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베리 공작[br]{{{+1 샤를 페르디낭}}}[br]Charles Ferdinand, Duc de Berry'''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arles-Ferdinand_d'Artois,_duc_de_Berry.jpg|width=100%]]}}} || || '''이름''' ||샤를 페르디낭 다르투아[br](Charles-Ferdinand D'Artois)[* 망명 당시 아버지가 아르투아 백작이었기에 아버지의 작위명에 따라 성씨를 '''다르투아'''로 개명했다. [[루이 16세]]와 [[루이 18세]], [[샤를 10세]] 모두 정식 직계 남계가 다 끊겼기에 역사적 가정일 뿐이지만 만약 [[루이 16세]]의 직계 남계([[루이 17세]])가 끊기지 않고 오랫동안 왕위를 유지하고 [[루이 18세]]와 [[샤를 10세]]의 직계 남계 역시 끊기지 않았다면 [[루이 18세]]의 직계 남계는 '''프로방스'''를 사실상의 성씨로 사용하고, [[샤를 10세]]는 '''다르투아'''를 사실상의 성씨로 사용했을 것이다. 본인들의 시조 역시 본래는 카페 왕조여서 본래 성은 카페지만 [[루이 9세]]의 막내아들 로베르의 장남 루이가 부르봉 공작위를 하사받은 이후 그 후손들이 카페 대신 부르봉을 사실상의 성씨로 오랫동안 사용해왔기에 사실상의 성씨로 굳어진 것이다. 부르봉 왕가에서 갈라진 먼 친척 오를레앙 왕가 역시 마찬가지. 이 때문에 루이 16세가 사형선고를 받을 때 루이 '''카페'''라는 이름으로 사형선고를 받았다. ]|| || '''출생''' ||[[1778년]] [[1월 24일]][br][[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궁전]]|| || '''사망''' ||[[1820년]] [[2월 14일]] (향년 42세)[br][[프랑스 왕국]] [[파리(도시)|파리]]|| || '''배우자'''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양시칠리아 국왕 [[프란체스코 1세]]의 장녀.] ,,(1816년 결혼),,|| || '''자녀''' ||루이즈, [[앙리 5세]], 샤를로드{{{-2 (사생아)}}}, 루이즈{{{-2 (사생아)}}}, 샤를{{{-2 (사생아)}}}, 페르디낭{{{-2 (사생아)}}}, 페르디낭{{{-2 (사생아)}}}, 샤를{{{-2 (사생아)}}}, 루이즈{{{-2 (사생아)}}}, 알릭스{{{-2 (사생아)}}}|| || '''아버지''' ||[[샤를 10세]]|| || '''어머니''' ||[[사르데냐 왕국|사보이아]]의 마리아 테레사|| || '''형제''' ||[[루이 19세]], 소피, 마리 테레즈||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왕국|프랑스]]의 [[왕자]]로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의 차남이자 명목상 국왕 [[루이 19세]]의 친동생이며, 마찬가지로 명목상 국왕 [[앙리 5세]]의 아버지이다. == 생애 == 샤를 페르디낭은 1778년 1월 24일 당시 아르투아 백작이었던 [[샤를 10세]]와 [[사르데냐 왕국|사보이아]]의 마리아 테레사 사이의 2남 2녀 중 차남으로 [[베르사유 궁전]]에서 태어났다. 당시 프랑스 국왕이었던 큰아버지 [[루이 16세]]와 큰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는 아직 자녀가 없었으므로 동생들인 [[루이 18세]]와 [[샤를 10세]]를 임시 후계자로 삼아서 샤를 페르디낭 역시 베르사유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친사촌이자 형수인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가 태어났고, 1781년 드디어 아들인 루이 조제프, 1785년 [[루이 17세]]가 태어나서 왕위 계승 서열이 밀려나 이대로 방계 왕족으로 살아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10대 때 프랑스 뿐만 아니라 전 유럽을, 나아가선 전 세계를 뒤흔들어 놓은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 영국으로 피신해야만 했고, 큰아버지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친사촌 [[루이 17세]]가 탕플탑에서 어린 나이에 옥사함으로서 샤를 페르디낭은 부르봉 왕당파의 핵심 인사가 되었다. 1792년부터 1797년까지 반혁명군으로 복무하였고, 1801년부터 1814년까지 영국에 망명자 신분으로 거주하였다. 