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샤흐리아르_두바이 시마 클래식.jpg|width=100%]]}}} || ||<-2> 이름 || シャフリヤール[br]Shahryar || ||<-2> 출생 || [[2018년]] [[4월 13일]] ([age(2018-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2> 아비 ||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 ||<-2> 어미 || 두바이 마제스티 (Dubai Majesty) || ||<-2> 외조부 || 에센스 오브 두바이 (Essence of Dubai)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샤다이 그룹#선데이 레이싱|선데이 레이싱]] || ||<-2> 모집 정보 및 규모 || 1억 2000만 엔^^(1구 300만 엔 × 40구 계좌)^^ || ||<-2> 조교사 || [[후지와라 히데아키]] (릿토) || ||<-2> 성적 || 13전 4승 (4-1-3-5)[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9전 3승[*일본][br]2전 1승[*중동][br]1전 0승[*유럽][br]1전 0승[*북미]}}} || ||<-2> 총상금 || 10억 2717만 2500엔[b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억 8573만 1000엔[*일본][br]366만 달러[*중동][br]56,682파운드[*유럽][br]36만 달러[*북미]}}} || ||<|2> 주요[br]우승 || G1 || [[일본 더비]] (2021)[br][[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시마 클래식]](2022) || || G3 || [[마이니치배]] (2021) || || 레이팅 || WBRR || L120 ([[틀:2021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21]]) / L121 ([[틀:2022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22]])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810516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268912/|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 클래식 세대 유력 주자 중 하나다. 21년 [[일본 더비|더비]]마. 마명의 유래는 [[페르시아어]]로 "위대한 왕"이라는 뜻이다.[* [[아라비안 나이트]]의 [[셰에라자드]]에게 매일 밤 이야기를 듣는 왕의 이름이기도 하다.] 일본표기명 오역에서 유래한 샤플리얄이라고도 부른다.[* 헵번식 로마자 표기에서는 ハヒフヘホ 중 フ만이 유일하게 순치음 [[Φ]] 자음으로 발음되어 F로 표기되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대상인 원문의 알파벳을 모르면 フッド(Hood)나 フック(Hook)처럼 H를 나타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ふ#s-4|후(フ)]]항목의 발음 문단 참조.] [[샤다이 그룹]] 소속 노던 팜에서 생산되었고, 같은 그룹 산하의 선데이 레이싱이 마주로 있다. 주전 기수는 [[후쿠나가 유이치]]→[[크리스티안 데무로]].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딥 임팩트(말)|딥 임팩트]]'''[br]{{{-2 ディープインパクト[br]2002}}}||<|2>'''[[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2>윈드 인 허 헤어[br]{{{-2 Wind in Her Hair[br]199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알자오[br]{{{-2 Alzao}}}|| ||버클리어[br]{{{-2 Burghclere}}}|| ||<|4>두바이 마제스티[br]{{{-2 Dubai Majesty[br]200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에센스 오브 두바이[br]{{{-2 Essence of Dubai[br]199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펄핏[br]{{{-2 Pulpit}}}|| ||어피토미[br]{{{-2 Epitome}}}|| ||<|2>그레이트 마제스티[br]{{{-2 Great Majesty[br]199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그레이트 어보브[br]{{{-2 Great Above}}}|| ||미스틱 마제스티[br]{{{-2 Mistic Majesty}}}|| ||<-3>* -|| || 주요 전형제[* 중상마만 서술, 볼드체는 '''G1/Jpn1''' 우승마.] |||| '''[[알 아인(말)|알 아인]]'''^^(2014)^^ || 모마 두바이 마제스티(Dubai Majesty)[* 2010년 [[브리더스컵]] 필리 & 메어 스프린트 우승마.]는 에이피 인디(A.P. Indy) 4대 계통이다. 전형제 알 아인은 [[사츠키상]] 레코드(1:57.8)를 보유하고 있다. == 생애 == === 2021년 (3세) === [include(틀:2021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일본 더비]] ==== [youtube(z-zcfd1dTFA)] 2021년 더비에서 배당 11.4배의 인기 4위를 받았다. 스타트는 괜찮았고, 1코너에서 포지션을 잡았다. 그러나 슬로우 페이스가 되어 돌파에 어려움을 겪었고, 3코너에서 [[에프포리아]]가 먼저 나섰우며, 400m 지점에서는 [[사토노 레이나스]]와의 양자 대결이 되었다. 그러나 샤흐리아르는 마지막 300m를 남겨두고 진로를 확보했다. 