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영어]]: Sisters of Saint Paul of Chartres * [[프랑스어]]: Sœurs de Saint-Paul de Chartres * [[이탈리아어]]: Suore di San Paolo di Chartres * [[스페인어]]: Hermanas Hospitalarias de San Pablo * [[독일어]]: Paulusschwestern von Chartres * [[일본어]]: シャルトル聖パウロ修道女会 1696년 [[프랑스]] 러베빌(Levesville)에서 루이 쇼베(Louis Chauvet) [[신부(성직자)|신부]]에 의해 창설된 [[가톨릭]] [[수도회]]. [[한국 가톨릭]] 최초의 수도회이자[* [[한국 가톨릭]] 최초의 남자 [[수도회]]는 [[베네딕토회]]이다.], 한국에서 제일 큰 수도회이기도 하다. * [[https://stpaulrome.com|로마 총원 홈페이지]] * [[https://www.spcseoul.or.kr|서울관구 홈페이지]] * [[http://www.spctaegu.or.kr|대구관구 홈페이지]] * [[http://www.spc-japan.org|일본관구 홈페이지]] 수도회의 영성은 그리스도 중심 - 파스카 영성이며 카리스마는 애덕(카리타스)이다. == 연혁 == 창설자 루이 쇼베 [[신부(성직자)|신부]]는 작은 시골마을의 평범한 본당신부였다. 그는 러베빌 마을에 가난한 사람, 병든 사람, 방치되고 있는 아이들, 기타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불쌍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이들을 도울 방법을 궁리한다. 이 일을 위하여 그는 마을에서 신앙심 깊은 처녀 4명을 뽑아 공동체를 만들었다. 그녀들은 가난한 사람들과 환자들을 방문하여 보살피고, 아이들을 가르치고 돌보았다. 4명만으로 시작한 공동체는 점점 더 성장했고, 쇼베 신부는 이 공동체를 샬트르([[샤르트르]]) [[교구]]에 위탁했다. 샬트르 교구장 [[주교]]는 공동체에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라는 이름을 주고, [[사도 바오로]]를 [[주보성인]]으로 정했다. == 해외 진출 == 창설 30주년이 되는 1727년, 4명의 수녀들이 [[남미]]로 해외[[선교]]를 떠났다. 이것을 시작으로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는 [[프랑스]]를 넘어 세계 여러 나라로도 진출했고, 오늘날은 전 세계 31개국에서 4,000여명의 수녀들이 활동하고 있다. 1848년 [[홍콩]]에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는 동양에도 진출하기 시작했다. 한국에는 1888년에 진출했고, 가까운 [[일본]]에는 10년 빠른 1878년에 진출하여 [[시라유리 여학원]]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1900년부터는 [[중국]] 대륙에도 진출했지만, 이후 [[중국 공산당|중국 대륙이 공산화]]되고 [[종교의 자유]]가 없어져 1949년에 철수했다가, 1994년부터 다시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 한국 진출 == [youtube(T09zgZ29dFY)]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조선과 프랑스가 정식으로 수교]]하여, 조선에서도 [[조선의 천주교 박해|천주교 박해]]가 끝나고 자유로이 [[천주교]]를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7대 교구장인 [[프랑스인]] 블랑 백 요한 주교[* 한국명 백규삼(白圭三). [[파리외방전교회]]에서 파견됨. [[명동성당]]을 짓던 중에 병으로 사망했다.]는 프랑스의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에 “조선에 수녀들을 파견해 달라.”고 요청했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에서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4명의 수녀들을 조선에 보냈다. 1888년 7월 22일, [[프랑스인]] 자카리아 수녀와 에스텔 수녀, [[중국인]] 수련수녀 비르지니 수녀와 프란치스카 수녀가 [[인천항]]에 상륙했다. 곧 조선인 소녀 5명이 입회하여 수녀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기 시작했는데, 모두 독실한 천주교 신자 집안의 딸들이었다. 3명은 병으로 일찍 죽었으나 김해겸과 박황월[* 박해시기 천주교 순교 역사의 증거자이자 인천지역 천주교 선교에 큰 역할을 했던 박순집 베드로의 셋째 딸. [[천주교 인천교구]] 제3대 교구장 [[정신철]] 요한 세례자 주교의 외가 쪽 조상이기도 하다.]