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모나코 알베르 2세의 공비[br]{{{+1 샤를린 위트스톡}}}[br]Charlene, Princesse de Monac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79152684.jpg|width=100%]]}}} || || '''이름''' ||샤를린 리넷 위트스톡[br]Charlene Lynette Wittstock|| ||<|2> '''출생''' ||[[1978년]] [[1월 25일]] ([age(1978-01-25)]세)|| ||[[로디지아]] [[불라와요]]|| || '''신체''' ||177cm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모나코)]|| || '''배우자''' ||[[알베르 2세(모나코)|알베르 2세]] ,,(2011년 결혼),,|| || '''자녀''' ||[[가브리엘라 그리말디|가브리엘라]], [[자크 그리말디|자크]]|| || '''아버지''' ||마이클 위트스톡|| || '''어머니''' ||리넷 험버스톤|| || '''형제''' ||가레스, 션|| || '''종교''' ||[[개신교]] →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나코]] 공국의 現 공비로, 모나코 공 [[알베르 2세(모나코)|알베르 2세]]의 배우자이다. == 작위 == ||
[[파일:Coat_of_Arms_of_Charlene,_Princess_of_Monaco.svg.png|width=100%]]||[[파일:Royal_Monogram_of_Princess_Charlene_of_Monaco.svg.png|width=100%]]|| || '''문장''' || '''모노그램''' || * 모나코의 공비 저하 Son Altesse Sérénissime la princesse de Monaco ([[2011년]] [[7월 1일]] ~ 현재) == 일생 == === 어린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3f5e11e8e5cc4caf60816fbd26c5e7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0e4c7a2e5f28a704f416d3f460913de.jpg|width=100%]]}}} || 1978년 1월 25일 현재의 [[짐바브웨]]인 [[로디지아]]의 [[불라와요]]에서 조산아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세일즈맨, 어머니는 전 수영선수이자 코치로 활동했다. 밑으로 남동생이 2명 있다. 11살 때인 1989년 가족과 함께 [[남아프리카 공화국]] 트란스발 주의 작은 도시 베노니[* 1994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지금은 [[하우텡]] 주에 속한다. [[샤를리즈 테론]]도 이 곳 출신이다.]로 이주해서 학교에 다녔다. 교사들에 의하면, 샤를린은 밝고 총명하고 공손해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 선수 생활 === 샤를린 공비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수영이다. 1996년 18세에 남아프리카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0 시드니 올림픽]] 때 남아공 대표로 출전해 여자 400m 릴레이로 5위의 성과를 거뒀다. 같은 해 모나코에서 열린 Marenostrum 국제 수영 대회에서 200m 배영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수영 올림픽에서 3개의 금메달을, 맨체스터 영연방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마지막 목표로 훈련했으나 어깨와 발목 부상 등으로 은퇴했다. === 결혼과 [[모나코]] 공비 재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2001.jpg|width=100%]]}}} || ||<#b1a8d7> '''첫 만남 무렵''' || 알베르 공과 처음 만난 것은 2000년 모나코에서 열린 수영대회에서였다. 짧게 데이트를 하고 헤어져 2005년 12월 케이프타운에서 재회했다. 그리고 새해 첫날 공식적인 데이트 신청을 받았다.[[https://www.vogue.com/article/fit-for-a-princess-charlene-wittstock|#]] 둘의 나이 차이가 무려 20살이다. 거기다 남편인 [[알베르 2세(모나코)|알베르 2세]]가 [[탈모]]가 있어 사진을 찍으면 시아버지와 며느리 같이 보이기도 한다. 샤를린은 국가대표 수영선수라는 탄탄한 커리어가 있음에도 은퇴 후에는 '알베르 2세의 여친'이 직업이냐는 비판까지 들을 정도로 결혼하기 전까지 대놓고 [[백수]]로 지냈다.[* 사실 이쪽도 [[골드 디거]]에 해당되는 인물이다. 다만 막장 골드 디거의 끝판왕인 [[노르웨이]]의 메테마리트 왕세자비나 [[스웨덴]]의 [[소피아 헬크비스트|소피아 왕자비]]에 비하면, 딱히 논란이 될 만한 행동을 한 적이 없고 순탄치 않아보이는 결혼생활 덕에 오히려 동정을 받았으면 받았지 골드 디거라고 욕은 별로 안 먹었다. 오히려 매형 알베르 2세의 빽만 믿고 나대는 남동생들이 더 욕먹는 덕에 묻혔다.] 2010년 6월 23일 약혼을 발표했다. 스웨덴의 [[빅토리아 잉그리드 알리스 데시리에|빅토리아 왕세녀]]의 결혼식에 함께 참석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청혼을 받았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ncess-charlene-5-5e1159b0763349979f340ac3062b99bd.jpg|width=100%]]}}} || ||<#b1a8d7> '''약혼사진''' || 결혼식을 앞두고는 알베르 공의 문란한 사생활에 충격을 받아 도망가려다가 공항에서 제지당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모나코 왕실은 처음 보도를 낸 매체를 상대로 소송까지 제기하며 이를 부인했다. 