그리고 4마신 차를 제치고 선두로 튀어나갔다. 마지막 100m에서 에프포리아를 따라잡고 거의 동시에 결승선에 도달했다. 통과 시간은 2분 22초 5로 2021년 대회에서 더비 레코드를 달성했다. 사진 판정 후 [[에프포리아]]를 코 차(10cm)로 제치고 이겼다. [[https://number.bunshun.jp/articles/-/848270|상세 분석 기사]] 기수 [[후쿠나가 유이치]]에게는 2018년 [[와그네리안]], 2020년 [[콘트레일]]에 이은 3번째 더비 타이틀이다. [[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188506|기수 인터뷰(넷케이바)]] ==== [[고베신문배]] ==== G2 고베신문배에서 1.8배의 1위 인기를 받았으나, [[https://news.yahoo.co.jp/articles/261643a6f92941ee02142b692a4ff13e7e7d4812|#]] 중마장을 이기지 못하고 4착으로 대패했다. 킷카상은 회피하였다. 고베 신문배 이후 노던 팜 시가라키에 방목중이며, 10월 19일 트레센에 복귀한다고 한다. [[재팬 컵]]을 목표로 훈련하고 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46dab372f2e801079bbfb5f3ace922639e9e1552|#]] 훈련상태는 양호하다고.[[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194895|#]] ==== [[재팬 컵]] ==== 더비마 4마리[* [[콘트레일]], 샤흐리아르, [[와그네리안]], [[마카히키]].]가 출주한 [[재팬 컵]]에서는 무패삼관마 [[콘트레일]]에 이은 2번 인기를 받았다. 콘트레일을 꺾을 가능성이 제일 큰 다크호스 중 하나로 지목받았다. 그러나 2착마 [[오소리티]]에 의해 진로가 막히고 스퍼트를 제때 내지 못하면서 3착에 그쳤다. 지난번 출전한 고베신문배에서 얻은 피로가 풀리지 않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기 당시 불량마장이었던 것을 패배 원인으로 삼고 있다. [[12월 1일]], 진영은 [[아리마 기념]] 회피를 선언했다. === 2022년 (4세) === ==== [[두바이 시마 클래식]] ==== [youtube(qxO0PWFxJ4A)] 2022년 3월 26일에 열린 두바이 시마 클래식에서는 크리스티안 데무로 기수[* [[미르코 데무로]] 기수의 13살 차이 나는 동생으로, 2020년 개선문상의 우승 기수이기도 하다.]가 기승하여, 선행책을 사용하여 2021 [[브리더스컵]] 터프 우승마 이비르의 추격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재팬 컵에서 자신 앞에 들어왔던 오소리티(3착)에게의 복수전도 성공하고, 조숙경향이 두드러지며 고마만 되면 클래식 시절의 강함을 잃어버리는 일이 많은 딥 임팩트 숫말 산구의 불안정함 역시 이겨냈으며, 선배 더비마인 [[마카히키]]나 [[와그네리안]]처럼 더비 이후 침체에 빠지면서 더비 원툴로 커리어가 꼬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불식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우승으로 더비마의 첫 해외 G1 우승이라는 신기록을 달성했다.] 2020 [[개선문상]] 위너 크리스티안 데무로 기수의 완벽한 기승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덤. 같은 날에 열린 두바이 터프 경주에 출전한 [[판탈라사(말)|판탈라사]] 역시 치열한 막판 접전 끝에 동착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 6월 15일 영국 애스컷 경마장의 G1인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에 출주했다. 5마리 중 2번째 위치에서 달리고 있다가 직선에서 일본과는 비교도 안 되는 높은 언덕[* 애스컷 경마장은 고저차가 22m로, 나카야마의 5m는 물론 파리 롱샹의 10m보다도 높다(…).]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침몰하고 말았다. 그래도 4착으로 최하위는 면했다.[* 최하위는 판탈라사랑 두바이 터프 공동 우승을 차지한 [[로드 노스]]로, 정확히 말하자면 게이트난 때문에 가리개를 쓰고 입장했는데, 가리개를 안 뺀 상태에서 게이트가 열리는 바람에(…).] 우승은 콕스 플레이트 등 G1 3승의 아일랜드 조교마 스테이트 오브 레스트가 차지했다. ==== [[천황상 가을]] ==== 10월 30일 천황상 가을에 인기 2위로 출주하였으나 [[판탈라사(말)|판탈라사]]의 하이페이스 전개을 이겨내지 못함인지 [[이퀴녹스]], 판탈라사, 다논 벨루가, [[잭 도르]] 등에 밀려 5착을 하여 팬들에게 당혹감을 주었다. ==== [[재팬 컵]] ==== 11월 27일 재팬 컵에선 3.4배의 1번 인기[* 2번 인기인 다논 벨루가는 4.2배, 3번 인기이자 1착으로 들어왔던 벨라 아줄은 4.5배로 대혼전이었다.]로 출주했으나, 외곽 배치에 내곽 시작이었던 [[벨라 아줄]]의 말각에 밀려 아깝게 2착을 기록했다. 그리고 이때, 샤흐리야르에 기승한 [[크리스티안 데무로]]가 사행을 저질러 [[다논 벨루가]]와 [[데어링 택트]]의 진로에 영향을 줬고 그 영향으로 12월 10일~12월 18일까지 기승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강착까지는 가지 않은것은 천만다행이었다. === 2023년 (5세) === ==== 두바이 시마 클래식 ==== 3월 26일 [[두바이 시마 클래식]]에 출주하였으나 5위에 그치며 2연패에 실패했다. 이후 진영은 삿포로 기념 이후 브리더스컵 터프 출주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 [[삿포로 기념]] ==== 삿포로 기념에서는 [[요코야마 타케시]]가 기승하였으나[* 이로써 타케시는 모든 2021년 클래식 우승마에 기승하게 된다.] 11착으로 참패, 경기 이후 확인 결과 천명증 증상을 보여 치료에 들어가게 되었다. 