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Critical Role]] 멤버'''(나이순) || || [[리암 오브라이언]] || [[샘 리겔]] || [[탈리신 재피]] || [[로라 베일리]] || [[트래비스 윌링햄]] || [[매튜 머서]] || [[애슐리 존슨]] || [[마리샤 레이]] || [include(틀:딘 파나로 탤런트 성우)] ||<-2>
{{{#ffffff '''{{{+1 샘 리겔}}}'''[br]Sam Rieg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_Riegel.jpg|width=100%]]}}} || || '''이름''' ||'''새뮤얼 브렌트 오스카 리겔[br](Samuel Brent Oscar Riegel)''' || ||<|2> '''출생''' ||[[1976년]] [[10월 9일]] ([age(1976-10-09)]세) || ||[[미국]] [[워싱턴 D.C]]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83cm[* [[https://www.imdb.com/name/nm0726184|출처]]] || || '''가족''' ||아버지 커트 리겔[*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br]어머니 레노어 리겔[br]이복누나 타티아나 리겔[* 영화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br]여동생 [[에덴 리겔]][br]배우자 퀴옌 트란,[* [[베트남계 미국인]]이며 영화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아들, 딸 || || '''학력''' ||[[버지니아 대학교]] {{{-2 (졸업)}}} || || '''활동 시기''' ||[[1997년]] ~ 현재 || || '''링크''' ||[[http://www.behindthevoiceactors.com/sam-riege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출연 목록^^ [[https://en.wikipedia.org/wiki/Sam_Riege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위키^^ [[https://www.instagram.com/ramsiege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sam.riegel|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성우]]. [[뉴욕]] [[4Kids]]에서 활동하다 [[캘리포니아]]로 넘어왔으며, 현재는 [[일본 애니메이션]]보다는 [[미국 애니메이션]]을 더 많이 맡고 있지만 《[[Critical Role]]》에 집중하게 된 이후로는 예전에 비하면 성우일이 줄어들었다.[* 이건 《[[Critical Role]]》의 다른 멤버들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매튜 머서]]가 신작 캐스팅은 급감했을지언정 기존에 출연했던 작품의 후속작에는 변경없이 꾸준히 출연하는 어느정도 본업인 성우업을 이어가고 있는 편.] 성우로서는 주로 경박하거나 또는 능청스러운 캐릭터를 맡았으며 타고난 음색 자체가 이런 캐릭터에 특화되어있다. 다만 이 음색때문에 '경박하거나 능청스러운 캐릭터'가 아닌 다른 유형의 캐릭터를 맡으면, 연기력이 준수함에도 음색때문에 [[싱크로율#s-3|싱크로율]]이 다소 애매해진다. 개성넘치는 음색을 지녔지만, 도리어 이 개성넘치는 음색이 발목을 잡고 있는 케이스[* 특유의 음색이 발목을 잡는다는 점에서 [[오구라 유이]]와 비슷한 케이스이다. 그나마 오구라도 2018년부터는 비슷비슷한 로리 캐릭터를 벗어나 다른 스타일의 연기를 선보이고 있다.]라 할 수 있으며 베테랑 성우치고는 [[미스캐스팅]]도 좀 있는 편이기도 하다. 반대로 생각하면 특화형 성우라는 핸디캡을 안고도 꽤나 성공적인 커리어라고 볼 수 있다. 헐리우드 배우 출신인 여동생보다 커리어에서 앞서나가기도 하고. [[벤 프론스키]]와 계약하여 [[https://voiceactorsnetwork.com/collections/digital-clinics/products/animation-digital-clinic-sam-riegel-reads-due-july-17th-by-7pm|만화 더빙 관련 클리닉 강의를 진행하게 되었다.]] 또한 미국 애니메이션의 성우 감독을 꽤 담당하기도 했다 [[DC 슈퍼히어로 걸즈]]나 [[덕테일즈(2017)|덕테일즈]]등이 예 == 출연작 == ※ 가나다순 정렬. * 여동생인 [[에덴 리겔]]과 함께 녹음한 작품은 ♡표시 === 애니메이션 === * [[거북이 특공대 Z]] - [[도나텔로(닌자 거북이)]]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 [[오오타 이사오]] * [[나루토]] - [[아부라메 시노]], [[바키]], 아부미 자쿠 * [[누라리횬의 손자/애니메이션|누라리횬의 손자]] - [[키요쥬지 키요츠구]] * [[디지몬 세이버즈]] - [[쿠다몬]] 계열 * [[듀라라라!!]] - [[아이작 디언]], 타키구치 료 * [[러키☆스타/애니메이션|러키☆스타]] - [[시라이시 미노루]] * [[마기(만화)/애니메이션|마기]] - 아부마드 사르쟈, 도르지 * [[무장연금/애니메이션|무장연금]] - 마루야마 마도카 * [[블리치]] - [[이치노세 마키]]♡ * [[샤먼킹(2001년 애니메이션)|샤먼킹 (2001)]] - [[파우스트 8세]]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타니구치(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타니구치]] * [[역전재판(애니메이션)|역전재판 