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0E11, #E10F14 20%, #E10F14 80%, #CC0E11)" {{{#ffffff '''샤로시 죄르지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유벤투스 FC 감독(1대~30대)|[[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유벤투스 FC 감독(1대~30대)|{{{#ffffff '''유벤투스'''}}}]]}}}[br]{{{-2 16대}}} || [[틀:AS 로마 감독(1대~40대)|[[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9em" [[틀:AS 로마 감독(1대~40대)|{{{#fbba00 '''로마'''}}}]]}}}[br]{{{-2 21대, 25대}}} || || || ---- ||<-5> '''{{{#ffffff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 || 코라니 라슬로[br] (1932~1933) || {{{+1 →}}} || '''{{{#990000 샤로시 죄르지[br] (1934)}}}''' ||{{{+1 →}}} || [[슈테른베르크 라슬로]][br] (1934~1936) || || [[쉬츠 죄르지]][br] (1936) || {{{+1 →}}} || '''{{{#990000 샤로시 죄르지[br] (1936~1940)}}}''' ||{{{+1 →}}} || 불명[br] (1940~1943)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0E11, #E10F14 20%, #E10F14 80%, #CC0E11)" {{{#ffffff '''샤로시 죄르지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파일:실버슈.png|height=50|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31A3C; font-size: 0.9em" {{{#ffffff '''1938 FIFA 월드컵 실버슈'''}}}}}}[* [[젠겔레르 줄러]], [[실비오 피올라]]와 공동 득점 2위. 골든슈, 실버슈, 브론즈슈는 1982년부터 수여했으므로 비공식 수상.]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0E11, #E10F14 20%, #E10F14 80%, #CC0E11)" {{{#ffffff '''샤로시 죄르지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FIFA 월드컵 전 경기 득점자)]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헝가리의 前 축구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empofradi.hu/sarosi-gyorgy.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샤로시 죄르지[* 헝가리의 주 민족인 마자르족은 동양에서 왔기 때문에 사람의 이름을 쓸 때 서양식 배치인 이름과 성의 순서가 아닌 동양식 배치인 성과 이름의 순서를 사용한다. 따라서 헝가리식 이름은 샤로시 죄르지(Sárosi György)가 된다.] '''}}} [br]'''Sárosi György''' || ||<-2> {{{#000000,#e5e5e5 ''' 출생 ''' }}} ||[[1912년]] [[8월 5일]] [br]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 || ||<-2> {{{#000000,#e5e5e5 ''' 사망 ''' }}} ||[[1993년]] [[6월 20일]] (향년 80세) [br] {{{-1 [[이탈리아]] [[제노아]]}}}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헝가리)]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1cm | [[몸무게|체중]] 75kg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공격수]][* 인사이드 포워드 - 센터 하프] / ^^은퇴^^)[br][[축구감독]] ^^은퇴^^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페렌츠바로시 TC]] (1930~1948)''' || || {{{#000000,#e5e5e5 ''' 감독 ''' }}} ||[[SSC 바리]] (1948)[br] [[SSC 바리]] (1949~1950)[br]AS 루케세 (1950)[br]AS 루케세 (1951)[br] [[유벤투스 FC]] (1951~1953)[br] [[제노아 CFC]] (1953~1955)[br] [[AS 로마]] (1956)[br] [[볼로냐 FC 1909]] (1957~1958)[br] [[AS 로마]] (1959~1960)[br] [[브레시아 칼초|브레시아]] (1960)[br] [[FC 루가노]] (1962~1963)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62경기 42골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 1931~1943)^^ || ||<-2> {{{#000000,#e5e5e5 ''' 가족 ''' }}} ||동생 [[샤로시 벨러]] || ||<-3>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00000,#e5e5e5 ''' 등번호 ''' }}}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의 前 축구선수이자 축구감독으로 [[페렌츠바로시 TC]]의 [[원클럽맨]]이자 [[문무겸비|신체와 지능을 한 번에 타고난]] 축구 영웅. [[매직 마자르]]의 첫번째 전성기를 이끈 선수이다. == 생애 == === 어린 시절 === [[부다페스트]]에서 재봉사의 아들로 태어난 샤로시는 원래 법학을 공부하였던 인텔리였다. 