고 SPY-1보다 성능이 더 좋은 AN/SPY-6v2가 탑재될 예정이다.] 장착. LPD 29 이후 AN/SPY-6v2 장착 || || '''대함''' ||AN/SPQ-9B || || '''전자전''' || '''전투체계''' ||AN/SLQ-32 || ||<|4> '''무장''' || '''대공''' ||8연장 [[ESSM]] 전용 [[Mk.41 VLS]] 2기 → 취소 || || '''함포''' ||[[Mk.46 Mod.2 부시마스터-II 함포|부시마스터 II 기관포]] 2문 || || '''CIWS''' ||[[RIM-116 RAM]] 2기 || || '''기타''' ||2연장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기[* 일부 자매함에만 탑재됐다.] || ||||<|3> '''탑재 장비[br](택 1)''' ||[[공기부양정]] 2대 || ||소형 [[상륙정]] 1대 || ||[[상륙장갑차]] 14대 || ||||<|2> '''탑재 항공기[br](택 1)''' ||[[MH-60 시호크|MH-60S]] ?기 || ||[[V-22|MV-22 오스프리]] 6기[* 동시 이착륙은 최대 2기, 비행갑판에 최대 4기 배치 가능하다. 유사시 1기 추가 탑재가 가능한 격납고가 있다.] || == 설계방식의 특징 == 샌안토니오급은 이전의 트렌턴급, 오스틴급, 클리블랜드급 수송상륙함 및 앵커리지급 도크상륙함,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찰스턴급 수송함을 대체하는 대형 수송상륙함으로, 이전의 미 해군 함정들에 비해 많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국제단위계|미터법]]으로 설계된 최초의 미 해군 주요 함정으로, 기계류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미국식 단위가 많이 적용되어 있지만 함체의 설계가 미터법을 기준으로 하여 밀리미터 단위까지의 정확성을 기했다는 것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제작사인 [[노스롭 그루먼]]에서는 샌안토니오급에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여 [[레이더 반사 면적|RCS]] 값을 크게 줄였고, 그래서 상부구조물의 모양도 특징적인 다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각종 [[레이더]], [[안테나]], 센서 등을 [[마스트]]에 통합하였다. 자체방어무장도 단거리 대공미사일인 [[RAM]] 21연장 발사기 2기는 물론 중거리 대공미사일인 ESSM 8연장 발사기 2기도 갖추고 있으며, [[팰렁스]] [[CIWS]], 부쉬마스터2 30mm 기관포도 2기씩 갖추고 있는 한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도 다수 장비하여 미사일 방어는 물론 모터보트를 이용한 자폭돌격 등과 같은 비대칭 공격에도 대응하고 있다. 충실한 생존성은 이뿐만이 아니다. 함체는 40년 이상 운용하는 것을 전제로 튼튼하게 되어 있으며, 자체무장도 빈약하고 구조가 약해서[* 민간 선박 설계의 장점을 노리고 적용한 것이다. 싸니까. 우리가 인도네시아에 수출한 탄중달펠레급도 만재배수량 1만 톤이 넘지만 선체와 민간화물선 항해장비와 소화기 무장에 4백억대 정도밖에 안 했다고 한다.] 20년밖에 운용할 수 없는 영국 해군의 [[오션급]]과는 여러모로 대조된다. 그런데 미국 내에서는 이것조차 전투상황에서 생존성을 보장해 줄지는 모르겠다고 회의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이도 있다. 승무원의 편의를 위한 시설을 많이 갖추고 있다. 다만 LPD-29 이후 건조 비용 절감 및 SPY-1보다 성능이 더 좋은 AN/SPY-6v2 장착을 이유로 스텔스 마스트 대신 기존 구식 마스트를 채택하여서 스텔스 성능은 떨어지지만 강력한 레이더를 탑재할 것이다. LPD-29 이전의 함정도 향후 개수 시 스텔스 마스트를 철거하고 AN/SPY-6v2를 장착할 예정이다. == 탑재장비와 위상 == [[파일:external/www.fas.org/lpd17-piso.gif|width=600]] 샌안토니오급은 [[공기부양정]] 2척 아니면 상륙용주정 1척을 탑재하며 별도로 [[상륙장갑차]] 14대도 수송가능하다. 이를 위해 함체 내부에는 [[크고 아름다운]] 격납고 및 선체를 낮추어 웰덱에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를 갖추고 있다. 아래 일러스트를 살펴보자. [[파일:external/www.fas.org/lpd17-2-new2.gif|width=600]] [[파일:external/media.defenseindustrydaily.com/SHIP_LPD-17_San_Antonio_Cutaway_lg.jpg|width=600]] 내부 장비탑재공간 절개도 또한 비행갑판에서는 [[CH-46]] 중형 수송헬리콥터 4대 또는 [[V-22]] [[틸트로터]]기 2+2대가 동시에 착발가능하며, 항공기 격납고에는 V-22 1대나 중형헬기 2대를 넣고 유지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함폭이 독도함과 비슷한데, 격납고와 비행갑판의 앞쪽 반에 헬리콥터를 계류하고, 비행갑판의 뒤쪽 반을 이착륙에 이용하기도 한다.