그 「진실」, 이의 있음!]] - [[시바쿠조 토라노스케]] * [[원펀맨]] - [[금속 배트]]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혼다 히로토]](트리스탄 테일러), [[다이노서 류자키]](렉스 랩터), [[미궁 형제|파라]], [[판도라(유희왕)|판도라]](아르카나) * [[인어 시리즈|인어의 숲]] - 어부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전국 바사라]] - [[모리 모토나리(전국 바사라)|모리 모토나리]] * [[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애니메이션|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 [[아시오(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아시오]] * [[천원돌파 그렌라간]] - [[비랄]] * [[청의 엑소시스트/애니메이션|청의 엑소시스트 시리즈]] - [[메피스토 펠레스]]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 [[클로비스 라 브리타니아]], 클로디오 S. 달튼 * [[킬라킬]] - 스즈키 * [[타카하시 루미코 극장]] - 유키에 남편, 코바토 씨, 남자 1 * [[테니스의 왕자]] - [[오오이시 슈이치로]] * [[헬싱/애니메이션#s-2|헬싱 OVA]] - 와일드 기스 대원 * [[페르소나 4 the ANIMATION]] - [[곰(페르소나 시리즈)|곰]](테디), [[나카지마 슈]] * [[Fate/stay night]] - [[에미야 시로]] * [[K(애니메이션)|K]] - [[이사나 야시로]] * [[KO세기 비스트 삼수사]] - 완 다바다 * [[Winx Club]] - [[리븐(Winx Club)|리븐]] === 게임 === * Bugsnax - 그램블 기글퍼니 * [[길티기어 Xrd]] Sign - [[카이 키스크]][* [[솔 배드가이]] 역의 [[데이빗 포세스]]와 같이 혹평을 들었지만 그나마 이쪽은 스토리 모드에서는 목소리 톤이 좀 달라지긴 했다. 결국 [[카이 키스크]] 역은 《[[길티기어 STRIVE]]》에서는 성우가 [[숀 칩록]]으로 바뀌었다. 다만 데이빗 포세스는 성우 교체 없이 STRIVE에서도 캐스팅이 유지 되었다.]♡ * [[레이지 2]] - 워커(남성) * [[룬 팩토리 4]] - [[아서(룬 팩토리)|아서]] * [[바이오하자드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 [[스티브 번사이드]] * [[얼티밋 마블 VS 캡콤 3]] - [[나루호도군]] * [[여신이문록 페르소나]] - [[이나바 마사오]] * [[역전재판 5]], [[역전재판 6]] - '''[[나루호도 류이치]]''' * [[초차원게임 넵튠 시리즈]] - 가낫슈, 변태형제 중 동생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랜스포머: 폴 오브 사이버트론]] - [[스타스크림(프라임)|스타스크림]] * [[파이널 판타지 4]] - [[길버트 크리스 폰 뮤어|에드워드 크리스 폰 뮤어]] * [[폴아웃: 뉴 베가스]] - [[크리스 해버샘]], [[볼트 19|필립 렘]], 그 외 [[구울(폴아웃 시리즈)|구울]] NPC 다수 *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 [[헤오던]] *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2: 데드파이어]] - [[넴녹]], [[레케]], [[베언]], [[스키오리엘라파스]], [[탓자틀]] * [[TEPPEN]] - [[나루호도 류이치]] === 성우 감독직 === * [[빛과 물의 다프네]] == 기타 == * 절친한 성우로는 여동생인 [[에덴 리겔]]은 말할 필요도 없고, [[매튜 머서]], [[리암 오브라이언]], [[로라 베일리]], [[탈리신 재피]], [[트래비스 윌링햄]], [[애슐리 존슨]] 등의 《Critical Role》 멤버들, 그 외에는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DC 더글라스]], [[다린 드 폴]], [[마이클 신터니클라스]], [[스테파니 셰이]], [[스티브 블룸]], [[로비 데이먼드]] 등이 있다. * [[백인]]이지만 언뜻 보면 백인이 맞나 싶을 정도로 독특한 외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그가 [[유대인]]이라서 그럴 가능성이 높다.[* [[유대인]]들은 [[백인]]으로 분류된 것 치고는 백인이 맞나 싶을 정도로 백인처럼 생기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여동생 에덴도 오빠만큼은 독특하지는 않지만, 백인치고는 약간 이국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다. * 재밌게 만드는 걸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보면 그의 수많은 [[얼굴개그]]를 볼 수 있다. 당장 인스타그램 계정명도 알파벳을 뒤바꾼 램 시겔. == 관련 문서 == * [[성우/북미]] [[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1976년 출생]][[분류:1997년 데뷔]][[분류:워싱턴 DC 출신 인물]][[분류:버지니아 대학교 출신]][[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영국계 미국인]][[분류: 캘리포니아 계열 성우]][[분류: 뉴욕 계열 성우]][[분류:크리티컬 롤/플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