은 무사히 수련을 마치고 최초의 [[한국인]] 수녀가 되었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는 종현(鐘峴) 언덕에 [[명동성당]]이 완공되기 10년 전인 1888년부터 종현 언덕에 수녀원을 세우고,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고아원]]과 가난한 환자들을 위한 시약소를 운영했다. 1900년에는 종현성당(명동성당)에서 여학교를 개설하기 위해 수녀들을 초빙했는데, 이것이 계성학교의 시초였다. 이후 서울뿐 아니라 여러 지방에도 진출했고, 1915년에는 [[대구광역시|대구]]에도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원이 세워졌다. [[샬트르 성바오로 수녀원 성당과 코미넷관|대구 수녀원과 성당]]은 훗날 문화재로도 지정되었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가 처음 한국에 진출해온 이후로 다른 수도회들도 한국에 진출해왔고, 한국 땅에서 외국인 또는 한국인에 의해 수도회가 창설되기도 했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수녀들은 새로 생겨난 수녀회에 파견되어 수련자들을 교육시키는 일도 맡았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등) 1967년에는 서울관구와 대구관구로 분리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는 2개의 관구에서 1,000여명의 수녀들이 선교, 사회복지, 교육, 의료 등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교육 == [[가톨릭]]계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에서 [[교사]]로 일하고 있다. * 초등학교 * [[계성초등학교(서울)|계성초등학교]]: 본래 [[명동성당]] 뒤편에 있었다가, 2006년부터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으로 이전되었다. * [[효성초등학교(대구)|효성초등학교]]: [[대구광역시]] * 중학교 * --계성여자중학교--: [[계성고등학교(서울)|계성여자고등학교]]와 함께 [[명동성당]] 옆에 있었던 학교. 1987년 폐교되었다. * [[매괴여자중학교]][*A ‘매괴(玫瑰)’는 [[묵주]], [[장미꽃]]을 의미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 쌘뽈여자중학교[*B ‘쌘뽈’은 ‘성 [[바오로]](Saint Paul)’를 [[프랑스어]]로 읽은 것이다.]: [[충청남도]] [[논산시]] * [[근화여자중학교]]: [[경상북도]] [[경주시]] * [[대건중학교]]: 대구광역시 * [[대구가톨릭대학교사범대학부속무학중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 순심여자중학교: 경상북도 [[칠곡군]] * 순심중학교: 경상북도 칠곡군 * 고등학교 * [[계성고등학교(서울)|계성고등학교]]: 본래 [[명동성당]] 옆에 있었고 [[여고]]였으나, 2016년부터 [[서울시]] [[성북구]] [[길음동]]으로 이전되었으며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 [[매괴고등학교]][*A]: [[충청북도]] [[음성군]] * [[쌘뽈여자고등학교]][*B]: [[충청남도]] [[논산시]] * 순심여자고등학교: 경상북도 칠곡군 * [[데레사여자고등학교]]: [[부산광역시]] * [[지산고등학교(부산)|지산고등학교]]: 부산광역시 * [[성지여자고등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 대안학교 * 쌘뽈나우리대안학교[*B]: [[서울특별시]] * 대학교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서울성모병원]]과 함께 있다. * [[대구가톨릭대학교]] * [[부산가톨릭대학교]] == 의료 ==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의료 활동은 [[서울]]에서 운영했던 시약소가 그 시초였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는 무료진료소를 운영했고, 이 진료소는 1955년 성요셉의원으로 발전하였으나 1973년 운영난으로 폐원했다. 오늘날은 [[가톨릭]]계 병원인 [[성바오로병원|서울성바오로병원]], [[여의도성모병원]], [[대전성모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http://www.spchospital.or.kr|완주성바오로복지병원]], 부산[[메리놀병원]]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과 [[한강성심병원]]의 천주교 원목실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 소속 수도자 == * [[조성애]] [[분류: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