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이 퇴역하고 나면 항공강습에 특화된 후계함인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이 취역하기 때문에 샌안토니오급 수송상륙함은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더불어 상륙장비 운용의 주축으로서 활약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 동형함 일람 == || '''순번''' || '''함번''' || '''함명''' || '''건조사'''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8> '''{{{#fff Flight I}}}''' || || '''1''' || LPD-17 || [[샌안토니오]][br](San Antonio) ||<|2> 애본데일 조선소 || 2000년 12월 9일 || 2003년 7월 12일 || 2006년 1월 14일 || || || '''2''' || LPD-18 || [[뉴올리언스]][br](New Orleans) || 2002년 10월 14일 || 2004년 12월 11일 || 2007년 3월 10일 || || || '''3''' || LPD-19 || [[메사 버드 국립공원|메사 버드]][br](Mesa Verde) || [[헌팅턴 인걸스 인더스트리즈|인걸스 조선소]] || 2003년 2월 25일 || 2004년 11월 19일 || 2007년 12월 15일 || || || '''4''' || LPD-20 || [[그린베이]][br](Green Bay) ||<|2> 애본데일 조선소 || 2003년 8월 11일 || 2006년 8월 11일 || 2009년 1월 24일 || || || '''5''' || LPD-21 || [[뉴욕]][br](New York) || 2004년 9월 10일 || 2007년 12월 19일 || 2009년 11월 7일 || || || '''6''' || LPD-22 || [[샌디에이고]][br](San Diego) || 인걸스 조선소 || 2007년 5월 23일 || 2010년 5월 7일 || 2012년 5월 19일 || || || '''7''' || LPD-23 || [[앵커리지]][br](Anchorage) || 애본데일 조선소 || 2007년 9월 24일 || 2011년 2월 12일 || 2013년 5월 4일 || || || '''8''' || LPD-24 || [[알링턴]][br](Arlington) || 인걸스 조선소 || 2008년 5월 26일 || 2010년 11월 23일 || 2013년 2월 8일 || || || '''9''' || LPD-25 || [[https://en.wikipedia.org/wiki/Somerset_County,_Pennsylvania|서머싯]][br](Somerset) || 애본데일 조선소 || 2009년 12월 11일 || 2012년 4월 14일 || 2014년 3월 1일 || || || '''10''' || LPD-26 ||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urtha|존 P. 머사]][br](John P. Murtha) ||<|4> 인걸스 조선소 || 2012년 2월 6일 || 2014년 10월 30일 || 2016년 10월 8일 || || || '''11''' || LPD-27 || [[포틀랜드]][br](Portland) || 2013년 8월 2일 || 2016년 2월 13일 || 2017년 12월 14일 || || || '''12''' || LPD-28 || [[https://en.wikipedia.org/wiki/Fort_Lauderdale,_Florida|포트로더데일]][br](Fort Lauderdale) || 2017년 10월 13일 || 2020년 3월 28일 || 2022년 7월 30일 || || || '''13''' || LPD-29 ||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Miles_McCool|리처드 M. 맥콜 주니어]][br](Richard M. McCool Jr.) || 2019년 4월 12일 || 2022년 1월 5일 || || || ||<-8> '''{{{#fff Flight II}}}''' || || '''1''' || LPD-30 || [[해리스버그]][br](Harrisburg) ||<|4> 인걸스 조선소 || 2022년 1월 28일 || || || || || '''2''' || LPD-31 || [[피츠버그]][br](Pittsburgh) || || || || || || '''3''' || LPD-32 || [[필라델피아]][br](Philadelphia) || || || || || || '''4''' || LPD-33 || || || || || || == 여담 == 미국에서 이 배의 설계 일부를 인터넷으로 접근가능한 사이트에 공개했다가 닫았다는 루머가 있었다. 당시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탈냉전 후 오만해진 미국이 "따라올테면 따라와보라"며 실수했다는 분위기. 공교롭게도 나중에 중국에서 비슷하게 생긴 [[유자오급 강습상륙함]](Type 071)이 나오는 바람에 밀덕들 사이에서 화제거리가 되었다.다만 정작 중국은 유자오급을 만들때 스페인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구축함급의 빠른 속력은 나오지 않지만 최소한의 자함방어능력을 가지고 전투함대와 같이 행동할 수 있는 군함으로서 넉넉한 공간과 출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레일건]]이나 레이저 요격시스템용 실험에 쓰이기도 하고 [[아스널쉽]]이나 거대한 장거리레이더를 싣는 피켓함 형태의 파생형이 제안된 적도 있다. [각주]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군함]][[분류:상륙함]][[분류:200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