그가 10대~30대였던 1789년~1814년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으로 대변되는 격동기였기 때문에 결혼 적령기임에도 오랫동안 결혼하지 못하고 1814년 나폴레옹이 몰락하고 [[부르봉 왕정복고]]가 이뤄지면서 샤를 페르디낭과 부르봉 왕가가 프랑스로 귀환한 이후에야 1816년에 당시로선 매우 늦은 나이인 38세에 [[양시칠리아 왕국]]의 마리 카롤린과 결혼할 수 있었다. === 부르봉 왕정복고 이후 === 마리 카롤린은 1798년생으로 샤를 페르디낭과 무려 20살 연하였으니 결혼생활은 처음부터 삐걱거릴 수밖에 없었다.[* 오히려 장인인 양시칠리아 왕국 국왕 [[프란체스코 1세]]가 1777년생으로 사위인 샤를 페르디낭보다 겨우 1살 많았다. 장모 역시 장인과 동갑이다.] 샤를 페르디낭은 특유의 활달하고 매사에 적극적인 인싸 기질로 왕실의 지지도를 높였지만 동시에 그 때문에 수많은 여성들과 자주 어울리고 염문설까지 붙었다. 부르봉 왕정복고 이후 샤를 페르디낭은 둘째 큰아버지 루이 18세, 아버지 샤를 10세, 형 루이 19세 다음가는 왕위 계승권자였으며 특히 큰아버지와 형이 자녀가 없으므로 샤를 페르디낭이 더 오래 생존하고 프랑스 혁명 이외의 더 이상의 혁명이 없었다면 큰아버지, 아버지, 형의 뒤를 이어 샤를 페르디낭이 자동으로 왕이 되어 '''샤를 11세'''가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샤를'''이란 이름은 '''루이'''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부르봉 왕조 정통파 후손들이 자주 애용하는 이름으로, 외아들인 [[앙리 5세]] 사후 부르봉 왕조 정통파를 계승했다는 부르봉앙주 가문에서는 이후 프랑스 왕위 요구자로 자칭 '''샤를 11세''', '''샤를 12세'''도 있었다. 반면 먼 친척이자 적대적인 부르봉-오를레앙 가문은 '''장'''과 '''필리프'''란 이름을 선호하고, 마찬가지로 프랑스 왕위(황위) 요구자인 보나파르트 가문은 그냥 수장들마다 '''나폴레옹'''이라는 이름만 고수하고 있다.] === 암살 === 1820년 2월 13일, 샤를 페르디낭은 [[파리(도시)|파리]]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을 관람하고 다른 곳에 가려고 마차를 타려다 말 안장 제작자인 루이 피에르 루벨(1783 ~ 1820)의 칼에 맞아 중상을 입었다. 샤를 페르디낭은 즉시 응급 치료를 받았으나 상처가 너무 깊어 다음날인 1820년 2월 14일 사망했다. 이때 아내인 마리 카롤린도 샤를 페르디낭의 암살 당시 현장에 있었고, 마차 안에서 남편이 습격당하는 장면을 눈앞에서 목격하였다. 이 때 마리 카롤린은 임신 초기였는데, 아이는 왕실 입장에서는 천만다행으로 유산되지 않고[* 아무리 남편과 처음부터 사이가 안 좋았다지만 눈앞에서 암살 현장을 목격한 이상 자칫하면 그 충격으로 유산할 수도 있었다. 왕당파에서 괜히 [[앙리 5세]]를 '''기적의 아이'''라 부르며 칭송한 것이 아니다. ] 출생 때까지 꿋꿋이 자라 1820년 9월 29일 [[앙리 5세]]로 무사히 태어났다. 샤를 페르디낭의 죽음은 부르봉 왕조가 또다시 프랑스 혁명 이전의 절대왕정을 추구하고 공화 혁명을 일으키려는 지하 혁명 세력은 물론 온건한 입헌군주제 주장 세력까지 모조리 색출해서 없애려고 마음먹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5><#E7E7E7>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br]{{{-2 (Marie Caroline of Naples and Sicily)}}} || || '''1녀''' || 파르마 공작부인 루이사[br]{{{-2 (Louise, Duchess of Parma)}}} || [[1819년]] [[9월 21일]] || [[1864년]] [[2월 1일]] || [[카를로 3세(파르마)|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br]슬하 2남 2녀[* [[로베르토 1세|파르마 공작 로베르토 1세]] 등] || || '''1남''' || [[앙리 5세|샹보르 백작 앙리]][* 명목상의 프랑스 국왕 앙리 5세지만 샹보르 백작이라는 호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br]{{{-2 (Henri, Count of Chambord)}}} || [[1820년]] [[9월 29일]] || [[1883년]] [[8월 24일]] ||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 || 살아생전 얼마나 여색을 밝혔으면 암살당한 이후 같은 해에 아내 마리 카롤린이 낳은 적자 [[앙리 5세]] 뿐만 아니라 다른 여자들에게서 태어난 유복자들'''만''' 4명 더 태어났다. 