동생인 [[샤로시 벨러]]와 함께 축구에도 재능을 보였던 샤로시는 [[페렌츠바로시 TC]]의 유스팀에 있었지만 어렸을 때에는 그저 취미로만 축구를 즐겼을 뿐이었다. 하지만 15세부터 본격적으로 축구의 길을 걷기 시작했고 곧 재능이 만개했다. === 선수 경력 === ==== 클럽 ==== 처음 팀에 들어갔을 때에는 센터 하프로 축구 생활을 시작했지만 그의 볼 컨트롤이 특출난 것을 간파한 감독은 그의 포지션을 인사이드 포워드로 바꿔 더 공격적인 역할을 주문했고, 말 그대로 [[대박]]이 났다. 곧이어 이듬해에 18세의 나이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대표팀]]에도 소집되었으니 그의 가능성은 실로 대단했다 말할 수 있다.[* 동시대에 샤로시와 함께 유럽 최고 레벨의 공격수로 평가받는 [[주세페 메아차]]나 [[마티아스 신델라]]등보다 샤로시의 국가대표팀 데뷔가 더 빨랐다.] 샤로시의 기량은 더욱 물이 올랐다. 그의 전성기에서 가장 돋보인 활약이 드러나는 시기는 1935-36 시즌과 1937년이었는데, 1935-36 시즌에는 36골로 헝가리 리그 득점왕[* 당시 경기당 1.5골의 대단한 페이스를 보여주었다.]을 차지하였으며, 1937년에는 미트로파 컵에서 맹활약하며 팀을 결승까지 올리고, 결승에서 만난 라치오를 상대로 1차전과 2차전에서 모두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팀의 9:6 승리를 이끌어 팀에게 우승을 안겨주었다. 샤로시 죄르지는 포지션을 변경한 이래로 매 시즌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고, 페렌츠바로시의 아이콘이 되기에 충분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월드컵]] ===== 21살의 나이에 헝가리 대표팀 소속으로 첫 월드컵 무대를 밟은 샤로시는 첫 경기였던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집트]]와의 경기에서는 나서지 못했다. 뒤이은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 이후#s-1.2|8강전]]의 상대는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였고 샤로시는 이 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분더팀이라 불리며 유럽 최고의 공격수 [[마티아스 신델라]]를 필두로 한 유럽 최강팀이었고 샤로시는 후반 15분에 얻은 [[페널티 킥]]을 성공시켜 2:1로 따라붙는 추격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3분 후에 [[머르코시 임레]]가 퇴장당했고 헝가리는 결국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한 채 패하고 말았다. ===== 1937 중유럽 컵 ===== 1937년 중유럽 컵에서는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를 8:3으로 대파했는데 당시 유럽 최고의 수문장 중 한 명이었던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를 상대로 7골을 터뜨리는 괴력을 과시했다.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월드컵]] ===== 리그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1936년부터 대표팀의 주장이 된 샤로시는 [[주장]]으로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에 갔다. 그리고 대표팀에 새로 들어온 후배 [[젠겔레르 줄러]]와 함께 호흡을 맞춰가며 상대편의 골문을 하나하나 뚫어갔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라운드#s-1.4|첫 경기]]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령 동인도]]전에서는 6:0으로 이기는데 선봉 역할을 하면서 세계 축구팬들에게 헝가리 축구의 실력을 실감케 해주었고 샤로시는 이 경기에서 2골을 넣었다. 두 번째 경기인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1.3|8강전]]에서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를 상대로 샤로시는 한 골을 넣어 2대0 승리를 이끌어냈다. 다음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2.2|4강전]]의 상대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스웨덴에 선제골을 내주어 불안하게 출발한 헝가리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스웨덴의 [[자책골]]이 터졌고 뒤이은 헝가리 공격수들의 가둬놓고 패는 수준의 경기력으로 5:1의 낙승을 거두었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4.1|결승전]]의 상대는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특히 이탈리아에는 [[주세페 메아차]]라는 대형 공격수가 있어서 샤로시와의 자존심 대결 또한 볼만했다. 샤로시는 한 골을 넣었고 [[서보 언털|서보]] 골키퍼가 사력을 다해 방어했지만 헝가리의 수비력보다 이탈리아의 공격력이 한 수 위였다. 