그럼에도 신부가 결혼식에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여 앞선 보도가 사실이 아니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모든 것이 벅찼고 소문들로 인한 복잡한 감정들 때문에 긴장감이 쌓여 눈물이 난 것이며 모나코에서 도망치려 했다는 건 명백한 거짓이라고 말했다.[[https://www.thetimes.co.uk/article/charlene-of-monaco-the-unlikely-princess-6z3dqrbrr7z|#]] 결혼식 이틀 뒤 예비 신부가 모나코에서 도망치려다 니스 공항에서 잡혀 여권을 압수당했으며 몇 년 뒤에 헤어지는 조건으로 결혼에 동의했다는 기사를 게재한 선데이 타임스에 소송을 제기했고 사과와 손해배상을 받았다.[[https://www.independent.co.uk/news/media/press/prince-albert-and-princess-charlene-of-monaco-accept-libel-damages-over-untrue-marriage-stories-8452426.html|#]] 7월 1일에는 간소하게 일반 [[결혼식]]을, 2일에는 [[가톨릭]] [[혼인성사]]를 또 한 번, 성대하게 결혼식을 치렀다. 그들의 결혼식은 왕궁 광장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을 통해 중계됐으며 3,500여 명의 방문객이 몰려들어 그들의 결혼식을 축하해주었다. 모나코 왕실 결혼식 첫날인 1일에는 왕궁 알현실에 모인 왕실 일가 앞에서 둘의 결혼 서약을 진행했다. 결혼식을 올린 후 알베르 2세와 샤를린은 모나코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왕궁 발코니에서 [[키스]]를 했다. 다음 날, 가톨릭 교리에 따라 또 한 번 치른 [[혼인성사]]는 알베르 2세의 주장에 따라 레니에 3세와 [[그레이스 켈리]]가 결혼했던 대성당이 아닌 왕궁 안뜰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7979f1f8ee6e123e1bcccf724f751fe.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nce-albert-12-2000-d07879c9524645988dc7b468e96df716.jpg|width=100%]]}}} || ||<-2> '''2011년 7월 2일에 거행된 결혼식''' || 결혼식의 백미인 [[웨딩드레스]]는 평소 [[아르마니]]를 즐겨 입었던 샤를린답게 디자이너는 역시 [[조르지오 아르마니]]를 선택했다. 그녀가 입은 웨딩드레스는 무려 130m에 달하는 여러 종류의 실크와 4만 개의 [[스와로브스키]]와 2만 개의 진주로 수놓은 화려한 보트넥 스타일로, 드레스를 완성하는 데 총 2,100시간이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12월 16일, 모나코 현지에서 열린 크리스마스 행사에서 전형적인 왕비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파격적인 반삭 헤어스타일과 짙은 메이크업을 선보여 눈길을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062591?cds=news_edit|사로잡았다.]] 갑자기 저렇게 파격적인 스타일로 바꾼 원인은 남편과의 불화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다. 이에 대해 오래 전부터 해보고 싶었을 뿐이며 남편 알베르 공도 처음엔 놀랐지만 좋아한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https://www.pointdevue.fr/royal/monaco/interview-exclusive-de-charlene-de-monaco-je-suis-heureuse-comme-je-suis|#]] 2021년 5월 야생 동물 보호 관련 활동을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여행 중 이전 수술의 합병증으로 인해 비행기를 탈 수 없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8월 13일 4시간에 걸쳐 수술을 받았다. 9월 1일 거처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 치료를 받았다. 그녀의 재단은 성명을 통해 심각한 [[부비동염]] 등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쓰러진 뒤 병원에 입원해 전담 의료팀이 상태가 안정적인 것을 확인했으며 9월 3일 오전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4009900009|퇴원]]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국경일 행사에 불참하는 등 몇주 간 공무 수행을 하지 않기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11117053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2022년 5~6월에는 간간히 행사에 등장하는데, 삭발이나 반삭보다는 헤어 길이가 길지만, 매우 짧은 숏컷 스타일을 선보였다. === 쌍둥이 남매 출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nce-albert-monaco-21c275cb08614d74b659edddaa0ee3d6.webp|width=100%]]}}} || || '''2021 가족사진''' || 결혼한 지 3년 뒤 2014년 5월 30일 임신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약 3개월 뒤 8월 9일날 쌍둥이라는 사실을 알렸다. 2014년 12월 10일 The Princess Grace Hospital Centre 병원에서 쌍둥이 남매 [[자크 그리말디|자크]]와 [[가브리엘라 그리말디|가브리엘라]]를 출산했다. 