그래서 훗날 [[앙리 5세]]가 슬하에 자녀가 없어서 부르봉 본가의 직계 남계는 끊겼지만, 적녀인 루이즈 마리 테레즈의 자손들과 수많은 여자들에게서 낳은 서자서녀들의 후손들은 아직도 남아있다. 아내 양시칠리아의 마리 카롤린은 1820년에 남편이 암살당한 이후 1831년 이탈리아 출신의 귀족인 에토레 카를로 루케시팔리[* 8대 델라 그라치아 공작이다.]와 재혼하여 1남 4녀를 더 낳았다.[* 막내 아돌포는 1840년생이니 이부누나 엘리자베트와 부모자식 수준인 23살간의 나이차이가 나고 아돌포를 낳을 당시의 마리 카롤린 역시 40대의 노산이었다.] 문제는 마리 카롤린이 [[루이필리프 1세]]의 재위 시절인 [[1832년]] 때 프랑스에 잠입해서 자신의 아들 [[앙리 5세]]를 옹립하고자 왕당파 반란을 선동하다가 실패한 뒤 체포되어 수감되었는데, 그 상태에서 이듬해인 [[1833년]]에 남편이 13년 전에 죽었을 터인 진짜 기적의 아이(...)를 출산하는 바람에 내연남의 사생아를 가진 사실이 드러나 정통파의 명분에 타격을 가했고 복위 운동도 힘을 잃고 말았다는 것이다. 물론 남편 샤를 페르디낭이 10여년 전에 죽었으니 불륜은 아니고 마리 카롤린도 루케시팔리와 비밀 결혼을 했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마리 카롤린은 아들 [[앙리 5세]]의 섭정을 맡겠다며, 왕의 어머니를 자처했는데 그런 사람이 [[귀천상혼|외국 출신 非 왕족 남성의 아이를 낳아버렸으니]] 당시로서--나 지금으로서나-- 굉장히 심각한 문제였고 결국 시가인 [[부르봉 왕조]]에서도 쫒겨나고 말았다. 아들인 [[앙리 5세]]도 마리 카롤린보다 당고모이자 큰어머니인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 큰아버지 [[루이 19세]]의 아내이자 아버지 샤를 페르디낭의 친사촌.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와 루이 19세가 [[사촌간 혼인]]을 하면서 촌수가 이렇게 꼬였다.]를 어머니처럼 따랐다. == 여담 == * [[덴마크]]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의 [[크리스티안 8세]]와 비슷하다. 두 사람 다 부르봉 왕조 본가와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 마지막 군주의 아버지고, 두 사람 모두 적자는 2명 두었지만 장남이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하고 차남인 [[앙리 5세]]와 [[프레데리크 7세]]가 장성해서 사실상 장남이였으며, 앙리 5세와 프레데리크 7세는 부르봉 왕조 본가와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의 마지막 직계 후손이자 군주(앙리 5세는 명목상)로 두 사람 모두 자녀 없이 사망하면서 부르봉 왕조 본가와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는 단절된다. 또한 크리스티안 8세와 샤를 페르디낭 모두 적손은 끊겼지만 사생아를 많이 낳아서 생물학적인 후손들이 있다는 것도 비슷하다. 다만 차이점도 있는데 크리스티안 8세와 프레데리크 7세는 왕이지만 샤를 페르디낭은 왕이 아니고, 앙리 5세는 명목상 왕일 뿐 실제 왕은 아니였으며,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는 덴마크 왕위를 계승할 방계 가문인 [[글뤽스부르크 왕조]]와 사이가 무난한 반면, 부르봉 왕조 본가는 프랑스 왕위를 계승할 방계 가문인 부르봉-오를레앙 왕조와 사이가 매우 좋지 않다. [[분류:1778년 출생]][[분류:1820년 사망]][[분류:암살된 인물]][[분류:부르봉 가문]][[분류:베르사유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왕자]][[분류:생 드니 대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