결국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는 이탈리아에게 2:4로 패해 문턱에서 우승이 좌절되었다. === 은퇴 === 이듬해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졌고 [[헝가리]]도 그 여파에서 벗어나진 못했지만 사로시는 페렌츠바로시에서 계속 남아서 활약하였다. 축구 선수로서 활동하면서도 계속 법학을 공부하던 사로시는 1943년에 결국 법학 박사 학위를 따내었다. 사로시의 가장 유명한 별명인 닥터(박사님)는 여기에서 생긴 것이다. ~~선수 시절에 닥터라고 그렇게 많이 불릴 일은 없었다곤 해도 충분히 대단하다~~ 하지만 사로시가 박사 학위를 딴 1943년 이후 사로시의 골퍼레이드는 거의 멈추었고 1946년 사로시는 31골을 집어넣음으로서 마지막 불꽃을 태웠다.[* 페렌츠 데아크가 66골을 넣은 시즌이 바로 이때로 전 시즌 득점왕이 36골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골 인플레이션이 있었던 시즌이다. 득점 10위가 15골 언저리였던 지난 시즌에 비해 같은 10위가 30골이 넘어갈 정도로 골이 두 배는 더 들어갔다.] === 감독 === 사로시가 은퇴하던 1948년, 헝가리는 공산화되었고 사로시는 가족과 함께 [[이탈리아]]로 건너가서 주로 이탈리아 클럽을 맡았다. 처음 맡은 클럽은 [[SSC 바리]]였고, 바리에서의 2년 이후 루케세에서는 시즌 도중에 경질당하기도 했다. 뒤이어 [[유벤투스 FC]]의 감독이 된 샤로시는 [[스쿠데토|우승]]을 차지하였고 이 때가 샤로시의 감독 생활 중 하이라이트였다. 이후의 감독 생활에서는 강등을 이유로 경질당하고 시즌 도중에 땜빵으로 들어왔다 시즌을 마치지도 못하고 경질당하는 등 부침이 많았고, 샤로시는 1963년 [[스위스]]의 루가노를 끝으로 공식적인 감독 생활을 접었다. 이후 [[제노바]]에서 여생을 보내다 헝가리의 공산정권이 무너지는 것을 눈으로 본 사로시는 1993년에 80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다재다능함과 기술로 무장한 공격수. 181cm로 키가 크기도 했지만 기술이 좋아서 볼을 쉽게 빼앗기지 않았으며 공격과 수비 포지션을 모두 높은 레벨로 소화할 수 있는 당시에도 상당히 유니크한 선수였다. 감독으로서는 어린 선수들을 발굴하는 데에 능력을 발휘했다고 한다. 페렌츠바로시에서는 5회의 우승을 포함해 18년의 클럽 커리어를 통틀어 351골을 넣는 높은 득점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FIFA 월드컵]]에서도 처음으로 헝가리 축구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 선수로 아직도 42골로 헝가리 대표팀 내 역대 득점 랭킹에서 5위에 올라있다. 이를 증명하듯 IFFHS에서 뽑은 20세기 100인의 랭킹에서 89위에 랭크되었고 2차 대전 이전 유럽 축구계를 대표하는 공격수 중 한 명이다. == 수상 == === 대회 기록 === * [[페렌츠바로시 TC]] (1930~1948)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1931-32, 1933-34, 1937-38, 1939-40, 1940-41; 준우승: 1934-35, 1936-7, 1938-39, 1943-44, 1945 * [[마자르 쿠파]]: 1932-33, 1934-35, 1941-42, 1942-43, 1943-44; 준우승: 1930-31, 1931-32 * 미트로파 컵: 1937; 준우승: 1935, 1938, 1939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1931~1943) * [[FIFA 월드컵]] 준우승: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 중유럽 컵: 1937 === 개인 수상 === * 헝가리 올해의 선수: 1941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득점왕: 1935-36, 1939-40, 1940-41 * 미트로파 컵 득점왕: 1935, 1937, 1940 * FIFA 월드컵 실버슈: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실비오 피올라]], [[젠겔레르 줄러]]와 공동 수상.][* 이전 문서와 위키백과 등지에서는 이때 브론즈볼을 샤로시가 받았다고 했으나 정작 피파 공홈에는 이 당시 수상자 명단은 나오지도 않았다. 1982년 이후 수상자만 피파 공홈에서 인정받을 뿐이고 후대 평가 중 피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건 신인상 뿐이다.자세한 내용은 월드컵/수상 문서 참고.] * FIFA 월드컵 베스트 11 1회: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 감독 === * [[유벤투스 FC]] (1951~1953) * [[세리에 A]]: 1951-52; 준우승: 1952-53 [각주] [[분류:1912년 출생]][[분류:1930년 데뷔]][[분류:1948년 은퇴]][[분류:부다페스트 출신 인물]][[분류:1993년 사망]][[분류:법학자]][[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페렌츠바로시 TC/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SSC 바리/역대 감독]][[분류:AS 루케세 리베르타스/역대 감독]][[분류:유벤투스 FC/역대 감독]][[분류:제노아 CFC/역대 감독]][[분류:AS 로마/역대 감독]][[분류:볼로냐 FC/역대 감독]][[분류:브레시아 칼초/역대 감독]][[분류:FC 루가노/역대 감독]][[분류:헝가리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FIFA 월드컵 결승전 득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