가브리엘라가 2분 일찍 태어난 누나이지만, 모나코는 남자 우선 공위 계승제이므로 자크가 1순위 공위 계승자가 되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아프리칸 게임}}} || || 금메달 || 1999 요하네스버그 || 자유형 100m || || 금메달 || 1999 요하네스버그 || 배영 100m || || 금메달 || 1999 요하네스버그 || 혼영 4×100m 계주 || || 은메달 || 1999 요하네스버그 || 자유형 4×100m 계주 || ||<-3> {{{#white 커먼웰스 게임}}} || || 은메달 || 2002 맨체스터 || 자유형 4×100m 계주 || == 기타 == * 모델 겸 배우인 [[샤를리즈 테론]]과 많이 닮았다. 고향도 같은데다 나이와 키도 비슷하고 샤를린 공비가 수영 선수 출신이다 보니 모델인 샤를리즈하고 몸매도 비슷하다.[* 차이는 있는데 수영선수 출신답게 [[어깨깡패]] 상체에 비해 하체는 다소 빈약한, 쉽게 말해서 골반이 작은 샤를린과는 달리 샤를리즈는 상하체가 비교적 균형이 잡혀있고 골반라인도 있는 편. 그리고 외모도 좀 차이는 있는데 샤를리즈 쪽이 훨씬 날카롭게 생겼다.] * [[보어인]][* 1861년 증조부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하였다.]으로 [[네덜란드인]], [[영국인]], [[독일인]], [[스코틀랜드인]], [[아일랜드인]], [[위그노]]계 [[프랑스인]], [[덴마크인]] 혈통을 물려받았으며, 외모만 보면 잘 상상이 안가지만 약간의 [[말라가시인]], [[앙골라]]인, 코이코이인의 혈통도 섞여있다.[[https://ethnicelebs.com/charlene-princess-of-monaco|#]][* 보어인들은 [[백인]]으로 분류되고 실제 외형도 백인이지만, 의외로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윗대에 [[흑인]]이나 [[아시아인]] 혈통이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 왕실에 막 편입했을 때 네덜란드의 [[막시마 소레기에타 세루티|막시마 왕비]]로부터 많은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 * [[미인]]이지만 잦은 [[성형수술]], [[필러]], [[보톡스]] 등의 각종 시술 때문에 예전에 비해 인상이 다소 인조적으로 변했다. 결혼한 이후로 급격히 노화가 진행되어서 더 부각된 감이 없잖아 있는 듯. 시어머니와 비슷한 이미지[* 둘 다 [[금발벽안]] 미인이다. 다만 [[그레이스 켈리]]는 [[염모|염색]]한 [[머리카락/금색|금발]](원래는 [[머리카락/갈색|갈색]]머리다)로 우아하면서도 차가운 이미지라면, 샤를린은 더티 블론드에 청순하고 처연한 이미지에 가깝다.]의 자연미인이다보니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 위에서도 줄곧 언급했지만 알베르 2세와 제법 오랫동안 연애하고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부간의 케미가 없는 건 물론이고 결혼 생활 자체가 순탄치 않은 게 너무 노골적으로 보인다. 그나마 쌍둥이가 태어났을 때는 부부 사이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바뀐 듯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쌍둥이가 막 태어났을 무렵에 찍힌 사진을 보면 샤를린의 인상이 결혼 생활 중 가장 밝다. 실제로 이 시절에 남편과 같이 찍은 사진을 보면 남편과의 사이도 제법 좋아보였으며 조금이나마 부부로서의 케미도 있었다.] 2020년에 갑자기 왕족답지 않게 파격적인 반삭 헤어스타일을 하더니 2021년에는 아예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가 별거 생활을 하다가 2022년에 다시 모나코로 돌아왔지만 사실 이 둘의 결혼 생활은 이미 오래전에 끝난 상태다. * 모나코 공비들 중에서 처음으로 [[교황]] 앞에서 흰색 옷을 입을 수 있는 특권을 인정받았다. 이전까지는 전통적인 가톨릭 왕가인 [[보르본 왕조|스페인 왕가]]나 [[벨기에 왕조|벨기에 왕가]], [[나사우 가문|룩셈부르크 대공가]], 구 [[이탈리아 왕국]] 왕실이었던 [[사보이아 가문]] 등의 왕비/여왕들이 이 백색의 특권을 받았지만 모나코 공국은 아무래도 한 끗발 쳐지는 공가라서 흰 옷을 입을 수 없었는데 샤를린이 [[베네딕토 16세]]를 알현할 때 흰 옷을 입을 수 있게 허락받음으로써 모나코 공비도 이 특권을 받는 여성 목록에 추가되었다. 그녀의 시어머니인 [[그레이스 켈리]]가 [[아일랜드계 미국인]] 출신이라 [[가톨릭]] [[모태신앙]]인데도 흰색 옷을 못 입었던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 샤를린은 결혼하면서 [[개종]]했다. * 주변 인물들의 증언에 따르면 남편이 자신과 결혼하기 전에 낳은 두 아이들에 대해서는 자신의 아이들의 형제자매로 인정하고 있다고 한다. [각주]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영 선수]][[분류:1978년 출생]][[분류:불라와요 출신 인물]][[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그리말디 가문]][[분류:네덜란드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칸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커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2 맨체스터 커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