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샤를-오귀스탱 드 쿨롱}}}[br]Charles-Augustin de Coulom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arles_de_Coulomb.png|width=100%]]}}} || ||<-2> 초상화 || ||<|2> '''출생''' ||1736년 6월 14일|| ||[[프랑스 왕국]] 앙구무아 [[앙굴렘]]|| ||<|2> '''사망''' ||1806년 8월 23일 (향년 70세)|| ||[[프랑스 제1제국]] [[파리(프랑스)|파리]]|| || '''직업''' ||화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 '''학력''' ||메지에르 군사공학대학교||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군인]], [[공학자]]이자 [[물리학자]]. [[전하]]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기장|정전기력]]을 설명하는 [[쿨롱 법칙]]을 밝혀낸 업적으로 잘 알려졌으며, [[전하]]의 단위인 [[쿨롬]](C)도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생애 == 1736년에 프랑스 남부 [[앙굴렘]]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앙리 쿨롱은 몽펠리에의 관리였고, 그의 어머니 캐서린 바제트는 양모 무역에서 돈을 벌었던 가족 출신이었다. 어렸을때 가족과 함께 파리로 이사가서 Collège des Quatre-Nations에서 수학했다. 피에르 샤를 모니에 (Pierre Charles Monnier)에게 수학 수업을 들으면서, 쿨롱은 [[수학]]과 관계된 직업을 갖기로 결정했다. [[1757년]]부터는 몽펠리에의 가족에게 가서 수학자 오귀스탱 다니지 (Augustin Danyzy)가 감독하는 도시 학계의 업무에 종사했다. 그는 1759년에 아버지의 허락을 받고 파리로 돌아가 샤를빌메지에르의 [[군사학교]] 시험에 합격해 그곳에 다니게 되었다. 군사학교에서 졸업한 이후 기술장교가 되어 [[마르티니크]] 섬에서 근무하다 풍토병에 걸려 집으로 돌아왔고, 공병단에서 군무에 종사하면서 과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중에 선장으로서 그는 대서양의 작은 섬 인 La Rochelle, Aix 섬과 Cherbourg에서 직책을 맡았다. 1773년에는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에 토양 압력 이론을 제안했고, 쿨롱 토양 압력은 토목공학 및 지구공학 분야에서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1774년에 그는 과학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고, 1777년에는 [[자석]]의 극에 대한 연구로 과학 아카데미의 첫 번째 상을 수상했다. 1781년에는 [[마찰력]] 이론에 관한 연구로 다시 첫 번째 상을 수상했다. 1780년대 중반에 쿨롱은 [[전하]] 사이에 가해지는 힘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의 뒤를 이어 이 법칙은 [[쿨롱 법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789년에 발발한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사직하였으나, [[프랑스 제1공화국]] 3년에 파리로 돌아와서 파리대학 총장이 되었다. 1801년에는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회장이 되었다. 1802년에는 사회교육부 장관이 되었다. 이 무렵부터 건강은 악화되었고, 4년 후 1806년에 파리에서 사망했다. == 업적 == 쿨롱은 [[역학]], [[전자기학]] 등의 분야에서 여러 업적을 남겼는데, 이 중에서도 [[쿨롱의 실험]]으로 [[전기력]]에 대한 연구와 전기력이 역제곱 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쿨롱 법칙]])이 잘 알려졌다. 두 개의 원자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정전기력을 칭하는 쿨롱 장벽도 이 사람의 이름에서 따왔다. == 관련 문서 == *[[비틀림 저울]] [[분류:프랑스의 물리학자]][[분류:프랑스의 군인]][[분류:프랑스의 공학자]][[분류:1736년 출생]][[분류:1806년 사망]][[분류:샤랑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