수술은 신속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회복도 순조롭게 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예정했던 브리더스컵 터프 원정 역시 문제 없이 진행될 수 있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브리더스컵 터프-[[홍콩 바즈]]에 출전한다고 발표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10b6a15e3b2e72fdc534649877e8389fb60a84e4|#]] ==== [[브리더스컵]] 터프 ==== 다시 크리스티안 데무로 기수와 합을 맞추며 출전하게 된다. 게이트는 최내곽 1번을 배정받았다. 부상 이후 복귀전이다 보니 인기 순위는 낮은 편이었지만 3착으로 꽤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 여담 == == 경주 경력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85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65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20년 {{{-1 (2세)}}} || || 10.25 || [[교토 경마장|교토]] ||<-2> 2세 신마 || 잔디 1800m || 2.3 || 1 || '''{{{#red 1착}}}''' || [[후쿠나가 유이치]] || (비방) || ||<-10> 2021년 {{{-1 (3세)}}} || || 2.14 || [[도쿄 경마장|도쿄]] || [[교도통신배]] || GIII || 잔디 1800m || 4.9 || 2 || 3착 || 후쿠나가 유이치 || [[에프포리아]] || || 3.27 || [[한신 경마장|한신]] || [[마이니치배]] || GIII || 잔디 1800m || 2.9 || 2 || '''{{{#red 1착}}}'''[*레코드] || [[카와다 유가]] || (그레이트 매지션) || || 5.30 || 도쿄 || '''[[도쿄 우준]] [br](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11.7 || 4 || '''{{{#red 1착}}}'''[*레코드] ||<|2> 후쿠나가 유이치 || ([[에프포리아]]) || || 9.26 || 한신 || [[고베신문배]] || GII || 잔디 2400m || 1.8 || 1 || 4착 || [[스텔라 벨로체]] || || 11.28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3.7 || 2 || 3착 || 카와다 유가 || [[콘트레일]] || ||<-10> 2022년 {{{-1 (4세)}}} || || 3.26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두바이 시마 클래식]]''' || '''G1''' || 잔디 2410m |||| 미발매 || '''{{{#red 1착}}}''' ||<|4> [[크리스티안 데무로]] || (이비르)[* 영국의 경주마. 2021년 브리더스컵 터프 우승마다.] || || 6.15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컷 ||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9f 212yd[* 약 2004m] || (6/1)[*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4 || 4착 || 스테이트 오브 레스트[* 아일랜드의 경주마. 미국의 새러토가 더비, 호주의 콕스 플레이트, 프랑스의 가네상을 우승했다. 4번의 G1 우승을 모두 각각 다른 나라에서 한 진귀한 기록을 세웠다. 2022년 8월 자크 르 마루아상에 출전한 뒤 시행한 마체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어 은퇴했다.] || || 10.30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4.4 || 2 || 5착 || [[이퀴녹스]] || || 11.27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3.4 || 1 || {{{#blue 2착}}} || [[벨라 아줄]] || ||<-10> 2023년 {{{-1 (5세)}}} || || 3.25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두바이 시마 클래식 || '''G1''' || 잔디 2410m |||| 미발매 || 5착 || 크리스티안 데무로 || 이퀴녹스 || || 8.20 || [[삿포로 경마장|삿포로]] || [[삿포로 기념]] || GII || 잔디 2000m || 9.1 || 5 || 11착 || [[요코야마 타케시]] || [[프로그노시스]] || || 11.4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산타 아니타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½m || (25/1)[*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7 || 3착 || 크리스티안 데무로 || [[오귀스트 로댕(말)|오귀스트 로댕]] ||}}} [include(틀:일본 더비,grade=GI)] [include(틀:두바이 시마 클래식,grade=G1)] ---- [include(틀:마이니치배,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2018년 출생/경주마]][[분류:페르시아어 단어]][[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딥 임팩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